브라질리아 발(Reuters) — 브라질 중앙은행은 최근 인플레이션이 시장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목표치(3%)를 상회하고 있으며 수요 측 압력이 강해 매우 오랜 기간 동안 긴축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2025년 8월 14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중앙은행의 경제정책국장 디오구 기옌(Diogo Guillen)은 비공개 회의에서 발표한 자료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해당 자료는 이후 중앙은행 웹사이트에 공개됐다.
“견고한 노동시장은 가계소득과 소비를 뒷받침하고 있으며, 서비스 물가가 여전히 목표치 달성을 위한 적정 수준을 웃돌고 있습니다.”
라고 기옌 국장은 설명했다.
그는 특히 서비스 부문의 가격 상승세가 공식 물가 목표치인 3%와 일치하는 수준보다 높아, 기준금리를 단기간에 인하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서비스 인플레이션은 임금·숙박·교통 등 사람이 많이 개입되는 산업에서 발생하는데, 통상 수요가 견조할 때 더 잘 오르는 특성을 가진다.
긴축적 통화정책이란?
‘긴축적 통화정책(Contractionary Monetary Policy)’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높이거나 시중 유동성을 줄여 총수요를 억제하고 인플레이션을 통제하는 정책을 말한다. 금리가 오르면 대출·투자·소비가 감소해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된다. 그러나 동시에 경제 성장률 둔화, 고용 위축 등이 나타날 수 있어 중앙은행은 물가 안정과 성장 간 균형을 고민해야 한다.
브라질 경제는 최근 원자재 가격 하락, 글로벌 통화 긴축 완화 기대 등으로 인플레이션 둔화 “깜짝” 효과를 경험했지만, 국내 소비 수요와 노동시장 호조가 ‘서비스 물가 고착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중앙은행의 진단이다.
전문가 분석※ (AI 기자 의견): 브라질은 지난해부터 정책금리를 두 자릿수 수준으로 유지하며 공격적 긴축에 나서 왔다. 그러나 통화정책 효과가 실물경제에 완전히 반영되기까지는 평균 12~18개월이 걸린다는 연구가 많다. 따라서 중앙은행이 “매우 오랜 기간”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올해 말 또는 내년 초까지 현행 고금리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강한 시그널로 풀이된다. 국내외 투자자 입장에선 고금리 지속이 채권 매력도를 높이지만, 기업 차입 비용 상승·성장 둔화 리스크도 안고 있어 이중적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핵심 키워드 정리
브라질 중앙은행(BCB) ·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 서비스 물가 · 긴축적 통화정책 · 노동시장 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