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미국 서비스업 활동 지표 부진에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6일(현지 시각) 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0.49% 내렸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4% 하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도 0.73% 떨어졌다. 동시 만기인 9월물 E-mini S&P500·나스닥 선물은 각각 0.46%, 0.71% 내려 장중 약세를 이어갔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주가는 개장 초기 기술주 강세로 상승 출발했으나, 장중 발표된 7월 ISM 서비스업 지수가 시장 예상(51.5)보다 낮은 50.1로 발표되면서 하락 반전했다. 동시에 서비스업 물가 압력을 보여주는 ‘가격지불지수’가 69.9로 2년 9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 인플레이션 우려를 재점화했다.
투자자들은 앞서 발표된 부진한 고용·제조업 지표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를 촉발할 수 있다는 기대를 유지했다. 실제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FOMC에서 25bp(1bp=0.01%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94%로 반영하고 있다. 다만 서비스업 지표에서 확인된 ‘끈적한’ 물가 압력이 인하 기대를 일부 상쇄했다.
무역수지 호조도 부각됐다. 6월 미국 무역적자는 602억 달러로 전월(717억 달러) 대비 크게 줄어 1년 9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2분기 GDP 성장률(잠정치)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편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전날 “노동시장이 둔화되고 관세발(發) 인플레이션 징후가 보이지 않는 만큼 금리 인하 시점이 가까워지고 있다“고 발언해 증시에 완화적(도비시) 지원을 제공했다.
관세 이슈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한다는 이유로 인도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현행 25%에서 “대폭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8월 7일 0시부터 대(對)캐나다 일부 품목 관세를 25%→35%로 올리고, 글로벌 최저 10%·무역흑자국에 대해선 15% 이상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미국 평균 관세율이 15.2%로 뛰어 2024년(2.3%) 대비 6배 이상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주 시장 포인트는 ① 대형주 실적 발표 ② 추가 관세 뉴스 ③ 8일(목) 실업수당 청구건수·2분기 생산성 지표다. 시장은 최초 실업수당 청구가 22만1000건(+3000건)을, 비농업 생산성은 전기 대비 2.0% 증가, 단위노동비용은 1.5% 상승으로 예상하고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기업 중 67%가 2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 가운데 83%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현재까지 집계된 2분기 S&P500 순이익 증가율은 9.1%로, 시즌 시작 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돌며 4년 만에 최대폭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해외 증시 및 금리 동향
유럽 Stoxx50 지수는 0.14% 상승 마감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와 일본 닛케이지수는 각각 0.96%, 0.64% 올랐다.
채권시장에선 9월물 미 10년물 국채선물이 2.5틱 하락, 10년물 금리는 4.202%로 1bp 상승했다. 재무부는 이번 분기 정기 환매(refunding) 일정으로 3·10·30년물 합계 1250억 달러를 발행한다. 3년물 입찰에선 응찰 배수(bid-to-cover)가 2.53배로 최근 10회 평균(2.58배) 이하를 기록하며 수요 부진을 나타냈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624%로 보합,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4.516%로 0.8bp 상승했다. 유로존 7월 S&P 종합 PMI 확정치는 50.9로 속보치보다 0.1p 하향, 반면 영국은 51.5로 0.5p 상향됐다. ※PMI 50 이상은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 용어 설명
• ISM 지수: 미국 공급관리협회(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가 매달 발표하는 경기선행지표. 50을 기준으로 확장·수축을 구분한다.
• E-mini 선물: CME가 거래하는 주가지수 소형 선물계약으로, 현물지수 변동에 대한 기관·개인의 헤지 수단으로 활용된다.
• Bid-to-cover: 국채 입찰 시 응찰 규모를 발행 물량으로 나눈 값. 2.0 이상이면 비교적 양호한 수요로 해석된다.
개별 종목별 움직임
▲ 인스파이어 메디컬 시스템(INSP)은 연매출 가이던스를 90억~91억 달러로 하향(전망치 94억~95.5억 달러)함에 따라 34% 급락했다.
▲ 가트너(IT)는 연매출 전망을 64억6000만 달러로 하향해 27% 하락, S&P500 최다 낙폭을 기록했다.
▲ 버텍스 파마슈티컬스(VRTX)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 ‘Journavx’ 임상 3상 포기 소식에 20% 이상 밀렸다.
▲ 항공우주 부품업체 트랜스딤 그룹(TDG)은 3분기 매출(224억 달러)이 예상(230억 달러)에 못 미치고, 연간 가이던스를 소폭 축소하면서 12% 하락했다.
반도체주 전반도 약세였다. 글로벌파운드리즈(GFS)는 3분기 주당순이익(EPS) 전망(0.33~0.43달러)이 시장 중앙값과 비슷하거나 낮아 9% 하락했다. KLA·ARM·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램리서치·브로드컴·ASML·AMD·온세미콘덕터 등이 1% 이상 동반 하락했다.
▲ 피델리티 내셔널 인포메이션(FIS)은 3분기 EPS 전망을 1.46~1.50달러로 제시해 8% 하락했고, 헨리 샤인(HSIC)과 이튼(ETN)도 부진한 실적·가이던스로 7% 이상 밀렸다.
상승 종목도 있었다. ▲ 테이저·바디캠 업체 액손 엔터프라이즈(AXON)는 2분기 매출(6억6,850만 달러)이 예상(6억4,030만 달러)을 웃돌고, 연간 EBITDA 가이던스를 상향해 16% 급등했다.
▲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는 매출(10억 달러)과 연간 전망 상향 조정에 힘입어 7% 상승했다.
▲ 보험·헬스케어주도 호조였다. 월프리서치가 ‘메디케어 어드밴티지(MA) 보너스 지표가 내년 완화될 수 있다’고 분석하면서 유나이티드헬스(UNH)는 4%, CVS헬스(CVS) 3%, 휴마나(HUM) 2%, 시그나(CI) 1% 이상 올랐다.
▲ 브로드리지 파이낸셜(BR)은 4분기 EPS가 3.55달러로 예상을 상회, 6% 상승했고, 아처-대니얼스-미들랜드(ADM)도 EPS 호조(0.93달러)로 6% 뛰었다.
▲ 화이자(PFE)는 매출(146억5000만 달러)이 예상(135억 달러)을 웃돌며 5%, 커민스(CMI)는 매출(86억4000만 달러) 호조로 3% 올랐다.
향후 실적 일정
8월 6일(수) 애프터마켓에는 Airbnb, AIG, 도어대시, 월트디즈니, 우버 등 대형주가 실적을 발표한다. 투자자들은 마진 전망과 관세·소비 둔화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기사 작성자 리치 아스플런드는 해당 종목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 투자 포지션이 없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