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실적 시즌이 본격화되면서 금(金) 생산 대기업 바릭 골드(뉴욕증권거래소: B), 신약 개발사 로이벤트 사이언스(나스닥: ROIV), 헬스케어 공급망 전문업체 오웬스앤마이너(뉴욕증권거래소: OMI) 등 다양한 업종의 핵심 기업들이 12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을 공개한다. 투자자와 애널리스트는 이번 발표를 통해 광업·바이오테크·의료 서비스 등 각 산업 전반의 체력을 가늠하고, 개별 종목의 향후 주가 모멘텀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25년 8월 8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발표는 개장 전(프리마켓)과 폐장 후(애프터마켓) 두 구간으로 나뉜다. 시장에서 가장 주목하는 지표는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EPS)과 매출(Revenue) 전망치 대비 실제치다. EPS는 기업이 주주 한 명당 어느 정도의 이익을 창출했는지 보여주는 핵심 수익성 척도이며, 매출은 기업의 외형 성장 여부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다. 전망치를 상회할 경우 ‘어닝 서프라이즈’로 간주돼 주가에 긍정적인 촉매제가 될 수 있고, 반대로 하회하면 ‘어닝 쇼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개장 전(프리마켓) 실적 발표 예정 기업
- 바릭 골드: EPS 예상치 0.4366달러, 매출 37억3,000만 달러
- 로이벤트 사이언스: EPS -0.2463달러, 매출 769만 달러
- 오웬스앤마이너: EPS 0.2885달러, 매출 27억3,000만 달러
- 볼라드 파워 시스템즈(NASDAQ: BLDP): EPS -0.0906달러, 매출 1,869만 달러
- 그린 플레인스 리뉴어블(NASDAQ: GPRE): EPS -0.3258달러, 매출 6억1,022만 달러
- 매디슨 스퀘어 가든 스포츠(SPHR): EPS -1.55달러, 매출 2억8,659만 달러
- 미국 유에스 셀룰러(NYSE: USM): EPS 0.295달러, 매출 9억763만 달러
- 텔로스(NASDAQ: TLS): EPS -0.0659달러, 매출 3,343만 달러
- 텔레폰 앤드 데이터 시스템즈(NYSE: TDS): EPS 0.0066달러, 매출 11억7,000만 달러
- 모터카 파츠 오브 아메리카(NASDAQ: MPAA): EPS 0.31달러, 매출 1억8,010만 달러
- CEVA(NASDAQ: CEVA): EPS 0.06달러, 매출 2,598만 달러
- I.D. 시스템즈(NASDAQ: AIOT): EPS -0.005달러, 매출 1억455만 달러
- 페리온 네트워크(NASDAQ: PERI): EPS 0.1725달러, 매출 9,113만 달러
- 유로드라이(NASDAQ: EDRY): EPS -0.865달러, 매출 1,325만 달러
- 엑셀러레이트 에너지(EE): EPS 0.2945달러, 매출 2억4,320만 달러
- AAON(NASDAQ: AAON): EPS 0.3433달러, 매출 3억2,615만 달러
- 링컨 에듀케이션(NASDAQ: LINC): EPS 0.03달러, 매출 1억1,396만 달러
- 키메라 테라퓨틱스(NASDAQ: KYMR): EPS -0.8325달러, 매출 2,000만 달러
- 돌(뉴욕증권거래소: DOLE): EPS 0.5108달러, 매출 21억6,000만 달러
- 하버드 바이오사이언스(NASDAQ: HBIO): EPS -0.005달러, 매출 2,140만 달러
- 와이드오픈웨스트(NYSE: WOW): EPS -0.175달러, 매출 1억4,362만 달러
- 레전드 바이오텍(LEGN): EPS -0.1153달러, 매출 2억3,423만 달러
- 빌리지 팜스(NASDAQ: VFF): EPS -0.0152달러, 매출 7,607만 달러
- L.B. 포스터(NASDAQ: FSTR): EPS 0.59달러, 매출 1억4,679만 달러
- K92 마이닝(TSX: KNT): EPS 0.1488달러, 매출 9,365만 달러
- 프랑코 네바다(NYSE: FNV): EPS 1.13달러, 매출 3억7,591만 달러
- 럼블(RUM): EPS -0.09달러, 매출 2,505만 달러
- 소니다 시니어 리빙(SNDA): EPS -0.63달러, 매출 미공개
- WW 인터내셔널(OTC: WGHTQ): EPS 0.20달러, 매출 미공개
폐장 후(애프터마켓) 실적 발표 예정 기업
- 플루언스 에너지(FLNC): EPS -0.0104달러, 매출 7억6,945만 달러
- 아폴로 인베스트먼트(NASDAQ: MFIC): EPS 0.3768달러, 매출 8,174만 달러
- 플러그파워(NASDAQ: PLUG): EPS -0.1555달러, 매출 1억5,848만 달러
- 게티 이미지(GETY): EPS 0.0593달러, 매출 2억3,450만 달러
- 어퀘스티브 테라퓨틱스(NASDAQ: AQST): EPS -0.1667달러, 매출 1,132만 달러
- 고프로(NASDAQ: GPRO): EPS -0.0667달러, 매출 1억4,615만 달러
- 셀라니즈(NYSE: CE): EPS 1.4달러, 매출 25억 달러
- AMC 엔터테인먼트(NYSE: AMC): EPS -0.0922달러, 매출 13억1,000만 달러
- 마라바이 라이프사이언스(MRVI): EPS -0.0728달러, 매출 4,761만 달러
- 발리스(BALY): EPS -0.3908달러, 매출 6억2,793만 달러
- 라이브퍼슨(NASDAQ: LPSN): EPS -0.1925달러, 매출 6,163만 달러
- 퍼브매틱(PUBM): EPS -0.1584달러, 매출 6,784만 달러
- 하로우(NASDAQ: HROW): EPS 0.0072달러, 매출 6,600만 달러
- 럼블온(NASDAQ: RMBL): EPS 0.0067달러, 매출 3억728만 달러
- 지보(NASDAQ: GEVO): EPS -0.0696달러, 매출 3,955만 달러
- 벨라이트 바이오(BLTE): EPS -0.388달러, 매출 0달러
- 할라도어 에너지(NASDAQ: HNRG): EPS -0.17달러, 매출 9,405만 달러
- 인터멕스(IMXI): EPS 0.5011달러, 매출 1억6,454만 달러
- 제논 파마슈티컬스(NASDAQ: XENE): EPS -0.9873달러, 매출 0달러
- 밥콕&윌콕스(BW): EPS -0.0733달러, 매출 1억8,207만 달러
- 래피드 페이먼트(RPAY): EPS 0.1996달러, 매출 7,357만 달러
- 비언트 테크놀로지(DSP): EPS 0.0078달러, 매출 4,786만 달러
- 그린닷(NYSE: GDOT): EPS 0.299달러, 매출 4억6,086만 달러
- 페넌트파크 플로팅 레이트 캐피털(NYSE: PFLT): EPS 0.2931달러, 매출 6,604만 달러
- 마서리치(NYSE: MAC): EPS -0.0788달러, 매출 2억2,714만 달러
- 알록라(ARCT): EPS 3.21달러, 매출 1억9,177만 달러
- 그로우제너레이션(NASDAQ: GRWG): EPS -0.1002달러, 매출 4,095만 달러
- ACV 옥션즈(ACVA): EPS 0.0771달러, 매출 1억9,612만 달러
- 메리디언링크(MLNK): EPS 0.0956달러, 매출 8,154만 달러
- 3D 시스템즈(NYSE: DDD): EPS -0.1125달러, 매출 1억391만 달러
- 페넌트파크 인베스트먼트(NYSE: PNNT): EPS 0.18달러, 매출 2,981만 달러
- 텔라 바이오(NASDAQ: TELA): EPS -0.176달러, 매출 2,067만 달러
- 머큐리 컴퓨터(NASDAQ: MRCY): EPS 0.2206달러, 매출 2억4,361만 달러
- 내추럴 가스 서비스 그룹(NYSE: NGS): EPS 0.2567달러, 매출 4,187만 달러
- 아처 에어로스페이스(ACHR): EPS -0.2514달러, 매출 267만 달러
- 집리크루터(ZIP): EPS -0.1311달러, 매출 1억1,174만 달러
- 애스펜 파마(NASDAQ: ASRT): EPS -0.076달러, 매출 2,787만 달러
- 힐렌브랜드(NYSE: HI): EPS 0.495달러, 매출 5억7,248만 달러
- 퀘스트 리소스(NASDAQ: QRHC): EPS 0.05달러, 매출 7,256만 달러
- 엔안타 파마슈티컬(NASDAQ: ENTA): EPS -0.8403달러, 매출 1,617만 달러
- 아리스 워터 솔루션즈(ARIS): EPS 0.3062달러, 매출 1억2,076만 달러
- 프라임 어퀴지션(HPK): EPS 0.1075달러, 매출 2억1,534만 달러
- 캐니(뉴욕증권거래소: CNNE): EPS -0.27달러, 매출 1억1,110만 달러
- 빅베어 AI(BBAI): EPS -0.0633달러, 매출 4,119만 달러
- 마이오모(NYSE: MYO): EPS -0.098달러, 매출 917만 달러
- AST 스페이스모바일(ASTS): EPS -0.2133달러, 매출 556만 달러
- 플루이딤(NASDAQ: LAB): EPS -0.0667달러, 매출 3,983만 달러
- 아이하트미디어(NASDAQ: IHRT): EPS -0.245달러, 매출 9억1,235만 달러
- 버트라 시스템즈(NASDAQ: VTSI): EPS -0.05달러, 매출 579만 달러
- 아파트먼트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NYSE: AIV): EPS -0.11달러, 매출 5,462만 달러
- 프로피션트 오토 로지스틱스(PAL): EPS 0.34달러, 매출 미공개
- 케인앤더슨 BDC(KBDC): EPS 0.44달러, 매출 미공개
- 퀍트 홈 메디컬(QIPT): EPS -0.0357달러, 매출 5,935만 달러
- 컴퍼스 미네랄스(NYSE: CMP): EPS -0.01달러, 매출 2억760만 달러
- 사베스프(NYSE: SBS): EPS 0.2946달러, 매출 12억 달러
- 가이아(NASDAQ: GAIA): EPS -0.07달러, 매출 2,443만 달러
- FGI 인더스트리스(FGI): EPS -0.03달러, 매출 3,346만 달러
- ARQ(구 ADA-ES, NASDAQ: ARQ): EPS -0.0295달러, 매출 2,661만 달러
- 엑소더스 무브먼트(EXOD): EPS 0.472달러, 매출 3,150만 달러
- 애틀랜틱 어퀴지션(HFFG): EPS 0.025달러, 매출 3억93만 달러
- INR 내추럴 리소스(INR): EPS 0.56달러, 매출 미공개
- TAT 테크놀로지스(TATT): EPS 0.29달러, 매출 4,413만 달러
“실적 시즌은 단순한 숫자 발표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EPS와 매출이 컨센서스를 상회할 때 시장은 해당 기업의 미래 현금흐름과 성장성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한다.”
전문가 시각에서 볼 때, 금리 상승과 글로벌 경기 둔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환경에서는 원자재·헬스케어·기술주의 실적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특히 바릭 골드와 같은 금 생산 업체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 따라 가격 민감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플러그파워·볼라드 파워 시스템즈 등 수소·연료전지주는 정책 모멘텀에 따라 큰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한편, EPS와 매출이라는 용어가 낯선 투자자를 위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PS는 기업 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단기 수익성 파악에 유용하다. 매출은 기업이 일정 기간 벌어들인 총 판매금액으로, 성장 속도를 판단할 때 핵심 척도다. 두 지표는 서로 보완적이며, ‘매출 성장+이익률 개선’이 동반될 때 주가가 가장 강한 상승 탄력을 받는 경향이 있다.
이번 실적 발표 결과는 13일 개장과 동시에 주식·선물·옵션 시장 전반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기술적 매매 전략을 구사하는 트레이더들은 사전 공시된 컨센서스를 기준으로 장전·장후 거래(프리·애프터마켓)에서 급격한 가격 변동을 노린다. 보수적 투자자라면 변동성 확대 구간에서 리밸런싱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번 기사는 AI 보조 기능을 활용해 작성됐으며 최종 검수는 편집자가 수행했다. (T&C 정책에 따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