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센트 “기준금리 1.50~1.75%p 인하 필요” 발언에 뉴욕 증시 지지… S&P·나스닥 장중 사상 최고

뉴욕증시가 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세를 나타냈다. 13일(현지시간) S&P 500 지수나스닥 100 지수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새로 쓰며 각각 0.32%, 0.04% 상승 마감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04% 올라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2025년 8월 1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현 수준의 금리는 지나치게 제약적이며 최소 150~175bp(1.50~1.75%p) 낮춰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이 투자 심리를 개선시켰다. 베센트 장관은 “9월에 50bp 인하로 시작해 연속적 인하 사이클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고도 덧붙였다.

연준의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목표 구간은 현재 4.25%~4.50%이고 유효금리는 4.33%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에서는 9월 FOMC에서 최소 25bp 인하 가능성을 100% 반영했고, 50bp 인하 가능성도 7%로 높였다. 이는 8월 1일 발표된 7월 고용지표 이전 40%와 비교하면 훨씬 더 완화적인 전망이다.

물가·고용 지표가 기대 인하론 뒷받침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7% 올라 시장 예상치와 일치했으나, 근원 CPI는 3.1%로 소폭 상회했다. 반면 5~7월 평균 비농업 신규고용은 월 3만5,000명에 머물러 고용시장이 둔화됐다는 판단이 강화됐다. 이에 따라 선물시장은 올해 말까지 64bp, 2026년 말까지 134bp 인하를 가격에 반영 중이다.

트럼프-푸틴 알래스카 정상회담 주목

투자자들은 15일 예정된 트럼프 미국 대통령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알래스카 회담 결과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탐색 회담(feel-out meeting)’이라며 과도한 기대를 경계했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영토 양도론을 일축해 단기적 합의 가능성은 낮아졌다.

잇단 관세 정책 변동

무역 분야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 휴전을 90일 연장(11월까지)했고, 반도체 수입에는 100% 관세를 예고했다. 다만 미국 내 생산 계획을 제출한 기업에는 예외를 인정할 방침이다. 인도(러시아산 원유 구매 이유)에 대한 관세는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했으며, 의약품 수입 관세도 조만간 발표될 전망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모든 조치가 시행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2025년 15.2%로 급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금리·물가 관련 지표 일정

이번 주 후반에는 14일 주간 신규실업수당(예상 22만5,000건), 7월 PPI(예상 2.5%·근원 2.9%), 15일 7월 소매판매(전월 대비 0.5%·자동차 제외 0.3%), 제조업 생산(보합),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62.0)가 예정돼 있다. 연방기금선물은 9월과 10월 FOMC에서 각각 25bp씩 두 차례 인하 가능성을 100%, 73%로 반영 중이다.

S&P500 2분기 실적 ‘깜짝’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기업들의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시즌 전 예상치 2.8%를 크게 웃돌며 4년 만에 최대폭 성장이다. 현재까지 82%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했고, 이 가운데 82%가 시장 추정을 상회했다.

국채·글로벌 채권 시장

9월 만기 미 10년물 T-노트 선물은 12틱 상승했고, 현물 금리는 5.2bp 내린 4.237%를 기록했다.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10년물)도 이틀간 2.3bp 떨어져 2.378%로 물가 기대가 안정됐다. 독일 10년물 분트금리는 2.680%(-6.4bp), 영국 길트금리는 4.589%(-3.7bp)로 동반 하락했다.

개별 종목 동향

S&P500 차트

‘매그니피센트 세븐’ 가운데 애플아마존만 1% 이상 올랐으며, 나머지는 약세로 돌아섰다. 아마존은 당일 당일 식료품 배송 서비스를 연말까지 2,300개 도시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하면서 1.4%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유나이티드헬스(+3% 이상), 나이키, 머크, 셔윈-윌리엄스 등 방어주가 주도해 상대적 우위를 보였다. 반도체주도 금리 인하 기대에 엔비디아·AMD·NXP·ON세미 등 대부분 3% 넘게 올랐다.

가상자산 기업 불리시는 공모가 37달러로 11억 달러를 조달한 뒤 상장 첫날 68달러로 급등했고, 코어위브는 높은 자본 비용과 마진 둔화 우려로 20% 이상 급락했다.

기업 인수·합병(M&A)

캐나다 길던 액티브웨어헤인즈브랜즈를 22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공식 발표해, 헤인즈는 전일 28% 급등에 이어 3.7% 추가 상승했고 길던도 11.8% 올랐다.

향후 실적 발표 일정(8월 14일)

디어(DE), 암코어(AMCR), 태피스트리(TPR), 어플라이드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AIT), 버켄스탁(BIRK), QXO(QXO),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샌디스크(SNDK), 글로번트(GLOB), NU홀딩스(NU) 등이 실적을 공개한다.

“본 문서의 정보는 투자 조언이 아닌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라고 리치 애스플런드 기자는 밝히며, “기사 작성 시점에서 필자는 언급된 종목에 대해 직·간접적인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덧붙였다.

용어 풀이

연방기금선물은 미국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의 향후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는 파생상품으로, 시장 참여자들이 금리 인하·인상 확률을 가늠할 때 널리 참고한다.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은 명목 국채와 물가연동국채(TIPS) 수익률 차이로 계산되며, 향후 10년간 평균 물가상승률에 대한 시장 기대치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