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소매 물가를 밀어 올릴까? UBS 분석

UBS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미국발 대중(對中) 고율 관세소매업체 가격 정책소비자 물가에 미칠 파장을 집중 조명했다. 투자자들은 향후 몇 달간 유통 기업들의 가격 변동을 주요 투자 판단 기준으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고 은행은 전망했다.

2025년 8월 13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UBS 리서치팀(마이클 래서 연구원 등)은 최근 발표된 미국 노동통계국(BLS) 물가 지표가 관세의 1차 충격이 “제한적“이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tariff inflation

BLS가 8월 12일(현지시간)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재화물가(core commodities)는 7월 기준 전년 대비 1.2% 상승했다. 같은 지표는 0.1%p의 전월 대비 상승을 기록했다. 이는 4월 0.1%, 5월 0.3%, 6월 0.7%였던 흐름에서 가속도가 붙은 수치다.

“소매업체의 가격 인상 폭은 전반적으로 아직 완만하지만, 추가 관세가 발효되면 상승세가 더 빨라질 수 있다“— UBS 보고서


관세 전가(傳嫁)의 한계와 ‘단위 탄력성’(unit elasticity)

UBS는 “단위 탄력성(unit elasticity)이 향후 종목별 투자 논쟁의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단위 탄력성이란 가격이 1% 변할 때 수요도 1% 변한다는 뜻으로, 가격 변동이 매출량에 미치는 상대적 민감도를 보여준다. 결국 기업이 얼마나 관세 부담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느냐에 따라 매출 감소 폭마진 방어 수준이 판가름난다는 설명이다.

UBS는 아마존, 월마트, 코스트코 등 ‘빅 리테일’이 일정 부분 관세 비용을 전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매출 성장세를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소비자 부담 증가와 거시경제적 파장

보고서는 “궁극적으론 관세가 명목 임금 상승률을 웃도는 물가 압력을 야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UBS는 Tax FoundationYale Budget Lab의 예측 모델을 인용하며, 관세는 연간 가구당 약 1,700달러의 추가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는 소비 여력을 훼손해 미국 경제 전반에 장기적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다는 평가다.

consumer burden


‘가성비(價性比)’ 업체가 유리한 구도

UBS는 “가격 대비 가치(value offering)가 뛰어난 유통업체가 관세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포지션을 점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단기간에 시장점유율 재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적으로 전가하는 업체일수록 고객 이탈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뜻이다.

주요 용어·기관 해설

Bureau of Labor Statistics(BLS)는 미국 노동부 산하 통계기관으로, 소비자물가지수(CPI)·고용·임금 등 거시경제 지표를 산출한다.

Tax Foundation은 1937년 설립된 독립 싱크탱크로, 세제와 공공재정 연구를 통해 정책 효과를 분석·발표한다.

Yale Budget Lab은 예일대학교 경영대학원이 운영하는 연구센터로, 연방·주(州) 재정 시나리오 모델링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Headline Inflation은 식품·에너지 등 변동성이 큰 품목을 포함한 소비자물가 전반을 의미하며, Core Inflation보다 체감경기에 더 직접적 영향을 준다.


UBS는 “결국 관세와 가격 정책은 소매 섹터 투자 논쟁의 핵심 축”이라며, 투자자들은 기업별 가격 전략·수요 탄력성·비용 구조를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