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업체인 CATL(컨템퍼러리 앰퍼렉스 테크놀로지)이 핵심 광산의 조업을 전격 중단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리튬 생산업체들의 주가가 동반 급등하며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25년 8월 1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CATL은 장시성(江西省) 이춘(宜春)에 위치한 리튬 광산의 채굴 허가가 8월 9일부로 만료됐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해당 광산은 즉시 생산을 중단했으며, 회사 측은 “허가 갱신 후 재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CATL은 전체 사업 운영에는 중대한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으나, 시장은 공급 차질 가능성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다. 특히 양극재에 들어가는 리튬 가격은 수급 변화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이는데, 이번 사태가 단기 공급 부족·가격 상승 우려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이날 홍콩 증시에서 간펑리튬(강봉리튬·1772.HK) 주가가 장중 20% 폭등했고, 톈치리튬(천기리튬)도 15% 급등했다. 심천거래소에서는 청신리튬그룹이 10% 상한가를 기록했다.
산업·시장 영향 분석
전문가들은 이번 허가 만료가 단기 이벤트에 그칠 가능성을 주목하면서도, 배터리 소재 “슈퍼사이클” 재점화의 도화선이 될 수도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중국 내 리튬 광산 허가 절차는 통상 수 주 이내에 재발급되지만, 최근 환경·안전 규제가 강화되면서 심사가 길어질 수 있다. 그간 공급이 팽창하면서 리튬 가격이 조정을 받았는데, 이번 이슈로 심리적 저점이 형성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익명을 요구한 소재 업계 애널리스트
리튬 가격은 2023년 고점 대비 절반 이상 하락한 상태다. 그러나 2025~2026년 전기차 수요 확대로 다시 공급 부족이 예상된다는 전망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CATL 광산 중단은 가격 반등의 촉매가 될 수 있다는 해석이다.
시장 구조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CATL은 배터리 셀뿐만 아니라 upstream(광산·제련)까지 수직계열화를 추진해 왔으며, 이춘 광산은 그러한 전략의 핵심 자산 중 하나다. 허가 문제로 가동이 멈추면서 “밸류체인 안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가운데, 광산·정제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순수 리튬 업체들이 상대적 수혜를 누리고 있다.
규제·허가 프로세스 해설
중국 광산법상 ※참고: 2023년 개정 채굴권은 통상 3~5년마다 갱신해야 한다. 갱신 신청 시 ▲환경영향평가(EIA) ▲안전성 평가 ▲지방정부 의견 수렴 등을 거치는데, 최근 중앙정부가 “친환경·저탄소“와 “안전 생산” 기준을 강화하면서 행정 절차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번 CATL의 라이선스 공백은 새로운 규제 환경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레이딩·투자 시사점
투자자들은 단기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야 한다. 허가 재발급 지연 시, 리튬 현물 가격이 톤당 5~10% 추가 상승할 여지가 있다. 반면 허가가 조속히 해결되면 급등했던 리튬 관련주가 차익 매물에 눌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CATL은 공시에서 “전사적 물량 조달 및 고객 납품 일정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그러나 배터리 생태계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는 쉽게 냉각되지 않을 전망이다.
시장 관계자들은 “이번 이슈로 리튬 가격과 관련 종목 변동성이 커지겠지만, 구조적 성장 스토리는 유효하다“고 입을 모은다. 다만 환경·안전 규제가 리튬 채굴의 새 변수로 부상한 만큼, 투자 판단 시 해당 리스크를 반영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용어 설명
리튬(Lithium)은 배터리 양극재에 들어가는 알칼리 금속으로, 에너지 밀도를 좌우한다. Upstream·Downstream은 각각 원자재 채굴·정제와 셀·모듈·완성품 제조 단계를 의미한다. 슈퍼사이클은 장기 상승 추세가 반복되는 원자재 시장의 특성을 가리키는 용어다.
전망 및 결론
결론적으로 CATL의 광산 조업 중단은 허가 만료라는 행정적 사유로 발생했으며, 회사 측이 “단기간 내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음에도 리튬 공급망의 잠재적 불안을 재조명했다. 이에 따라 리튬 가격 반등 기대와 관련 종목 주가 급등이 동시에 나타났다. 투자자·산업계는 허가 재발급 속도, 추가 규제 여파, 글로벌 수요 흐름을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