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3대 지수가 관세 충격과 경기 둔화 신호에 동반 급락하며 2~5주 만의 최저치로 후퇴했다.
4일(현지시간) 기준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1.60%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23%, 나스닥 100 지수는 –1.96% 떨어졌다. 9월물 E-mini 선물 역시 S&P –1.67%, 나스닥 –2.03%로 미끄러졌다.
2025년 8월 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S&P 500과 나스닥 100은 2주 만의 최저치, 다우는 5주 만의 저점으로 내려앉았다.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표한 글로벌 최저 10% 관세 및 미국에 무역흑자를 내는 국가에 대한 15% 이상 관세를 경기 둔화 요인으로 인식하며 위험자산을 대거 축소했다.
관세 소식에 더해 7월 고용·제조업 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자 risk-off(위험 회피) 심리가 급격히 확산됐다. 특히 월간 비농업부문 고용이 7만3,000명 증가에 그치며 예상치(10만4,000명)를 크게 밑돌았고, 6월 수치도 14만 명으로 대폭 하향 수정됐다. ISM 제조업 지수는 48.0으로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위축돼 경기 경고음을 키웠다.
관세·지정학 리스크
늦은 저녁 트럼프 전 대통령은 캐나다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35%로 인상하고, 8월 7일 0시 이후 ‘흑자국 15%+‘ 규정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관세는 미국의 일자리와 성장률을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
라는 설명이었지만,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관세 발효 시 미국 평균 관세율이 2.3%(2024년)→13.3%→15.2%로 뛰어오를 것으로 추산했다.
여기에 러시아와의 긴장도 시장을 짓눌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전 러시아 대통령의 도발적 발언’에 대응해 미국 핵잠수함 2척을 ‘적절한 지역’으로 이동시키고 있다고 밝혀 지정학적 우려를 자극했다.
국채 시장과 금리 전망
역설적으로 약한 지표 덕분에 채권 금리는 급락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15.8bp 하락한 4.216%로 1개월 최저치, 장중에는 4.200%까지 내려갔다. 이에 따라 9월 FOMC 기준금리 25bp 인하 확률은 지표 발표 전 40%에서 93%로 폭등했다. 파생상품시장에서는 10월 회의까지 두 차례 연속 인하 가능성을 73%로 반영하고 있다.
애틀랜타 연은의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에서 여전히 멀다”며 지나친 완화 기대를 경계했고, 클리블랜드 연은의 베스 해맥 총재는 “고용 보고서는 실망스럽다”면서도 노동시장이 여전히 건강하다고 진단했다.
세부 경제 지표
7월 평균 시급은 전년 대비 3.9% 올라 예상치(3.8%)를 상회했다. 반면 건설지출은 –0.4%(전월 대비)로 시장 전망(보합)을 밑돌았고,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는 61.7로 소폭 하향 수정됐다.
유럽에서도 독일 10년물 국채금리가 2.639%로 1주 최저, 영국 길트 10년물은 4.509%로 4주 최저를 기록하며 글로벌 채권 랠리를 반영했다. 다만 유로존 7월 CPI는 2.0%(전년 동기 대비)로 예상치(1.9%)를 웃돌아 물가 압력을 시사했다.
기업 실적·종목 동향
주요 기술주 아마존닷컴(AMZN)은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하며 –8% 급락, 나스닥 낙폭을 키웠다. 반도체주도 약세가 두드러져 마벨테크놀로지 –6%, 마이크론 –4%가량 떨어졌고, 엔비디아·AMD·인텔 등 대형주도 –2% 이상 밀렸다.
실적 부진도 연이어 발표됐다. 플루어 –27%(2분기 EPS 0.43달러, 예상 0.56달러), 이스트먼케미컬 –19%(EPS 1.60달러, 예상 1.74달러), 코인베이스 –16%(매출 15억 달러, 예상 15.9억 달러)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 주택 건설주는 국채금리 하락에 힘입어 DR호튼 +5%, 레나·펄트그룹 +3% 이상 상승했다. 이외에도 모놀리식 파워시스템즈 +10%(EPS 서프라이즈), 킴벌리클라크 +4% 등이 호조를 보였다.
해외 증시 및 원자재
해외 시장도 동반 약세를 면치 못했다. 유로 Stoxx 50은 –2.90%로 3개월 저점, 중국 상하이종합은 –0.37%, 일본 닛케이 225는 –0.66% 하락했다. 유럽 제조 PMI가 독일 49.1, 영국 48.0으로 하향 수정되며 체감 경기 악화를 반영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E-mini 선물은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거래되는 지수선물의 축소판으로, 레버리지 효과가 크고 24시간 거래돼 글로벌 투자자의 위험노출(익스포저) 관리에 자주 활용된다.
ISM 제조업 지수는 미국 공급관리협회(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가 발표하는 체감경기 지표로, 50을 기준으로 경기 확장·수축을 판단한다. 48.0은 제조업 부문이 빠르게 위축되는 구간이다.
향후 일정 및 전망
이번 주는 S&P 500 종목의 38%가 실적을 공개하는 하이라이트 구간이다. Bloomberg Intelligence 집계 기준 2분기 EPS는 전년 대비 +4.5% 성장세를 보여, 어닝 시즌 전 예상치(+2.8%)를 상회하고 있다. 이미 55%가량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했으며 그중 82%가 시장예상을 뛰어넘었다.
시장 참가자들은 관세 정책의 실제 이행 여부, 9월 FOMC에서의 금리 인하 확정 여부, 그리고 러시아-미국 간 긴장 고조를 핵심 변수로 지목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채권금리 하락이 주택·필수소비재 등 금리 민감 섹터를 지지하나, 관세에 따른 비용 상승이 중장기 기업이익을 잠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본 기사는 원문(리치 애스플런드, 바차트) 내용을 한글로 번역·요약한 것이며, 정보 제공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