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선물 시장]이 주간 거래 첫날부터 큰 폭으로 상승했다. 11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프런트 먼스 대두선물은 부셸당 20~24센트 뛰며 힘차게 마감했다. 현물 기준 전국 평균 현금가격(cmdtyView 기준)은 23센트 오른 9.51¼달러를 기록했다.
2025년 8월 1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같은 날 대두박(소이밀) 선물도 4.20~5.30달러 상승했고, 대두유 선물은 26~53포인트 올랐다. 8월 인도분 대두박은 이날 추가로 108계약 인도 통지가 나오면서 월간 누적 (Month-to-date) 3,471계약에 이르렀다.
미 농무부 통계국(NASS)이 발표한 작황진행(Crop Progress) 보고서에 따르면 10일 기준 미국 대두의 개화율은 91%, 꼬투리 착립률은 71%로 모두 평년 대비 1%포인트 낮았다. 양호/우수(gd/ex)로 분류된 작황 비율은 전주 대비 1%포인트 하락한 68%였다. 브루글러500(Brugler500) 지수도 1점 떨어진 374를 기록했다.
알아두기: Brugler500은 작황 상태를 0~500점으로 환산해 평가하는 민간지수다. 점수가 높을수록 생육 여건이 양호함을 의미한다.
전날 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소셜미디어에 “중국은 대두 부족을 걱정하고 있다. 우리의 훌륭한 농부들은 가장 견고한 대두를 생산한다. 중국이 대두 주문을 빠르게 4배로 늘리길 바란다”는 글을 올렸다. 시장은 구매 재개 기대감에 즉각 반응해 상승폭을 키웠다.
이어 11일 오후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 유예를 추가로 90일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무역 긴장 완화 조짐은 대두 시장에 우호적인 심리로 작용했다.
수출 동향도 공개됐다. USDA에 따르면 8월 7일로 끝난 주간 대두 선적은 518,066톤(1,904만부셸)로, 전주 대비 17.5% 감소했으나 전년 동주 대비 47.6% 증가했다. 물량 중 멕시코로 154,646톤, 독일 68,869톤, 이집트 58,086톤이 향했다. 2024/25 마케팅연도 누적 선적은 4,837만톤(17억7,700만부셸)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많다.
시장 참가자들은 12일 발표 예정인 USDA 8월 작황 및 생산(Crop Production) 보고서를 주목하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미국 평균 대두 단수(yield)를 에이커당 53부셸로 예상하며, 전망 범위는 52~54부셸이다. 총생산량은 43억7,400만부셸로 7월 WASDE 대비 3,900만부셸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구작(2024/25) 재고는 5백만부셸 감소한 3억4,500만부셸, 신작(2025/26) 재고는 4,100만부셸 증가한 3억5,100만부셸로 전망됐다.
시세 마감
• 8월물 대두는 9.89½달러, 22¾센트 상승
• 현물 근월물(전국 평균)은 9.51¼달러, 23센트 상승
• 9월물은 9.91¾달러, 24센트 상승
• 11월물은 10.11¼달러, 23¾센트 상승
• 신작 현물은 9.42⅛달러, 22¾센트 상승
투자자 고지: 본 기사 작성 시점에 애널리스트 오스틴 슈뢰더는 해당 증권에 직·간접적으로 어떠한 포지션도 보유하지 않았다. 모든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 2025 Barchar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