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지표 발표 앞두고 S&P500 약보합…투자자 관망 속 뉴욕증시 혼조

뉴욕증시가 12일(현지시간) 발표될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앞두고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11일 미국 동부시간 오후 4시 기준,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99포인트(-0.5%) 하락했고, S&P500 지수는 -0.2% 밀렸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 역시 -0.3% 떨어지며 약세로 마감했다.

2025년 8월 1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이번 주 줄줄이 예정된 미국 물가·소비 지표와 연준(Fed)의 통화정책 방향성을 가늠하려는 모습이다. 특히 12일 발표될 7월 CPI, 14일 PPI(생산자물가지수), 15일 소매판매·미시건대 소비심리 지수가 단기간 시장 변동성을 키울 핵심 이벤트로 지목된다.


트럼프, 對중국 관세 90일 추가 연장

마켓 센티멘트에 부정적 영향을 준 요인 가운데 하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시한을 11월 9일까지 90일 추가 연장했다는 소식이다. 당초 시한은 8월 12일이었으나 전격적으로 연장되면서 “미·중 무역 불확실성”이 재부각됐다.

지정학적 변수도 여전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8월 15일 알래스카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동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는 2021년 6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제네바에서 푸틴 대통령을 만난 이후 현직 혹은 전·현직 미 대통령과 푸틴의 첫 대면이어서 외교적 파급력이 주목된다.


CPI·PPI·소매판매 “데이터 폭풍”

지난주 나스닥은 장중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고, S&P500도 종가 기준 고점에 근접했으나, 이번 주에는 물가·고용 이중 과제가 투자 심리를 시험할 전망이다.

ING는 “7월 근원 CPI 전월 대비 0.3%(연율 3.0%)를 시장 컨센서스로 제시하며, 고용 둔화를 감안할 때 연준이 9월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엔 ‘허용 가능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최근 3개월 연속 하향 조정된 비농업부문 고용지표를 근거로, 연준이 9월 FOMC에서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낼 가능성을 60% 이상으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다만 소비자·생산자 물가가 여전히 연준 목표치(2%)를 웃도는 만큼, 관세 인상에 따른 2차 물가 압력이 변수로 떠올랐다.


반도체·AI 종목별 변동성 확대

개별 종목으로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2025 회계연도 4분기 가이던스를 상향하며 메모리 가격 회복 기대를 자극, 주가가 상승했다. 반면 엔비디아(NVDA)AMD“중국 판매분 이익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할 수 있다”는 보도에 따라 변동성이 커졌다.

인공지능(AI) 플랫폼업체 C3.ai는 예비실적(가이던스)이 기대를 밑돌며 급락했다. 유전자치료 개발사 Sarepta Therapeutics·Capricor TherapeuticsVinay Prasad 박사가 FDA 복귀 가능성이 전해지자 하락세를 보였다.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 CoreWeave는 JPMorgan이 목표가를 $66 → $135로 상향 조정하면서 7% 급등했다.


용어 해설 및 시장 전망

CPI(Consumer Price Index)는 소비자물가 수준을, PPI(Producer Price Index)는 생산자물가를 측정해 인플레이션 추세를 가늠하는 대표 지표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물가안정(2%)과 최대 고용 달성이라는 이중 목표를 추구한다.

또한 AI 반도체는 고도의 연산을 수행하는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뜻한다. 최근 미국 정부가 국가안보를 이유로 첨단 AI 칩의 대(對)중국 수출 통제를 강화하면서, 엔비디아·AMD 등 관련 업체들의 매출·이익 구조에 직격탄이 우려된다.

전문가 시각

필자는 미국의 하반기 물가 경로관세 정책임금 상승세에 의해 좌우될 것으로 본다. 근원 CPI가 0.2%대 후반에 머물고 고용 둔화가 이어진다면 9월 금리 인하는 현실화될 수 있다. 반대로 관세·원자재 가격이 CPI를 자극할 경우, 연준은 인하 속도 조절 또는 빅스텝 동결을 선택할 여지도 있다.

투자자 입장에선 헷지 전략으로 금리 민감 업종(리츠·유틸리티)과 경기방어 소비재를 병행하고, 데이터 발표 전후로 변동성 확대에 대비옵션 전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