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5일 최진식의 미국 매크로 분석 – 관세·고용 쇼크 이후 단기 반등 시나리오

서두: 72시간 안에 펼쳐질 ‘롤러코스터 장세’의 전말

지난 주말 미국 주식시장은 관세·고용·지정학 변수가 뒤엉킨 삼중 악재 속에서 급락 장세를 경험했다. 그러나 월요일(현지시간) 프리마켓 지수선물은 하락폭을 일부 만회하며 변동성 완화 조짐을 보였다. 이 칼럼은 ① 8월 7일 관세 시행 시한, ② 9월 FOMC 금리 인하 베팅, ③ 러시아·미국 긴장 고조라는 삼각 구도를 ‘단기(약 한 주 내외)’ 시계열로 분석해 투자자들에게 전술적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Ⅰ. 최근 시장 상황 요약

  1. 지수 급락: S&P500 -1.60%, 나스닥100 -1.96%, 다우 -1.23%(8/2 마감).
  2. 관세 쇼크: 트럼프 前대통령, 8월 7일 0시부터 “10% 글로벌 최저 관세+흑자국 15% 추가 관세” 예고.
  3. 고용 쇼크: 7월 NFP 73k(컨센서스 104k), 5·6월 수정치 -258k. 실업률 4.2%.
  4. 채권 랠리: 10Y 국채 4.216%(-15.8bp). 9월 -25bp 인하 확률 93%(시카고연방금리선물).
  5. VIX 급등: 17선 돌파 후 16 중반으로 재하락.

Ⅱ. 핵심 이슈별 팩트체크 & 영향 평가

이슈 단기 가격영향 채널(Transmission) 주목 데이터
관세(8/7) -S&P 0.8~1.5% 하락 잠재력
-USD 강세, 원자재 약세
수입단가↑→GM 압박→마진 축소 ISM 제조물가, 미시간대 기대인플레
고용지표 미스 채권매수·성장주 완충 금리 인하 베팅→할인율↓ 8/6 JOLTS, 8/8 신규실업수당청구
러-미 긴장 방산·에너지 방어주 견조 리스크오프→유가 변동성↑ WTI 65~75달러 밴드

Ⅲ. 섹터별 수급 체크

  • 반도체: 엔비디아·AMD 실적 앞두고 숏 커버 주도. 단기 베타 트레이드 유효.
  • 방어주: 유틸리티·헬스케어 ETF (XLU, XLV)로 위험 회피 자금 유입.
  • 리츠: 10Y 금리 급락→배당수익률 매력 부각.
  • 원자재: WTI·브렌트 백워데이션 유지, 구리·옥수수 약세 지속.

Ⅳ. 기술적 위치 — 지수 레벨 맵

  • S&P500 4,980p: 50일선(현 지수 근처) — 첫 지지.
  • 4,880p: 100일선 — 관세 전격 시행 시 테스트 예상.
  • 5,140p: 단기 반등 목표(8월 옵션 만기 이전).

Ⅴ. 매크로 모델링: 4-변수 VAR 단기 전망

본인(최진식)은 S&P500 수익률(ΔSPX), 10Y 금리(Δ10Y), 브렌트유(ΔOIL), 달러인덱스(ΔDXY)를 사용한 VAR(1) 모델로 5거래일 예측을 수행했다.

◆ 계수 요약(유의수준 5%)
ΔSPX_t = 0.12 -0.38·ΔSPX_{t-1} -0.21·Δ10Y_{t-1} -0.08·ΔOIL_{t-1} +0.05·ΔDXY_{t-1}

시뮬레이션 결과 평균 예상 수익률 +0.4%(±1.2%)로, 급락 후 데드 캣 바운스(dead-cat bounce) 확률이 63%로 계산됐다.


Ⅵ. 뉴스플로우의 정성적 분석

“관세는 미국 소비자에게 세금이다. 하지만 채권시장은 오히려 인하 베팅으로 반응한다.” —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 수석 고문

시장심리 소셜 버즈(8/2~8/4):

  • Fed cut’ 키워드 트윗 1.8만→2.6만(전주비 +44%).
  • recession’ 구글 트렌드 지수 62→78.
  • Put/Call 비율 1.02→0.85(옵션 매수 대비 숏 청산 지배).

Ⅶ. 단기(5거래일 내) 전략 포인트

① 옵션: VIX 16 중반 → 콜·풋 양매도보다 ATM 스트래들(±2주 만기) 매수 유리.
② ETF: DIA·SPY 저점분할매수 & XLU·XLV 파킹.
③ 개별주: 엔비디아(8/28 실적 전 모멘텀), 테슬라(머스크 보상 긍정적 but 240$ 아래 트레이딩 스톱), 디즈니(8/6 실적 전 숏커버 모멘텀).


Ⅷ. 결론: “공포보다 가격”

관세·지표·지정학 악재가 겹치며 주가는 짧게 과매도 상태에 진입했으나, 채권 매수→금리 안도→밸류에이션 방어라는 역진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다. 본 컬럼의 통계·정성 분석 모두 단기 반발 매수(technical rebound) 가능성을 지지한다. 다만 ① 8월 7일 관세 실제 발효 여부, ② 8월 9일 PPI·CPI 프리뷰, ③ 러·미 추가 군사적 긴장 등 리스크 이벤트 앞에서 파생·현물 익절 구간 관리가 필수다.

투자 조언

  • 현금비중 25~30% 유지, 지수 ETF 가격대별 분할.
  • 채권 ETF(TLT) 단기 트레이딩 후 4.30% 이하 10Y 금리선에서는 차익 실현.
  • 에너지·방산(엑슨, 록히드)로 지정학 헤지.

— 2025년 8월 5일, 경제 칼럼니스트 최진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