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개장 동향]
미국 증시는 서비스업 경기 둔화와 가격 압력 지속 우려 속에 상승 출발 이후 하락세로 돌아섰다. 5일(현지 시각) S&P500 지수는 -0.57%,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51%, 나스닥100 지수는 -0.62% 각각 하락했으며, E-미니 S&P 500(9월물)·E-미니 나스닥(9월물) 선물도 각각 -0.55%와 -0.58% 밀렸다.
2025년 8월 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시장 참가자들은 전일 발표된 7월 미국 공급관리협회(ISM) 서비스업 지수가 50.1(전월 대비 –0.7p)로 예상치(51.5)를 하회한 점에 주목했다. 특히 ‘가격지불’(Prices Paid) 세부지수는 2.75년 만의 최고치인 69.9로 치솟아 물가가 쉽게 꺾이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같은 날 공개된 6월 미국 무역수지는 -602억 달러로, 1.75년 만의 최저(적자 축소) 수준을 기록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또한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메리 데일리 총재는 “노동시장 냉각과 관세 인플레 신호 부재를 고려할 때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임박했다”고 언급
해 증시에 일정 부분 완충 작용을 했다.
기술주 강세‧팔란티어 8% 급등
장 초반 지수는 기술주 랠리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다. 특히 데이터 분석 업체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는 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와 연간 가이던스 상향에 힘입어 장중 8% 급등했다. 투자자들은 지난주 부진한 고용·제조업 지표를 근거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92%로 반영하고 있다(발표 전 40%).
관세 변수 재부각
무역 측면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가정) 발 관세 인상 경고가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문제 삼으며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25%→‘대폭 인상’하겠다고 시사했다. 앞서 캐나다 일부 품목 관세를 25%→35%로, 무역흑자국 대상 최소 15% 관세를 공표하면서, 미국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15.2%로 급등할 가능성이 제기됐다(Bloomberg Economics).
이번 주 주요 지표·실적 일정
시장은 8일(목) 발표될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예상 22.1만 건)와 2분기 비농업 생산성(+2.0%)·단위노동비용(+1.5%)에 주목하고 있다. 기업 실적의 경우 S&P500 편입 기업 66%가 2분기 성적을 공개한 가운데, 82%가 순익 예상치를 상회해 연간 EPS 성장률 추정치(+9.1%)가 사전 전망(+2.8%)을 크게 웃돌고 있다.
국채시장 동향
10년물 T-노트(9월물)는 3개월 고점 근처에서 -2틱 하락, 수익률은 4.1982%로 +0.6bp 상승했다. 한편 이날 재무부는 8월 분기환매 일환으로 총 1,250억 달러 규모 국채를 입찰(3년물 580억 달러 등)한다. 서비스업 ‘가격지불’ 지표 급등이 물가 우려를 자극해 채권에 매도 압력을 가했다.
다만 7월 ISM 서비스업 지수 급락과 메리 데일리 총재의 완화적 발언으로 낙폭은 제한됐다. 유럽 쪽에서는 10년물 독일 국채금리가 2.622%(-0.2bp), 영국 길트금리가 4.499%(-1.0bp)로 동반 하락했다.
S&P500·나스닥 주요 종목 변동
대규모 가이드라인 하향으로 Inspire Medical Systems(INSP) ‑41%, Gartner(IT) ‑27% 급락하며 낙폭을 키웠다. Vertex Pharmaceuticals(VRTX)도 신약 임상 3상 중단 소식으로 ‑16% 빠졌다. TransDigm Group(TDG)이 매출 전망을 하향해 ‑12% 하락, GlobalFoundries(GFS)는 EPS 전망 실망감에 ‑10%대 약세를 보였다.
반면 Axon Enterprise(AXON)는 2분기 매출 서프라이즈와 EBITDA 상향으로 +17% 폭등, Pfizer(PFE)는 2분기 매출 146억 달러(컨센서스 135억 달러)를 기록해 +5% 상승했다. 팔란티어(PLTR)는 +7% 상승세를 유지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 ISM 서비스업 지수 – 미국 공급관리협회가 발표하는 서비스업 경기 선행지표(50 이상이면 확장).
• Prices Paid – 기업이 지불한 원자재·서비스 가격 변동을 측정, 물가 선행성 높음.
• FOMC –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
• 베이시스포인트(bp) – 0.01%p를 의미, 금리 변동 단위로 사용.
전망 및 기자 코멘트
서비스업 둔화에도 불구하고 물가 지표가 강세를 보이면서 연준의 정책 경로는 ‘하이브리드 시나리오’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다. 단기적으로는 9월 인하 기대가 금융시장에 완화적 기류를 제공하겠지만, 서비스 물가가 고착되면 장기 국채금리 하락 폭은 제한될 수 있다. 관세 불확실성 또한 실물경제·주가 모두에 상반된 영향을 줄 수 있어, 종목·업종별 차별화 전략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