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증시, 국채금리 상승·관세 발표 속 혼조 마감

뉴욕증시가 7일(현지시간) 국채 금리 상승과 무역 관세 관련 뉴스가 교차하는 가운데 혼조세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08% 하락했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51% 떨어졌다. 반면 나스닥 100 지수는 0.32% 상승했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04% 내렸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38% 올랐다.

2025년 8월 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장 초반 미국 주가는 기술주 강세로 상승 출발했으나, 오후 들어 국채 입찰 부진으로 금리가 뛰자 상승 폭을 반납하며 지수별로 엇갈린 흐름을 나타냈다.

장 초반 호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발표한 반도체 수입품 100% 관세 방침에서 ‘미국 내 생산 계획을 증명할 경우 예외를 인정한다’고 밝힌 점이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업종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여기에 러시아 정부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정상회담을 “향후 수일 내” 개최한다고 확인하면서 지정학적 불확실성도 완화됐다.

그러나 오후 들어 열린 연방재무부 300억 달러 규모 30년 만기 국채 입찰에서 Bid-to-Cover(응찰 대비 낙찰 비율)이 2.27로 최근 10회 평균(2.43)을 크게 밑돌자, 장기물 금리가 급등했고 주식시장은 압박을 받았다.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2bp 오른 4.24%를 기록했다.

실적 쇼크·견조한 지표 혼재

종목별로는 사이버보안 업체 포티넷이 연간 매출 전망을 하향 조정한 뒤 22% 급락해 시장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줬다. 제약사 일라이 릴리도 신규 체중 감량제 시험 데이터가 기대에 못 미치면서 14% 하락했다.

거시 지표는 ‘경기 둔화 – 연준 완화 기대’라는 두 얼굴을 보였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7,000건 증가한 22만6,000건으로, 예상치(22만2,000건)를 상회했다. 계속 실업수당 청구는 3년 9개월 만의 최고치인 197만4,000건으로 늘어 노동시장 냉각을 시사했다. 반면 2분기 비농업 생산성은 전기 대비 2.4% 증가해 예상치(2.0%)를 웃돌았고, 단위 노동비용은 1.6% 상승해 시장 전망(1.5%)보다 소폭 높았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메리 데일리 총재는 “노동시장 완화가 가속화될 경우 향후 수개월 내 정책 조정(금리 인하)이 필요할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애틀랜타 연은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올해 연준의 금리 인하는 25bp 한 차례에 그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9월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은 일주일 전 40%에서 91%로 급등했다.

무역정책 업데이트

트럼프 대통령은 6일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하되 미국 내 생산 계획을 제출하면 예외를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반도체가 탑재된 전자제품에는 별도 세금을 매기고,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한다고 밝혔다. 제약 제품에 대한 별도 관세안도 ‘향후 1주일 이내’ 공개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주 캐나다산 일부 제품 관세는 25%에서 35%로 올렸고, ‘10% 글로벌 최저·무역흑자국 15%+’라는 새로운 관세 규정도 이날 발효됐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해당 조치가 모두 시행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15.2%로 상승해, 새로운 관세 발표 전인 13.3% 및 2024년 2.3% 대비 큰 폭으로 높아질 것이라 추산했다.

해외 시장·채권 동향

해외 증시는 대체로 호조였다. 유럽 유로 Stoxx 50 지수는 1.31% 상승 마감했고, 중국 상하이 종합지수는 10개월 만의 최고치로 0.16% 올랐다. 일본 닛케이225도 0.65% 상승해 1주일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7월 수출은 예상치(5.6% 증가)를 웃돈 7.2% 증가, 수입은 4.1% 증가(예상 –1.0% 감소)로 1년 만의 최대폭을 기록해 세계 경기 전망을 뒷받침했다.

유럽 국채 금리는 국채시장 혼조 속에 10년물 독일 국채 수익률이 2bp 하락한 반면, 10년물 영국 길트 금리는 2.1bp 상승했다. 영란은행(BOE)은 이날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한 4.00%로 조정했다. 앤드루 베일리 총재는 “추가 완화도 가능하지만 점진적·신중히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종목 움직임

반도체 업종은 관세 예외 기대감 속에 선전했다. AMD가 5% 넘게 올랐고, ASML·램리서치가 각각 3% 이상 상승했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마이크론·KLA도 2% 이상 올랐다.

실적 호재를 발표한 기업들도 눈길을 끌었다. 더치 브로스가 22% 폭등했고, 에너지음료업체 셀시어스 홀딩스는 17% 급등했다. 듀오링고 13%, 앱러빈 11%, 인슐릿 9% 등도 강세를 보였다. 반면 포티넷 –22%, 크록스 –29%, 엘리 릴리 –14%, 에어비앤비 –8% 등은 급락했다.

경제 용어 한눈에 보기

Bid-to-Cover Ratio(응찰 대비 낙찰 비율): 국채 입찰에서 총 응찰액을 실제 낙찰액으로 나눈 값으로, 수요 강도를 가늠하는 지표다. 값이 높을수록 투자 수요가 많음을 의미한다.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미 연방준비제도 산하 공개시장위원회로, 미국의 기준금리 및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핵심 기구다.

연준 금리인하 기대 확대, 관세 정책, 기업 실적, 국제정세 등 다중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시장 변동성이 높아지는 양상이다. 투자자들은 오는 9월 FOMC와 각국 중앙은행 회의, 그리고 관세 세부 규정 발표를 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본 기사는 원문 ‘Stocks Close Mixed after Higher Bond Yields and Tariff News’를 번역·재구성한 것이며,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독자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