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반도체 칩에 약 100%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이번 관세가 “미국 내 생산을 약속했거나 이미 공장을 짓고 있는 기업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2025년 8월 6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적용 대상과 예외 규정을 명확히 하며 “미국에 투자하는 기업에는 불이익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내 일자리와 기술 주권을 지키기 위해 과감한 조치를 취할 때”라고 역설했다.
트럼프 발언 “So 100% tariff on all chips and semiconductors coming into the United States. But if you’ve made a commitment to build (in the U.S.), or if you’re in the process of building (in the U.S.), as many are, there is no tariff.”
해당 발언은 약식 기자회견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구체적 시행 시점이나 행정명령 서명 여부 등 추가 절차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 용어 해설
관세(tariff)는 정부가 수입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국내 산업 보호와 무역수지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반도체(semiconductor)는 전기적 특성에 따라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성질을 지닌 물질 또는 그 물질을 이용한 집적회로(IC)를 뜻한다. 스마트폰·자동차·인공지능 서버 등 첨단산업 전반에 필수 부품으로 사용된다.
● 배경과 의미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제조업 부흥”과 “미국 우선주의”를 핵심 경제 공약으로 내세워 왔다. 이번 조치는 그 연장선상에서 해외 반도체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투자와 고용을 촉진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다만 관세 인상이 글로벌 공급망·외국계 반도체 업체·미국 내 전자제품 가격 등에 미칠 파급효과는 아직 불확실하다.
전문가들은 “100% 관세”라는 전례 없는 수치를 주목한다. 과거 미·중 무역 분쟁 때도 25% 안팎의 관세가 일반적이었으나, 이번 조치는 그 4배 규모다. 산업계는 즉각적인 대체 공급망 확보, 가격 인상, 공장 신·증설 등 대응 시나리오를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
● 업계 반응(잠정)
대통령 발언 직후, 일부 글로벌 반도체 기업 주가는 장외에서 일시적으로 등락을 보였다. 한 미국 반도체 설계 업체 관계자는 “정부 정책 방향을 면밀히 검토 중”이라며 말을 아꼈다. 다른 업계 인사는 “현지 생산 투자 여부가 관세 면제의 핵심 기준”이라고 진단했다. 아직 공식 성명은 나오지 않았지만, 업계 전반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분위기다.
● 정책 절차와 향후 관전 포인트
미국 행정부가 관세를 실제 발효하려면 통상 대통령 행정명령 또는 무역확장법 232조·시장긴급조치법 301조 등을 근거로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법적 틀을 사용할지는 미정이다. 또한 국제무역위원회(ITC) 조사, 상무부 규제 심의, 관세국경보호청(CBP) 집행 절차 등이 뒤따를 수 있다.
의회 반응도 변수다. 초당적 반도체 지원 법안(이른바 CHIPS Act) 진행 상황과 맞물려, 여야 모두 “국내 제조 활성화”에 공감대를 보여 왔다. 그러나 관세 수준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소비자 부담과 무역 파트너국의 보복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 시장·투자자 주의점
단기간 미국 내 반도체 가격 상승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완성품 제조사(PC, 스마트폰, 자동차)는 부품 조달 비용 증가분을 최종 소비자 가격에 전가할 가능성이 있다. 투자자 입장에선 “미국 시설 투자”가 관세 회피 열쇠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국내외 반도체 장비, 건설, 소재 기업이 수혜를 볼 수 있다는 추정도 나온다.
다만, 관세가 실제 발효되기까지 금융·원자재·물류 시장 전반에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 미 달러화 강세나 채권 금리 변동은 물론, 연준(Fed)의 통화 정책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 결론 및 전망
트럼프 대통령의 “100% 반도체 관세” 발표는 미국 경제 전략과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의 갈림길에서 중요한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실제 시행 여부와 구체적 범위가 확정되면, 국제 무역 질서는 물론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이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
향후 백악관의 공식 문서 발표, 업계·의회의 피드백, 주요 교역 상대국의 대응 조치가 관건이다. 투자자와 기업, 정책 입안자 모두 추가 발표와 정책 세부 내용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