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불확실성에 뉴욕증시 급락… S&P 500·나스닥 2주 최저

미국 증시가 1일(현지시간) 급락하며 투자 심리가 급속히 얼어붙었다. S&P 500 지수는 ‑1.60%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23% 밀렸다.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 100은 ‑1.96%로 낙폭이 가장 컸다. 9월물 E-mini S&P 500 선물과 나스닥 100 선물 역시 각각 ‑1.67%, ‑2.03% 떨어졌다.

2025년 8월 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하락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추가 관세 선언과 예상치를 밑돈 미국 7월 고용·제조업 지표가 맞물리며 투자자들을 ‘리스크 오프(risk-off)’ 모드로 몰아넣은 결과다. S&P 500과 나스닥 100은 2주 만에, 다우지수는 5주 만에 각각 최저치를 기록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전날 늦게 “무역흑자국에는 최소 15% 관세, 나머지 전 세계에는 10% 글로벌 최저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전격 발표했다. 특히 캐나다산 일부 제품에 부과되는 관세를 25%에서 35%로 상향한다고 밝혀 시장은 “보호무역 강공 재시작”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에 따르면 2024년 평균 2.3% 수준이던 미국의 관세율은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15.2%까지 급등하게 된다.

S&P500 차트

여기에 7월 비농업 신규고용은 7만3000명 증가에 그쳐 시장 컨센서스(10만4000명)를 크게 밑돌았다. 6월 고용도 14만70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대폭 하향 조정됐다. 실업률은 0.1%p 오른 4.2%를 기록했고, 시간당 평균 임금 상승률은 전년 대비 3.9%로 예상치(3.8%)를 상회했다.

제조업 분위기도 악화됐다. ISM 제조업지수는 1포인트 하락한 48.0으로 9개월 만에 가장 큰 위축 폭을 나타냈다. 50을 밑돌면 ‘경기 수축’을 의미한다. 또한 6월 건설지출은 전월 대비 ‑0.4% 감소해 ‘변동 없음’ 예상을 빗나갔다.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도 61.7로 하향 수정되며 경기둔화 우려를 부채질했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투자심리를 짓눌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러시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전 대통령의 “도발적 발언”에 대응해 “핵잠수함 두 척을 적절한 해역으로 이동시켰다”고 밝히며 긴장을 키웠다.


채권시장과 연준 통화정책 기대

경기둔화 신호 덕분에 10년물 국채금리는 1개월 만에 4.20%까지 떨어졌다. 연방기금(FF) 선물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가능성을 93%로 반영했다. 불과 하루 전 40%에 불과하던 수치가 급등한 것이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와 여전히 거리가 있어 2025년 금리전망을 상향할 준비가 안 됐다”고 지적했다.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노동시장이 대체로 건강하지만 이번 고용 결과는 실망스럽다”고 진단했다.

반면 유럽 채권금리도 동반 하락했다. 10년물 독일국채 금리는 2.679%로 1주 저점을 기록했고, 영국 길트채 10년물 금리는 4.528%로 4주 저점까지 밀렸다. 시장은 ECB가 9월 11일 회의에서 14% 확률로 25bp 인하에 나설 것으로 본다.


주요 개별 종목 동향

기술주의 낙폭은 눈에 띄게 컸다. 아마존닷컴(AMZN)은 3분기 영업이익 전망 15.5억~20.5억 달러(컨센서스 19.42억 달러) 제시에 -8% 급락해 나스닥 100과 다우 지수를 끌어내렸다. 반도체주도 부진했다. 마벨 테크놀로지(-6%), 마이크론(-4%)을 비롯해 엔비디아, AMD, 인텔 등 팹리스·파운드리 대다수가 ‑2% 이상 하락했다.

원자재·화학주도 약세였다. 플루어는 2분기 조정 EPS 0.43달러(예상 0.56달러)와 가이던스 하향 탓에 -27% 폭락했다. 이스트먼 케미컬도 2분기 1.60달러(예상 1.74달러)로 어닝쇼크를 기록하며 -19% 밀렸다.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매출(15억 달러)이 예상(15.9억 달러)을 밑돌아 -16% 하락했다. 산업용 유통업체 그레인저(GWW)는 실적 부진과 가이던스 하향 탓에 -10% 빠졌다.

반대로 금리 하락 수혜주인 주택건설주는 강세였다. DR 호턴 5%, 렌나·펄티그룹 3%대, 톨브러더스 2%대 상승을 기록했다. 전력 반도체 업체 모놀리식 파워는 예상 상회 실적 발표로 +10% 급등해 S&P 500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리디트(RDDT)는 매출 서프라이즈에 17% 폭등했다.


국제시장 동반 약세

해외증시도 부정적인 흐름을 피하지 못했다. 유로 스톡스 50은 3개월 만에 최저치로 ‑2.90% 밀렸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7%, 일본 닛케이225는 -0.66% 하락을 기록했다.


용어 해설2

E-mini 선물은 CME(시카고상품거래소)가 상장한 주가지수 선물의 일종으로, 기준 계약 크기를 축소해 개인투자자도 거래하기 쉽게 만든 상품이다. 리스크 오프는 위험자산을 피하고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시장 심리를 뜻한다.


전문가 시각
이번 증시 급락은 ‘관세·지표·지정학’이라는 세 가지 악재가 동시다발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특히 관세 이슈는 미 연준의 완화 기대를 강화해 채권금리에는 호재지만, 기업이익 전망에는 부정적이다. 향후 9월 FOMC에서 실제 인하가 단행된다 해도 수요 부진과 관세 인상이라는 상충 변수가 맞물려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제기될 수 있다.

1)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선진·신흥 38개국이 가입된 국제경제 기구다.
2) 용어 해설은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추가 정보이며, 기사 본문의 핵심 사실과 배치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