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통화정책 결정권자들이 다시 한 번 완화적 전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미니애폴리스연방준비은행 총재 닐 카시카리(Neel Kashkari)는 6일(현지시간) CNBC ‘스콰크박스’와의 인터뷰에서 “경기가 눈에 띄게 둔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이 이어질 경우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안에 두 차례에 걸쳐 각각 0.25%포인트씩 총 0.50%포인트를 인하하는 방안을 ‘합리적’이라고 규정했다.
2025년 8월 6일, 로이터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카시카리 총재는 “경제가 둔화하고 있다는 증거가 누적되고 있으며, 연준이 이를 외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지난달 고용보고서에서 확인된 일자리 증가세 둔화와 실업률 상승을 거론하며 “고용 최대화라는 연준의 또 다른 책무가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카시카리 총재는
“1경제의 펀더멘털이 둔화하고 있다는 데 대해선 확신이 있다. 다만 관세(tariff)가 인플레이션에 얼마나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지 가늠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
고 언급했다. 관세란 수입품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해당 비용이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될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을 키울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그는 “관세 효과가 명확해질 때까지 우리가 얼마나 지체할 수 있는지가 고민”이라고 덧붙였다.
■ ‘두 마리 토끼’ 사이에서 늘어나는 고민
연준은 물가 안정(인플레이션 2% 목표)과 고용 최대화라는 ‘이중 목표’를 동시에 추구한다. 최근 발표된 미국 7월 비농업부문 신규 고용은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고 이전 수치들도 하향 수정됐다. 실업률 또한 상승, 경기 냉각 신호가 강화되면서 금리 인하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
반면, 일부 품목에 대한 고율 관세가 단계적으로 시행되며 수입 물가가 오르고 있다. 관세 인상 → 생산‧유통비용 상승 → 소비자 물가 전가라는 전통적 경로가 작동할 경우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넘어설 위험이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카시카리는 “인플레이션 우려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지만, 관세 충격이 실제로 2% 목표 달성에 장애가 되는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 투표권은 없지만 ‘비둘기파’發 메시지는 또렷
눈에 띄는 점은 카시카리 총재가 올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투표권이 없다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그의 ‘비둘기파(Dovish)’적 발언은 지난주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두 명의 연준 이사가 ‘인하’ 소수의견을 제시한 것과 맥을 같이한다. 시장에서는 “점진적 완화 쪽으로 공감대가 넓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Quarter-Percentage-Point’란 표현은 통상 0.25%포인트를 의미한다. 미국 기준금리 목표 범위는 0.25% 단위로 조정되기 때문에, 두 차례 0.25%p 인하는 현재 5.25~5.50% 구간(가정)이라면 4.75~5.00%로 낮추는 시나리오가 된다.
■ 전문가 시각: ‘지나치게 늦은 인하가 더 큰 리스크’
기자 해설으로, 카시카리 발언은 단순히 한 지역 연은 총재의 의견을 넘어 연준 내부 기류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풍향계로 읽힌다. 특히 최근 고용지표 둔화, 제조업 지표 하락, 소비심리 약화 등 실물 경기 신호가 일제히 느슨해지면서 ‘선제 인하’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반면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목표 위에 머물거나 변동성이 커, ‘늦은 대응’이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도 있다. 요컨대, 연준은 경기 소방수 역할과 물가 파수꾼 역할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기 위한 어려운 결정을 눈앞에 두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9월 또는 11월 FOMC 회의에서 첫 인하가 단행될지 주시하고 있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선물이 반영하는 금리 인하 확률은 카시카리 발언 이후 소폭 상승했다. 다만 관세 불확실성, 국제 유가 반등, 재정정책 변수 등이 교차하는 만큼 변동성은 지속될 전망이다.
■ 용어·배경 설명
비둘기파(Dovish)는 완화적 통화정책을 선호해 금리 인하나 유동성 확대를 지지하는 인사를 일컫는다. 반대로 매파(Hawkish)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긴축적 스탠스를 선호한다.
또한 관세(Tariff)는 국가가 재정수입 확보, 국내 산업 보호 등을 목적으로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이다. 관세율이 높아지면 수입가격 상승 → 소비자물가(CPI) 상승 → 실질 구매력 약화라는 파급 경로가 작동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카시카리 총재의 발언은 경기 선행지표 둔화와 고용시장 냉각이 연준의 정책 스탠스를 ‘대기 모드’에서 ‘완화 모드’로 끌어올릴 수 있음을 재확인시킨다. 9월 FOMC를 앞두고 발표될 소비자물가지수(CPI), PCE 물가지수, 고용보고서가 향후 매파·비둘기파 힘겨루기에서 결정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