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무장관 “관세 수입, 월 500억 달러까지 확대될 것” 전망

워싱턴 D.C. — 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관세 정책과 관련해 공격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향후 수개월 안에 미국 정부의 월간 관세 수입이 최대 500억 달러(약 66조 원) 규모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수십 개국에서 들어오는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가 본격 적용되면서 발생할 추가 세수 효과를 반영한 수치다.

2025년 8월 7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루트닉 장관은 이날 폭스비즈니스네트워크(Fox Business Network)와의 인터뷰에서 “반도체, 의약품 등 전략 산업에 대한 관세도 추가로 도입되면 관세 수입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미 시행 중인 관세 외에도 추가 품목군에 관세가 부과되면 재정적으로 상당한 버퍼(buffer)가 마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nd then you’re going to get the semiconductors, you’re going to get pharmaceuticals, you’re going to get all sorts of additional tariff money coming in.” — Howard Lutnick, Fox Business Network 인터뷰 중

관세(tariff) 및 레비(levy) 용어 해설*
‘관세’는 국가가 수입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무역수지 개선·재정 수입 확보 등을 목적으로 한다. ‘레비’는 특정 상품이나 활동에 매기는 징수금을 통칭하는데, 관세의 한 형태로 사용될 때가 많다. 본 기사에서 ‘higher levies’는 ‘더 높은 관세율 적용’을 의미한다.


中과의 관세 협상 시한 연장 가능성

폭스비즈니스 진행자가 중국과의 관세 협상 마감 시한(2025년 8월 12일) 연장 가능성을 묻자, 루트닉 장관은 “무역팀과 대통령이 최종 결정하겠지만 90일 정도 연장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여지를 남겼다. 이는 미‧중 간 무역협상이 극적인 결론 없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글로벌 통상 흐름을 보면, 미국은 공급망을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형태로 재편하고 있다. 즉, 지정학적으로 우호적인 나라들과의 교역 비중을 늘리는 대신, 전략 경쟁 관계에 있는 국가들에는 고율 관세비관세 장벽을 동원해 압박을 강화하는 전략이다. 미국이 반도체·배터리·의약품 등 핵심 분야를 ‘국가 안보’로 규정해 자국 산업으로 유턴시키려는 움직임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전문가 시각 및 시장 영향

월간 500억 달러라는 수치는 2024년 미 재무부 집계 기준 역대 최대 월간 관세 수입(약 290억 달러)의 1.7배가 넘는다. 만약 루트닉 장관의 전망이 현실화된다면, 국채 발행 부담 완화와 재정적자 축소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수입물가 상승국내 소비자 물가(CPI)에 대한 2차 파급 우려도 제기된다.

월가 일각에서는 “높은 관세는 단기적으로 달러 강세를 뒷받침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망 왜곡으로 비용 상승 압력을 키울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별도 보고서에서 고율 관세가 미국 제조업 생산자물가지수(PPI)를 최대 0.8%포인트 끌어올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관세 협상 전망

협상 시한 연장이 현실화되면, 미국과 중국은 남은 쟁점—특히 지식재산권 보호, 스마트 제조 장비희토류 분야—를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국 모두 2025년 하반기 내 정치 일정(미국 대통령 선거·중국 15차 5개년 계획 중간 점검)을 고려해 타협점을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

시장 참여자들은 90일 연장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외환·채권·상품 시장변동성 확대에 대비하고 있다. 특히 구리·알루미늄·리튬처럼 중국 의존도가 높은 원자재의 경우, 관세 협상 진척도에 따라 가격이 급변할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른다.


기자 해설 및 전망

필자는 루트닉 장관의 발언을 협상 전술로 평가한다. 거액의 관세 수입 “가능성”을 강조함으로써, 중국뿐 아니라 동맹국에도 재협상 압박을 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500억 달러 규모가 달성되기까지는 국내 정치적 합의, 국제사회의 반발, 세계무역기구(WTO) 규정 등 다수의 장벽이 존재한다.

또한 미국 소비시장이 여전히 공급망 외생 변수(예: 홍콩·대만 해협 리스크, 중동 지정학)에 취약하다는 점에서, 고율 관세는 이중적 효과를 낼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재정 강화’ 카드가 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고물가·고금리 고착화를 심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국기

결론적으로, 월 500억 달러 관세 수입이라는 수치는 정책 목표이자 협상 카드로서 정치적 활용도가 높다. 다만 실제 세수 확보까지는 국제무역 환경, 시장 반응, 소비자 물가 등 복합 요인이 작용한다. 향후 90일간 이어질 미·중 협상 결과가 글로벌 시장 방향성을 결정짓는 핵심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