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접경 지대 지뢰 폭발로 태국 군인 또 부상…휴전에 ‘흔들’

방콕발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캄보디아와의 국경지대에서 태국 군인 1명이 지뢰를 밟아 중상을 입었다고 태국 육군이 1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2025년 8월 12일,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지난달 5일간 이어진 무력충돌 이후 양국이 휴전에 합의한 지 불과 며칠 만에 발생했다.

태국 육군 보도자료에 의하면, 부상자는 수린(Surin) 주 타 모안 톰(Ta Moan Thom) 사원에서 북쪽으로 약 1km 떨어진 순찰로를 걷던 중 왼쪽 발목이 심하게 절단되는 부상을 입었다. 그는 즉시 인근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태국 육군 대변인인 윈타이 수바리(Winthai Suvaree) 소장은 “이번 사고는 캄보디아가 오타와 협약(Ottawa Convention)*과 양국 간 휴전 합의를 위반한 명백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지뢰 사고, 한 달 새 네 번째
이번이 최근 몇 주 사이 네 번째 지뢰 사고다. 앞서 8월 9일 토요일에는 시사켓(Sisaket)과 프레아 비히어(Preah Vihear) 인접 지대에서 순찰 중이던 태국 군인 3명이 같은 유형의 지뢰 폭발로 다쳤다.

태국 정부는 7월 16일과 7월 23일에도 유사한 사고가 발생했다며 “캄보디아 측이 국경선 태국 측 지역에 새로운 지뢰를 매설했다”고 비난했다. 반면 프놈펜 정부는 “휴전선에서 이탈한 태국 군이 수십 년 전 내전에 남겨진 오래된 지뢰를 밟은 것”이라며 역으로 책임을 부인했다.

817km에 달하는 국경 분쟁
양국은 총 길이 817km에 달하는 육상 국경선 가운데 일부의 경계가 미확정(undemarcated) 상태라는 이유로 수차례 충돌을 겪어 왔다. 특히 11세기 프레아 비히어 사원과 크메르 제국 유산인 타 모안 톰 사원의 관할권이 핵심 쟁점이다.

지난 7월 24일 발발한 무력 충돌은 10여 년 만에 최악의 교전으로 기록됐다. 최소 43명이 사망하고 30만 명 이상이 양측에서 피란길에 올라 인도주의 위기를 초래했다. 당시는 포병 교전뿐 아니라 전투기(제트 전투기) 투입까지 이뤄져 충돌 수위가 급격히 고조됐다.


휴전의 현주소와 아세안(ASEAN)의 중재
양국은 최근 동남아국가연합(ASEAN) 관측단을 분쟁지역에 배치하기로 합의하며 취약한 휴전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지뢰 폭발로 휴전 이행 의지에 대한 의문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아세안 감시단 파견만으로는 근본적 해결이 어렵다고 보고 있다. 지뢰 제거를 위한 공동 작전, 국경 확정 협상 촉진 등 다층적 접근이 요구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군사 긴장 재고조 위험
태국 군 당국은 “캄보디아가 자국 영내에 합의된 통로 외부에 지뢰를 매설했다”고 반복해서 비판하고 있지만, 캄보디아는 “새 지뢰 매설은 전혀 없다”고 맞서고 있다. 상호 불신이 누적되면서 국지적 교전이 재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해외 군사안보 전문지 제인스(Jane’s)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양국이 1980~1990년대 분쟁 중 매설한 지뢰가 최소 수만 발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오타와 협약은 1997년 채택된 ‘대인지뢰 금지 협약’으로, 지뢰의 사용·비축·생산·이전을 금지한다. 캄보디아는 1999년, 태국은 2001년에 각각 비준했다.


전문가 평가
국제법 전문가들은 “양국 모두 오타와 협약 가입국임에도 실제 현장에서 지뢰 제거가 지연되고 있다”며 “분쟁지역의 지뢰 맵핑(mapping)과 공동 제거 작전의 시급성”을 강조한다. 특히 프레아 비히어와 타 모안 톰 사원 일대는 복잡한 정글 지형 탓에 탐지 장비 도입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태국·캄보디아 국경 갈등은 투자를 고려하는 해외 기업들에도 변수로 작용한다. 국경 교역로가 차단될 경우 농산물·의류 등 주요 수출품의 공급망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아세안 차원의 다자 협력이 실질적인 긴장 완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은 양국 간의 脆弱한 휴전 상태를 다시 시험대에 올려놓았다. 현재까지 인명 피해가 최소화된 것은 다행이지만, 급증하는 지뢰사고는 휴전 협정의 신뢰도 저하와 국제법 위반 논란을 확산시킬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