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금에 대한 관세는 없다”고 공식 선언했다. 이 소식은 미·중 무역 분쟁과 귀금속 가격 변동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국내 투자자들에게도 즉각적인 파급 효과를 낳을 전망이다.
2025년 8월 11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Gold will not be Tariffed!”라는 짧은 글을 올려 금괴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시장의 우려를 일축했다. 이는 2023년 12월 22일 태국 방콕의 YLG 불리언 인터내셔널 본사에서 1㎏짜리 금괴를 취급하는 직원의 모습이 찍힌 블룸버그 통신 사진이 재조명되며, 금 선물 가격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은 지 불과 사흘 만에 나온 발표다.
앞서 8월 8일 미 관세국경보호청(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CBP)은 “금괴는 상호주의 관세에서 제외되지 않았다”고 밝혀, 귀금속 시장에 혼선을 야기했다. 불과 하루 뒤인 9일, 백악관은 ‘금괴ㆍ특수 제품 관세 관련 오해(misinformation)를 명확히 밝히겠다’는 행정명령(E.O.)을 예고했으며, 11일 대통령의 직접 발언으로 공식 입장을 마무리했다.
“Gold will not be Tariffed!” — 도널드 트럼프, 2025년 8월 11일 트루스 소셜 게시물
시장에서는 금 선물(futures)이란 용어에 대한 이해 부족이 투자 판단 착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 선물은 장래 일정 시점에 금을 정해진 가격으로 인수·인도하기로 약정한 계약으로, 가격 변동성이 주식보다 크다. 관세(tariff)는 정부가 수입품에 매기는 세금으로, 부과 여부에 따라 해당 상품의 국제가격이 급격히 조정될 수 있다.
금시장은 이번 트럼프 발언 이전까지 ‘관세 부과 가능성’이라는 변수에 예민하게 반응했다. 특히 12월 22일 런던 금속거래소(LME) 기준 금값이 온스(31.1035g)당 미화 2,440달러를 경신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금괴에 관세를 부과하면 글로벌 금값이 추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나, 대통령의 직접 부인으로 과열 심리가 다소 진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정책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켰다. CBP의 애매한 해석과 미디어의 확대 재생산은 ‘금 관세’라는 루머를 낳았고, 불과 며칠 만에 금 선물 시장을 과열시켰다. 백악관이 신속히 해명에 나섰지만, 정책·실행 기관 간 메시지 불일치가 야기한 혼란은 개인투자자의 위험 노출을 극대화했다.
전문가 통찰기자 주: 금은 전통적 안전자산으로, 지정학적 리스크와 달러 약세에 반응해 가격이 급등락한다. 그러나 최근 금값 상승은 단순한 안전자산 선호를 넘어,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종목과 함께 “유동성 수혜 자산”으로 재조명받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관세 여부는 단기적 촉매에 불과하며, 투자자들은 금리·달러지수·비축은행(BIS) 규제 등 거시 변수를 종합적으로 살펴야 한다.
용어 설명
• 관세(tariff): 정부가 특정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국내 산업 보호 및 재정 확보 목적을 가진다.
• 금 선물(futures): 미래 시점에 일정 가격으로 금을 매매하기로 약정한 파생상품.
• 트루스 소셜(Truth Social): 2021년 트럼프 미 대통령이 설립한 자체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위터와 유사하지만, 특유의 보수 성향 사용자를 주축으로 성장했다.
향후 시장의 관심은 백악관이 예고한 행정명령의 구체적 문구와 적용 범위에 쏠린다. 세부 지침이 명확히 발표되면, 금 및 기타 특수 상품에 대한 관세 가능성은 사실상 원천 차단될 전망이다. 다만 관세 정책이 대선(2026년) 정국에서 다시 쟁점화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정책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