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2일 중기 시황분석 – AI 열풍과 관세불확실성, 그리고 소비·물가 데이터의 삼중주

2025년 8월 12일 미국 증시 중기(2~4주) 전망 종합 보고서

작성자: Economic Data & Markets Lab / 편집장 김데이터


Ⅰ. 서론 – 최근 시장 상황 요약

지난 8월 둘째 주(8/5~8/9) 뉴욕 3대 지수는 AI·반도체에 대한 FOMO(Fear of Missing Out) 매수세와 중국 리스크 완화 기대가 맞물리며 사상 최고치 근접 흐름을 재개했다. 그러나 주 후반 중국 관세 휴전 연장 불투명, 소매·소비 지표 발표 대기 등 이벤트를 앞두고 차익 실현이 유입되며 박스권에 안착했다.

  • S&P 500: 5,430p 부근, 주간 +0.8%
  • 다우지수: 42,380p 부근, 주간 +0.6%
  • 나스닥100: 19,750p 부근, 주간 +1.4%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SOX): 5,260p 부근, 주간 +2.7%

시장 변동성(VIX)은 13선 아래에서 역사적 저점권을 유지 중이다. 넥스트 카탈리스트는 크게 세 갈래—① AI·반도체 실적과 공급망 뉴스플로, ② 미·중 관세 협상, ③ 미국 7월 CPI·PPI·소매판매 지표—로 압축된다.

Ⅱ. 주요 이슈별 데이터·뉴스 하이라이트

1) AI·반도체 – ‘매출공유 15%’ 합의와 GPU 공급난

세부 뉴스 시장 의미 중기(2~4주) 관전 포인트
엔비디아·AMD, 中 매출 15%를 연방정부에 납부 조건으로 H20·MI308 수출 재개 ① 중국 매출 공백 축소 ② 공급망 디커플링 리스크 단기 진정 ③ 장기적으론 ‘세금 모델’ 선례 • 8/27 엔비디아 실적
• 中 CSP(알리·바이두) 수주 동향
• 美 국방부·상무부 추가 요구사항
JP모건, CoreWeave 목표주가 2배 상향(66→135달러) AI 인프라 부족 → GPU 임대 요금 강세 → 2차·3차 수혜주 랠리 • CSP CapEx 가이던스
• 미국 서부 전력망 병목 이슈
C3 AI 실적 쇼크·CEO 건강 이슈, 주가 -30% ‘AI 수익화 장벽’ 재부각 → 과도한 밸류 종목 옥석 가리기 본격화 • 9/3 컨퍼런스콜에서 신규 파이프라인·마진 로드맵 제시 여부

2) 정책·거시 – 관세 휴전, 연준·CPI, 브라질·아르헨 물가

관세 휴전(8/12 시한): 미·중 양국은 90일 한시적 관세 완화 연장 합의를 막판까지 타결 못 하고 있다. 결렬 시 20% 추가 관세 + 기존 25%가 동시 부활, S&P 500 EPS 2~3% 하향 압력.

7월 CPI 컨센서스: 전월 대비 +0.2%, 전년 대비 +3.0% 예상. 코어 CPI는 +3.7% 예상. 세부 항목 중 주거비 (+0.4 MoM), 서비스임금, 중고차 가격이 핵심 변수.

연준: 시장 금리선물 (8/12 체결 기준) ⇒ 12월 25bp 첫 인하 확률 58%. CPI·고용 두 세트 이상 “냉각 확인” 시 10월 FOMC에서도 ‘빅컷’ 기대가 유입될 수 있음.

3) 리튬·대체자원 – CATL 광산 가동 중단, 리튬 광산주 10%↑

중국 CATL 이춘 프로젝트 광산 채굴 허가 만료 → 글로벌 공급량 4% 공백 우려. Albemarle +11%, Sprott Lithium ETF +6%. 중기적으로 배터리 밸류체인 업체 스프레드 확대 가능.

4) 소비·엔터 – 파라마운트·UFC 77억 달러 중계권, AMC 실적 서프라이즈

스트리밍 가입자 둔화→스포츠·프리미엄 콘텐츠로 수익 모델 재편. Paramount+, AMC 모두 관객 1인당 매출/가입 유지율 상승. 단기 소비심리는 600달러 관세 환급 법안, 주방위군 배치 논쟁 등 정치 이벤트 노이즈가 상존.

Ⅲ. 차트로 보는 핵심 지표

S&P vs AI지수 차트
S&P 500 vs AI 테마지수 6개월 추이
GPU 가격 추이
중고 A100 GPU 스팟 가격(달러)
유가스프레드
WTI–Brent 스프레드 & 리튬현물
10년물·VIX
미 10년물 국채 금리 & VIX

Ⅳ. 중기(2~4주) 시나리오·섹터별 전략

1) 거시 시나리오 매트릭스

CPI 결과 관세 협상 금리·달러 S&P 500 예상밴드 주요 섹터
헤드라인 3.0% 미만(깜짝 둔화) 휴전 연장 10Y 3.9%↓ / DXY 98선↓ 5,500~5,600p(신고가) AI + 반도체 + 소비재
헤드라인 3.0~3.3%(컨센 근접) 휴전 미타결(관세 부활) 10Y 4.1%↑ / DXY 100선↑ 5,200~5,350p(조정) 리튬·에너지·스태플
헤드라인 3.3% 이상(재가속) 휴전 연장 10Y 4.2%↑ / DXY 99선 5,150~5,250p 디펜시브·고배당
헤드라인 3.3% 이상 관세 부활 + 규제 리스크 10Y 4.3%↑↑ / DXY 101선 4,950~5,100p(하단 확인) 골드·달러·단기국채

2) 섹터별 체크포인트

  1. AI·반도체: 엔비디아 실적 + GPU 수출 + 하이퍼스케일러 CapEx → 모멘텀 유지. 다만 고밸류주·클라우드 사용량 둔화 구간에서 조정시 거리두기 전략.
  2. 리튬·EV 밸류체인: CATL 공급 쇼크로 단기 반등 → Albemarle, SQM, Gangfeng 등 트레이딩 구간. 저전력 LFP → 고니켈 NCM mix 변화 모니터링.
  3. 소비·엔터: 파라마운트 + UFC 중계권, AMC 1인당 매출 → 스트리밍주 ARPPU 개선 베팅. 단 미·중 관세 → 의류·가구 CPI 상승 경계.
  4. 대마초: 연방 스케줄 Ⅰ→Ⅲ 가능성 & 담배주 스핀오프 기대. MSOS ETF + 캐나다 대형주 단기 모멘텀.

Ⅴ. 포트폴리오 제안

[표] 필진 제안 2~4주 집중 트레이딩 바스켓

섹터 티커 비중(%) 타깃가(4주) 손절가 코멘트
AI GPU NVDA 15 230달러 195달러 실적 & 중국 수출 모멘텀
AI Infra CRWV 10 145달러 105달러 하이퍼스케일러 CapEx 수혜
리튬 ALB 10 165달러 135달러 CATL 공급 쇼크 반사이익
소비 & 스트리밍 PARA 10 18달러 13달러 UFC 중계권·합병 시너지
대마 ETF MSOS 5 14달러 11달러 스케줄 Ⅲ 재분류 옵션형
현금 50 관세·CPI 변동성 대응

Ⅵ. 리스크 매트릭스

  • 정책 리스크: 관세·IRA·수출규제 등 → EPS 스윙 ±3~5%
  • 거시 리스크: CPI 재가속·원유 80달러 돌파 → 금리 4.3% 테스트
  • 유동성 리스크: 국채 발행 & 역환매(RRP) 축소 속도 → MMF 자금흐름 모니터링
  • 실적 리스크: AI 후행주(C3 AI·PLTR) 가이던스 쇼크 → 테마 콤프레션(Compression)
  • 지정학 리스크: 홍콩 법원 中부동산 개발사 청산, 이스라엘·우크라 긴장 → 리스크 프리미엄 확대

Ⅶ. 결론 & 투자 조언

미국 증시는 8월 중순~9월 초까지 ‘데이터·정책·실적 3중 줄다리기’ 국면을 통과한다. AI·반도체 모멘텀은 살아 있으나, 관세·물가 지표가 교차로 작용해 하단 5,050~5,100p / 상단 5,600p 레인지 장세를 전망한다. 중기 투자자는 다음 세 가지 지침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1. 사실·가시성 중심 편향: 실적과 현금흐름이 확인된 ‘AI 인프라 & 밸류체인’ 핵심주 (NVDA·AVGO·MSFT) 우선.
  2. 교체매매 탄력 활용: 이벤트(실적 쇼크·정책 헤드라인) 발생 시 급변동 종목(리튬·대마·소비재)을 스윙 트레이딩에 편입.
  3. 현금 50% 방어: CPI·관세 불확실성 해소 전까지 단기 국채 ETF·머니마켓펀드 5%+ 금리 수익 → 리밸런싱 원천.

© 2025 Markets & Data Column. 본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