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매크로 헤지펀드 업계에서 손꼽히는 운용사 시타델(Citadel)의 대표 펀드 ‘웰링턴(Wellington)’이 7월 한 달 동안 1.3%의 양호한 성과를 기록했다. 이로써 2025년 들어 현재까지 누적 수익률은 4%를 나타냈다. 이는 글로벌 시장이 매 분기마다 변동성을 키우는 가운데서도 안정적인 절대 수익을 추구하는 시타델의 운용 역량이 다시 한 번 확인된 결과로 평가된다.
2025년 8월 4일, 인베스팅닷컴(Investing.com) 이보도한 로이터 통신(Reuters) 기사에 따르면, 웰링턴 펀드는 7월 수익률 1.3%를 시현하며 연초 이후 누적 4% 수익을 달성했다. 헤지펀드 업계에서는 연 10% 내외의 절대 수익률을 목표로 삼는 경우가 많지만, 변동성이 확대된 올해 시장 환경을 감안할 때 연중 누적 4%는 ‘방어적이면서도 안정적인 성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시타델의 글로벌 이퀴티즈(Global Equities) 펀드는 7월 3.1% 상승하며 같은 기간 S&P 500 지수의 2.17% 수익률을 앞질렀다. 해당 펀드는 올 1월부터 7월 말까지 6.3%의 누적 수익을 시현했다.
S&P 500은 미국 대형 우량주 500개로 구성된 대표 지수다. 주식형 상품이 이를 초과 수익(알파)을 내기는 쉽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3.1%라는 월간 성과는 의미가 크다.
또 다른 전략형 포트폴리오인 ‘택티컬 트레이딩(Tactical Trading) 펀드’는 7월 한 달 2.1% 수익을 올리며 올해 들어 총 8.3%로 누적 수익률을 끌어올렸다. 이 펀드는 거시경제 지표·통화·채권·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군을 적극 매매해 단기 변동성을 활용하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가 웰링턴 펀드의 성과를 가장 먼저 보도했으며, 이후 로이터가 이를 확인 보도하는 방식으로 정보가 확산됐다. 헤지펀드 성과는 투자자 서한 등 비공개 문서를 통해 제한적으로 공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타델, 어떤 운용사인가
1990년에 설립된 시타델은 ‘멀티스트래티지(다전략)’ 헤지펀드로 분류된다. 멀티스트래티지는 주식·채권·파생·신용·양적(퀀트)·거시 매크로 등 여러 전략을 동시에 운용해 수익원을 분산시킨다. 따라서 시장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을 때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추구할 수 있다. 웰링턴은 시타델 내부에서 가장 오래되고 대표적인 펀드로, 기관·초고액자산가로 구성된 한정된 투자자만이 참여할 수 있다.
헤지펀드란 무엇인가
헤지펀드는 공모펀드와 달리 ‘사모(Private Placement)’ 방식으로 자금을 모집해 고도의 운용 전략을 구사한다. 레버리지(차입) 사용이 자유롭고 공매도 등 적극적인 헤지 전략을 통해 상승장뿐 아니라 하락장에서도 절대 수익을 추구한다. 단, 높은 운용보수(‘2 and 20’ 구조)와 고위험·고수익 특성이 있어, 일반 개인투자자는 투자 접근이 어려운 편이다.
글로벌 이퀴티즈 & 택티컬 트레이딩 전략 해설
글로벌 이퀴티즈 펀드는 롱·쇼트(Long/Short) 전략을 토대로, 기업 실적과 밸류에이션 지표를 종합 분석해 롱 포지션과 쇼트 포지션을 동시에 운용한다. 반면 택티컬 트레이딩은 금리·통화·인플레이션 지표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스프레드(가격 격차)를 노리는 단기 차익거래가 중심이다.
시장 대비 성과 측면에서 웰링턴 펀드의 연초 이후 4%는 S&P 500의 동기간 수익률과 유사한 수준으로 보이지만, 헤지펀드는 시장 하방 위험(리스크) 조정을 감안한 샤프 지수(위험 대비 초과 수익률) 개선 효과를 동시에 추구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2025년 상반기 시장 환경
올해 글로벌 자산시장은 금리 고점 통과 여부와 인공지능(AI) 관련 기술주 랠리 등 상반된 모멘텀으로 큰 변동성을 보였다. 이런 환경에서 헤지펀드가 상대적으로 방어적인 성과를 거둔 배경에는 ‘다전략’ 구조와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투자업계 관계자들은 “웰링턴 펀드가 올 초 경기 침체 우려에 숏 포지션을 확대한 뒤, 2분기 AI 수혜주 랠리 국면에서는 재빨리 익스포저를 되돌리는 등 기민한 포트폴리오 전환을 단행한 것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평가를 내놓는다.※ 해당 발언은 업계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해석으로, 펀드 운용 보고서에 명시된 공식 입장은 아니다.
투자 시사점
국내 투자자에게 시타델 펀드는 직접 투자 기회가 제한적이지만, 글로벌 헤지펀드의 운용 전략과 포지션 변화를 모니터링하면 시장 흐름과 리스크 요인을 가늠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다전략·퀀트·매크로 운용 기법은 국내 자산운용업계에도 점차 확산되는 추세다.
본 기사는 AI 언어 모델의 도움을 받아 작성되었으며, 현직 편집자가 사실 관계를 최종 검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