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리디아, 트윌리오 주식에 83% ‘퀀트 모멘텀’ 점수… 대형 성장주로서 강한 중기 상승세 확인

[기업 분석] 트윌리오(TWLO) 주식의 모멘텀·펀더멘털 종합 리포트가 공개됐다.

2025년 8월 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투자 리서치 업체 밸리디아(Validea)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래밍 업종 대형 성장주인 트윌리오(Ticker: TWLO)에 대해 웨슬리 그레이(Wesley Gray)의 ‘퀀터티티브 모멘텀 투자전략’ 모델을 적용한 결과, 83%의 점수를 부여했다.

80% 이상은 해당 전략이 종목에 ‘관심’을 보이는 수준이며, 90%를 넘기면 ‘강한 매수 관심’으로 분류된다. 트윌리오는 83%로 관심 구간을 통과했으며, 이는 중기 상대강도(Relative Performance)가 일관되게 우수하다는 뜻이다.


🚀 핵심 지표 및 평가

• 대형 성장주(Sector: Software & Programming)
• 테스트 항목: ① 기준지수 정의(통과) ② 12개월-1개월 모멘텀(통과) ③ 수익률 일관성(중립) ④ 계절성(중립)

밸리디아는 총 22개 ‘구루’ 전략을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종목마다 점수를 매긴다. 그중 웨슬리 그레이 박사의 퀀트 모멘텀 모델은 ‘중간 기간(12개월-1개월) 주가 상승률’을 핵심 변수로 삼는다. 트윌리오는 해당 구간에서 시장 대비 뛰어난 성과를 기록하며 1차 필터(12-1 모멘텀)와 유니버스 정의 항목을 모두 패스했다.

전략 용어 한눈에 보기

*퀀터티티브(Quantitative)란 ‘계량적’이란 의미로, 감정이 아닌 데이터·알고리즘을 통해 투자 결정을 내리는 방식을 말한다.
*모멘텀(Momentum) 투자란 과거에 강세였던 주식이 당분간 더 오른다는 통계적 경향에 베팅하는 전략이다.
*12-1 모멘텀은 최근 12개월 수익률에서 가장 최근 1개월 수익률을 제외해 일시적 변동성을 줄이는 방법을 뜻한다.


📊 세부 분석 링크

리포트는 Guru AnalysisFundamental Analysis에서 세부 항목별 점수를 제공한다. 이 자료에 따르면 ‘수익률 일관성’‘계절성’에서 중립(neutral) 평가를 받았지만, 대부분 핵심 요건을 충족해 종합 점수가 80%를 넘었다.

웨슬리 그레이 박사 소개

웨슬리 그레이는 알파 아키텍트(Alpha Architect) 창립자이자 『Quantitative Momentum』, 『Quantitative Value』의 공동 저자다. 시카고대에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유진 파마(Eugene Fama) 교수 밑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前 미국 해병대 장교 경력도 갖고 있다. 그의 연구는 ‘행동 편향을 억제한 시스템 투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 기자 관전평

83%라는 점수 자체는 ‘완벽’까지는 아니지만, 트윌리오의 최근 클라우드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사업 성장세를 고려할 때 모멘텀 전략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시그널로 읽힌다. 다만 모멘텀은 시장 변동성 확대 시 급격히 반전될 위험이 높다. 따라서 투자자는 리스크 관리(손절·포트폴리오 분산)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익률 일관성’과 ‘계절성’이 중립에 그쳤다는 점은 매 분기 실적 발표나 매크로 이벤트에 따라 주가 변동 폭이 클 수 있다는 위험 신호다. 이에 장기 보유보다는 트레이딩 관점에서 접근하는 전략이 어울린다.


🔎 추가 참고 자료

밸리디아는 트윌리오 외에도 나스닥100, 기술주, 대형 성장주, 반도체(Chip) 종목 등 다양한 섹터별 고모멘텀 리스트를 함께 제공한다. 투자자는 동일 모델을 다른 종목에 적용해 상대적 강도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밸리디아 측은 “본 리포트는 정보 제공 목적”이라고 재차 강조하며, 견해와 책임은 전적으로 작성자에게 있다고 명시했다. 이는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