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ersity)가 트럼프 행정부와 $5억 달러(약 6,600억 원) 규모의 잠정 합의를 거의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합의가 성사되면 수년간 중단됐던 연방 정부 연구 자금이 다시 학교로 흘러들어 올 전망이다.
2025년 8월 11일, 인베스팅닷컴(Investing.com) 보도에 따르면 양측은 수주에 걸친 협상을 진행해 왔으며, 최근 며칠 사이에 결정적 진전을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협상 상황을 잘 아는 복수의 관계자는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와의 인터뷰에서 “사실상 막바지 조율 단계”라고 평가했다.
합의 초안에 따르면 하버드대는 앞으로 수년에 걸쳐 직업 교육·평생 교육(vocational & educational programs)에 총 5억 달러를 투입한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해 온 ‘콜롬비아대(Columbia University)가 지난달 약정한 금액의 두 배 이상’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면서도, 하버드가 미 연방 정부에 직접 현금을 납부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구비 회복을 조건으로 하버드가 사회적 책임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협상 관계자 발언
초안에는 또 하나의 핵심 조건이 포함된다. 하버드대는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antisemitism) 근절을 위해 현재 가동 중인 프로그램을 계속 확대·강화하기로 약속했다. 반유대주의란 유대인 또는 유대 문화에 대한 편견·차별·폭력을 의미한다. 최근 미국 대학가에서 유사 사례가 증가하면서, 연방 정부는 연구비 지원과 별개로 대학의 다양성·포용 정책 이행 현황을 면밀히 점검해 왔다.
배경: 왜 ‘직업 교육’인가?
전통적으로 연구 중심 대학인 하버드는 학부·대학원 교육 및 기초 연구에 집중해 왔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노동시장 수요에 직결되는 기술 교육이 필요하다”며, 연방 자금 수혜 대학에도 직업 교육 투자를 요구해 왔다. 이번 5억 달러는 주로 지역사회 맞춤형 기술 인증 과정·취업 연계 프로그램·온라인 재교육 과정 등에 배분될 전망이다.
연방 연구 자금의 의미
하버드대는 매년 수십억 달러 규모의 국가과학재단(NSF), 보건복지부(HHS) 등 연방 기관 연구비에 의존해 왔다. 지난해 연방 자금이 일시 중단되면서 여러 실험실이 연구 일정을 연기하거나 축소해야 했다. 합의가 체결되면 이 자금이 재개되어 생명과학·정보과학·사회과학 등 다양한 분야 연구가 속도를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절차 및 전망
합의안은 법무부(DoJ) 및 백악관 예산국(OMB) 검토를 거쳐 확정된다. 하버드대 이사회와 연방 정부 양측이 최종 서명하면 곧바로 효력이 발생한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벌금이 아닌 사회적 투자 형태로 자금을 배치했다는 점”을 주목한다. 이는 다른 사립 명문대에도 선례로 작용해, 앞으로 연방 자금을 둘러싼 협상에서 유사한 모델이 제시될 가능성이 크다.
용어 설명
• Vocational Program: 직업·기술 교육 과정으로, 특정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기술 습득을 목표로 한다.
• Antisemitism: 유대인에 대한 부당한 편견과 차별을 뜻하는 용어로, 지난 세기 유럽에서 극단적 형태(홀로코스트)로 나타난 바 있다.
이번 협상 결과가 공식화되면, 하버드는 연구 생태계 복원과 동시에 사회적 책임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게 된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고등교육계에 대한 개혁 요구’를 관철했다는 정치적 성과를 확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