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요일(7일) 주목해야 할 핵심 거시지표
8월 7일(목) 미국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Initial Jobless Claims) 보고서가 발표된다. 이 지표는 미국 노동시장의 체온계로 불리며, 발표 직후 주식·채권·외환·파생상품 등 금융시장의 단기 방향성을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
2025년 8월 6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번 주 발표될 신규 청구 예상치는 22만1,000건으로 전주 확정치 21만8,000건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①
시장 참가자들은 같은 시각 발표되는 비농업 생산성(Nonfarm Productivity), 단위노동비용(Unit Labor Costs), 계속 실업수당 청구(Continuing Claims) 등 연달아 쏟아질 고용·물가 관련 지표에도 주목하고 있다. 특히 애틀랜타 연은의 GDPNow 모형치와 라파엘 보스틱(Raphael Bostic) 애틀랜타 연은 총재의 발언은 연준(Fed) 내부의 정책 스탠스를 엿볼 수 있는 단서로 평가된다.
■ 세부 일정 및 전망치
• 08:30(ET) 신규 실업수당 청구 – 예상 221K (이전 218K)
• 08:30 비농업 생산성 – 예상 1.9% (이전 –1.5%)
• 08:30 단위노동비용 – 예상 1.6% (이전 6.6%)
• 08:30 계속 실업수당 청구 – 예상 195만 건 (이전 194.6만 건)
• 10:00 보스틱 총재 연설
• 13:00 애틀랜타 연은 GDPNow – 예상 2.5% (이전 2.5%)
• 13:00 30년 만기 국채 입찰 – 직전 낙찰수익률 4.889%
• 15:00 소비자 신용(Consumer Credit) – 예상 74억 달러 (이전 51억 달러)
• 16:30
• 16:30 연준 보유예금(Reserve Balances) – 직전 3조3,000억 달러
이 밖에도 4주 이동평균 실업수당 청구, 도매판매·재고, 천연가스 재고, 뉴욕연은 1년 기대인플레이션, 재무부 단기물(4주·8주) 입찰이 예정돼 있다.
■ ‘실업수당 청구’가 중요한 이유
“노동시장은 인플레이션 압력의 원천이기도 하다. 고용이 빠르게 둔화한다면 연준은 긴축 속도를 조정할 명분을 얻게 된다.” – 월가 채권 전략가
신규 실업수당 청구는 해고된 근로자가 주(州) 고용부에 최초로 실업 급여를 신청할 때 집계되는 숫자다. 일반적으로 20만~25만 건 범위가 ‘완전고용 수준’으로 해석된다. 계속 실업수당 청구는 실업 상태가 장기화되는지를 보여주는 후행 지표로, 경기 침체 신호를 앞서 포착할 때 중요하게 쓰인다.
시장 가격에 이미 상당 부분 반영돼 있긴 하지만, 예측치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가 나올 경우 달러화 약세·국채 금리 하락·나스닥 강세 등 ‘연준 완화 기대’ 트레이드가 재점화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예상보다 낮으면 ‘연준 장기 고금리 유지’가 부각돼 성장주가 눌리고 달러화가 강세로 돌아설 수 있다.
■ 애틀랜타 연은 GDPNow 모델의 의미
GDPNow는 분기 중 실시간으로 축적되는 경제 데이터를 활용해 실질 GDP 성장률을 예측한다. 연준 내부가 아닌 지역 연은이 운영하지만, 과거 적중률이 높다는 이유로 시장 민감도가 높은 편이다. 현재 2.5% 성장률 전망이 유지될 경우, ‘연착륙 시나리오’에 힘이 실릴 수 있다.
■ 전문가 관전 포인트
1) 노동생산성·단위노동비용
비농업 생산성이 플러스(1.9%)로 전환하고, 단위노동비용 상승률이 1%대로 둔화될 경우 임금인플레이션 완화 시그널로 해석될 수 있다.
2) 보스틱 총재 발언
중립적 성향(비둘기파로 분류)인 보스틱 총재가 ‘물가 진정 확인 시 금리 인하 검토’와 같은 문구를 언급한다면, 단기 채권금리와 주택·소비 관련주가 반응할 수 있다.
3) 30년 만기 국채 입찰 결과
낙찰수익률이 4.9%대를 유지한다면, ‘장기물 수요 견조→경제 소프트랜딩’ 해석이 가능하다. 반대로 5%선 돌파 시 ‘재정적자 우려’가 부각돼 위험자산 전반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 용어 풀이: 헷갈리기 쉬운 경제·채권 지표
• 초기(신규) 실업수당 청구 – 해고 직후 첫 주에 신청한 건수. 경기 선행성 높음.
• 4주 이동평균 – 주간 지표의 ‘노이즈’를 제거해 추세를 파악.
• 단위노동비용 – 기업이 1단위 제품·서비스를 생산할 때 지불한 임금 총액. 소비자 물가의 선행 지표로 간주.
• 소비자 신용 –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카드·자동차 할부 등 가계 부채 증감을 측정.
■ 전망 및 결론
현재 시장은 ‘연준이 2026년 중반까지 기준금리를 4%대 중후반에서 유지할 것’이라는 컨센서스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노동시장 완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를 경우, 금리 인하 일정이 앞당겨질 여지는 남아 있다. 향후 몇 주간 발표될 고용·물가·성장 지표의 상호작용이 연준의 9월 회의 결정을 가르는 결정적 변수가 될 전망이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번 주 실업수당 통계뿐 아니라 생산성·임금·신용·연준 대차대조표 등 다층적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특히 채권시장 변동성(VIX·MOVE 지수)의 방향은 주식 및 외환시장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결국 8월 7일 목요일 오전 8시 30분(미 동부시간) 시계가 울리는 순간, ‘실업수당 숫자’ 한 줄이 글로벌 자산 가격의 단기 진로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일 오전 발표 직후의 시장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