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13일(현지시간) 강보합권에서 마감하며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S&P500지수(0.32%),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1.04%), 나스닥100지수(0.04%)가 일제히 상승했고, 9월물 E-미니 S&P500 선물(0.32%)과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0.01%)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2025년 8월 14일, 나스닥닷컴과 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현재 금리가 지나치게 긴축적”이라며 연방기금금리를 150~175bp(1bp=0.01%p) 인하해야 한다고 공개 발언한 것이 시장에 호재로 작용했다. 그는 “9월에 50bp(0.50%p) 인하를 단행한 뒤 연속 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미 연준의 현 목표 범위는 4.25~4.50%이며 실효금리는 4.33%다.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 시장은 하루 만에 9월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96%→100%로, 50bp 인하 가능성을 0%→7%로 끌어올렸다. 연말까지는 총 64bp, 2026년 말까지는 총 134bp 인하가 가격에 반영됐다. ※참고: bp(베이시스 포인트)는 금리 단위를 나타내며 1bp=0.01%다.
채권시장도 동반 랠리를 기록했다. 10년물 국채수익률은 5.2bp 내린 4.237%로, 전날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무난한’ 수준으로 발표된 데 따른 안도 심리가 유입됐다. 기대인플레이션을 보여주는 10년물 BEI(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율)는 이틀간 총 2.3bp 하락한 2.378%로 집계됐다.
■ 물가 · 고용 데이터가 인하 기대 증폭
시장 참가자들은 최근 발표된 7월 CPI(헤드라인 2.7% y/y, 코어 3.1% y/y)와 5~7월 평균 비농업부문 신규고용(월+3만5천 명)에 주목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둔화가 확인되고 고용도 식어가면서 ‘빅컷’ 기대가 살아났다는 분석이다.
해당 흐름은 다음 회의 일정에도 반영됐다. 스와프 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00%,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가능성을 73%로 가격에 반영했다.
■ 트럼프–푸틴 회담·관세 이슈 대기
투자자들의 관심은 15일 알래스카에서 예정된 트럼프–푸틴 정상회담에도 쏠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회담에 대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탐색전”이라며 낮은 기대치를 제시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영토 양보 불가’를 고수한 점도 회담 결과에 대한 기대를 제한하고 있다.
관세정책도 변수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과의 관세 휴전을 90일 연장했으며, 반도체에는 100% 관세를 예고했다. 인도산 제품 관세는 25%→50%로 인상될 예정이고, 제약·전자제품 관세도 곧 발표될 전망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평균 미국 관세율이 기존 13.3%에서 15.2%로 상승할 것으로 추산했다.
■ 주간·월간 지표 발표 일정
– 14일(목):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 22만5천 건(전주 대비 –1천)
– 14일(목):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 헤드라인 2.5% y/y, 근원 2.9% y/y 예상
– 15일(금): 7월 소매판매 0.5% m/m, 자동차 제외 0.3% m/m 예상
– 15일(금): 7월 제조업 생산 m/m 변동없음 예상
– 15일(금): 미시간대 8월 소비자심리지수 62.0 예상(전월비 +0.3)
■ 실적 시즌: 4년 만의 최대 성장률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9.1% 증가해, 어닝시즌 이전 예상치였던 2.8%를 크게 상회했다. 보고를 마친 82% 기업 중 82%가 시장 컨센서스를 웃도는 성적을 냈다.
다우지수는 유나이티드헬스(+3%), 나이키(+3%), 머크(+3%), 셔윈-윌리엄스(+3%) 등의 강세로 상대적 초강세를 연출했다. ‘매그니피센트 세븐’ 중 애플과 아마존만 1% 이상 상승하며 나스닥 시장의 하락분을 상쇄했다.
■ 종목별 이슈
아마존닷컴(+1.4%)은 연내 당일 식료품 배송 도시를 1,000개→2,300개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AMD·NXP·ON·Align 등 반도체주는 ‘금리 인하 수혜’ 기대에 3% 이상 올랐다.
불리쉬(Bullish)는 전날 IPO에서 11억 달러를 공모(주당 37달러)한 뒤 하루 만에 68달러로 급등했다. 반면, 코어위브(CoreWeave)는 고비용 구조에 따른 실적 경고로 20% 이상 급락했다.
헤인즈브랜즈(+3.7%)는 캐나다계 길단 액티브웨어가 22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공식 발표해 전일 28% 급등세를 이어갔다. 길단 주가는 11.8% 반등했다.
그 밖에 팔로알토 네트웍스(+0.8%)는 도이체방크가 ‘보유’→‘매수’로 상향 조정했고, C3.ai는 실적 가이던스 약화에도 애널리스트 의견 분분 속 10% 급등했다. 킨더케어 러닝은 저조한 Q2 실적과 가이던스 하향으로 22% 급락했다.
■ 용어·배경 설명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율(BEI)은 명목 국채와 물가연동국채(TIPS) 수익률 차이를 의미하며, 향후 10년간 시장이 예상하는 평균 물가상승률로 해석된다. 연방기금선물은 연방기금금리 전망에 따라 거래되는 파생상품으로, 가격 변동을 통해 시장이 예상하는 ‘차기 금리 결정 확률’을 파악할 수 있다.
이번 기사에서 언급된 bp(베이시스 포인트)는 금리·수익률 단위로 1bp=0.01%p임을 다시 한 번 명시한다.
■ 기자 시각
베센트 장관의 ‘빅컷’ 발언은 연준 독립성을 감안할 때 정책 결정의 직접적 신호로 보기 어렵다. 그러나 고용·물가 둔화, 관세 불확실성, 지정학 리스크가 결합된 현 환경에서 장·단기 금리 구조가 빠르게 하향 안정화될 가능성은 높다. 투자자라면 실적 모멘텀이 지속되는 기업·비즈니스 모델이 견고한 기업에 대한 선별적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