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 타이트닝 우려에 커피 선물 3주 만에 급등

■ 시세 급등
9월물 아라비카 커피 선물(KCU25)은 8월 8일(금) 뉴욕 ICE 선물시장에서 전일 대비 11.55센트(+3.88%) 오른 309.80센트에 마감했다. 같은 만기의 ICE 로부스타 커피(RMU25)도 143달러(+4.18%) 급등한 3,565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2025년 8월 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주 내내 이어진 상승 랠리는 이날 3주 만의 최고가를 경신하며 정점을 찍었다. 시장에서는 공급 부족 신호가 가격을 떠받치고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아라비카 가격 차트

■ 브라질의 수출 감소
브라질 무역부 자료에 따르면 7월 비가공(그린빈) 커피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0.4% 감소한 16만1,000톤에 그쳤다. 세계 최대 아라비카 생산국의 공급 감소 소식은 곧바로 선물시장으로 전이돼 매수세를 자극했다.

로부스타 가격 차트

■ 재고 동향
ICE가 모니터링하는 아라비카 재고는 8월 8일 기준 73만8,095포대로 14.5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로부스타 재고는 8월 4일 7,029로트로 1년 만의 최고치를 나타내 대조를 이뤘다.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간 재고 흐름이 엇갈리면서 스프레드 거래가 활발해졌다”(시카고 소재 선물 브로커).

■ 환율 효과
같은 날 브라질 헤알화(USD/BRL)는 1개월 만의 고점을 경신했다. 통상 헤알화가 강세를 보이면 브라질 생산자들의 달러 표시 수익이 줄어 수출 유인이 약화된다. 이는 국제 시세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 미국 관세 변수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까지 브라질산 커피를 50% 관세 부과 대상에서 면제하지 않았다. 업계는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 수입 감소 → 브라질 내 재고 증가 → 글로벌 공급 부담”의 악순환을 우려한다.

■ 기상 요인
민간 기상업체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8월 2일 주간 보고서에서,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 미나스제라이스주의 강수량이 평년 대비 31% 수준(2.7㎜)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건조한 날씨는 수확기 품질을 끌어올리지만 내년 작황에는 부담이라는 평가가 엇갈린다.


■ 수확 진행률

브라질 조사기관 사프라스&메르카두(Safras & Mercado)에 따르면 2025/26년 작황 기준 전체 커피 수확률은 8월 6일 현재 94%로, 전년 동기의 92%를 앞질렀다. 품목별로는 로부스타 99%, 아라비카 91% 수준이다. 한편 브라질 최대 협동조합 코옥수페(Cooxupe)는 8월 1일 기준 74%의 수확 완료율을 보고했다.

■ 국제 무역 동향
국제커피기구(ICO)는 8월 6일 보고서에서 6월 전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7.3% 증가한 1,169만 포대라고 집계했다. 다만 2024년 10월~2025년 6월 누적 수출은 0.2% 감소한 1억414만 포대로, 공급 과잉 우려가 일부 완화됐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 장기 공급 전망
미 농무부(USDA) 산하 해외농업국(FAS)은 6월 25일 반기 보고서에서 2025/26년 세계 커피 생산량을 1억7,868만 포대(+2.5% YoY)로 전망했다. 같은 기간 로부스타 생산은 7.9% 늘지만 아라비카 생산은 1.7%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종가 기준 동 보고서는 커피 시세를 압박하는 약세 요인으로 해석됐다.

■ 브라질·베트남 변수
① USDA/FAS는 브라질 2025/26년 생산이 0.5% 늘어난 6,500만 포대, 베트남은 6.9% 증가한 3,100만 포대(4년 만의 최고치)로 예측했다.
② 세카페(Cecafe)는 7월 16일, 브라질의 6월 그린빈 수출이 전년 대비 31% 줄어든 230만 포대라고 발표했다.
③ 반면 베트남 통계청은 2025년 1~7월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한 105만t라고 집계했다. 전년 한·미 대홍수가 야기한 작황 부진 이후 생산 회복세가 뚜렷하다는 평가다.

■ 수급 균형표
스위스 무역기업 볼카페(Volcafe)는 2025/26년 아라비카 시장이 850만 포대 부족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이는 5년 연속 적자 구조다.


■ 용어 설명

1 포대(bag)는 국제 커피 시장에서 통용되는 단위로, 60㎏을 의미한다.
2 ICE(Intercontinental Exchange)는 각종 농산물·에너지 선물을 상장하는 글로벌 거래소다.
3 로트(lot)는 선물·선도계약의 최소 거래단위를 뜻한다.
4 USDA/FAS는 미국 농무부 산하 해외농업국으로, 작황·무역 통계를 반기마다 발표한다.

■ 시장 영향 및 전망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커피 브랜드들은 원가 상승 압력을 흡수하기 위해 소매가 인상 혹은 헤지 거래 확대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국내 커피전문점 역시 원두 조달 비용 증가분을 소비자 가격에 반영할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라니냐 전환, 미·브 관세 갈등, 헤알화 변동성”을 3대 변수로 꼽으며, 하반기 변동성이 이미 연중 최고 수준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아라비카 공급 적자 구조가 해소되지 않는 이상, 가격은 고점 부근에서 박스권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홍콩계 커피 트레이더)

■ 투자자 유의사항
본 기사에서 언급된 시세·전망은 정보 제공이 목적이며,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 기사 집필 시점 기준으로 필자 및 관련 기관은 해당 상품에 대해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