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Nvidia )의 최첨단 인공지능(AI)용 반도체가 미국의 수출 통제를 피해 대량으로 중국으로 흘러 들어간 정황이 포착되면서, 미 법무부가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는 중국 국적자 두 명을 밀수·수출통제 위반 혐의로 전격 기소했다.
2025년 8월 6일, CN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미 법무부는 28세의 쳔(Chuan) 겅과 양(Shiwei) 양을 지난 5일(현지시간) 체포하고, 2022년 10월부터 2025년 7월까지 수출 허가 없이 수천만 달러 상당의 Nvidia H100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포함한 민감 기술을 중국으로 불법 수출한 혐의로 기소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은 엔비디아 전체 매출의 20% 안팎을 차지하는 핵심 시장으로, 데이터센터·게임·AI 애플리케이션 수요가 특히 높다. 그러나 미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BIS)은 2022년부터 중국의 첨단 반도체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H100 등 고성능 AI 칩을 대(對)중 수출 통제 품목으로 지정해 왔다.
“밀수품은 서비스·지원·업데이트를 받을 수 없어 데이터센터 구축 자체가 ‘실패한 투자’가 될 것”이라며, 엔비디아는 CNBC에 “우리는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등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에게만 제품을 판매하고, 모든 거래가 미국 수출 규정을 준수하도록 관리한다”고 강조했다.
혐의의 구체적 수법에 따르면, 두 피의자는 캘리포니아 오렌지카운티에 ALX 솔루션스(ALX Solutions)라는 유령 회사를 2022년 말 설립한 직후부터 수출 규제를 우회할 계획을 세웠다. 이들은 싱가포르ㆍ말레이시아의 운송·포워딩 업체로 20차례 이상 제품을 발송한 뒤 제3국 경유 방식으로 중국 본토에 반입하는 ‘트랜십먼트(trans-shipment)’ 수법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법무부가 확보한 휴대전화·사무실 컴퓨터 포렌식 자료에는 “말레이시아를 통해 칩을 보내면 미 수출법을 피해 갈 수 있다“는 대화와 허위 인보이스·선적 서류 양식이 다수 저장돼 있었다. 또한 ALX 솔루션스가 실제 수령업체로 기재한 미국 내 고객에게 대금을 받지 않고, 홍콩·중국 소재 법인으로부터만 대금을 결제받은 사실도 확인됐다.
현재 사건을 수사 중인 기관은 연방수사국(FBI)과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다. 이들 기관은 미·중 무역·기술 갈등이 심화된 2022년 이후 ‘차세대 AI 칩’ 밀수 적발을 1순위 과제로 지정해 왔다.
금번 사건은 워싱턴 정가가 고성능 반도체의 ‘암시장 유통’을 심각한 국가안보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2025년 7월 “트럼프 행정부가 올해 초 수출 통제를 강화한 후에도, 최소 10억 달러어치 엔비디아 칩이 중국에 반입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GPU·수출 통제 용어 설명
GPU는 그래픽 연산을 담당하지만 최근엔 대규모 연산 병렬 처리가 가능해 AI 모델 학습에 필수적이다. ‘수출통제 품목’은 미국 무역법상 ‘국가안보·외교 정책상 군사 전용 가능성이 높은 제품’으로 규정돼, 상무부의 사전 라이선스 없이는 해외 반출이 금지된다.
법적 전망 미 법무부에 따르면, 두 피의자에게 적용된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및 밀수·사기 관련 연방 법률 위반 혐의는 건당 최대 20년 징역 또는 100만 달러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향후 대배심(Grand Jury) 기소 여부와 재판 과정에서 추가 공모자가 드러날 가능성도 있다.
이번 사건은 엔비디아 주가·반도체 공급망에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H100 칩은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핵심 부품이며, 2025년 상반기 한 개당 약 3만~4만 달러에 거래된다. 전문가들은 “불법 유통망 차단은 단기적으로 칩 공급을 감소시켜 가격 상승 압력을 높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정부의 신뢰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향후 관전 포인트
① 미·중 간 기술 패권 경쟁이 한층 격화되면서, 일본·네덜란드 등 동맹국도 첨단 반도체 장비 대(對)중 수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② 글로벌 기업은 컴플라이언스(준법경영) 강화 및 공급망 추적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③ AI 붐으로 고성능 GPU 수요가 폭증해, ‘정품’ 칩에 대한 프리미엄과 ‘그레이마켓(회색시장)’ 리스크가 동시에 커질 전망이다.
연방수사국은 “‘작은 규모 수출’이라도 정밀 심사 대상이며, 제3국 경유·위장 결제 등 우회 시도는 모두 추적 가능하다”고 경고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가안보 리스크가 커지는 상황에서 불법 수출은 투자·운영 차원에서 ‘실익 없는 도박’”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