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기사는 원문에 실린 면책 조항을 그대로 번역한 것으로, 실제 콘퍼런스콜 녹취록의 세부 내용이나 재무 수치는 포함돼 있지 않다.
“여기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전적으로 작성자의 것이며, 반드시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라는 문구는 미국 언론 기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법적 면책 조항이다. 이는 특정 콘텐츠가 기업‧기관의 공식 발표가 아닌 개인 필자 또는 외부 기고자의 의견임을 명확히 해, 향후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2025년 8월 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허드슨 테크놀로지스(Hudson Technologies·티커: HDSN)는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 발표를 마친 뒤 투자자 대상 콘퍼런스콜을 진행했으며, 본 기사는 그 콘퍼런스콜 텍스트의 서두에 실린 법적 고지 사항만을 전재한 것이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진술은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권유가 아님을 명시한다.”
일반적으로 콘퍼런스콜(Conference Call)은 상장사가 분기 실적을 공개한 직후 경영진이 애널리스트와 투자자에게 직접 질의응답을 제공하는 자리다. 이후 트랜스크립트(Transcript)라고 불리는 ‘문자 기록’이 배포되며, 해외 투자 전문 매체는 이를 기사 형태로 게재할 때 반드시 필수적인 면책 조항을 함께 싣는다.
법적 면책 조항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작권 보호 – 콘퍼런스콜 텍스트는 기업 또는 전문 제공업체의 저작물이므로, 단순 인용이라 해도 출처와 책임 소재를 명시해야 한다. 둘째, 정보의 정확성 – 실시간으로 진행된 콜을 문자화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독자에게 고지한다. 셋째, 투자 판단 책임 – 투자 손실 위험을 매체나 작성자가 아니라 투자자 본인에게 돌리기 위한 장치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설명
1 Hudson Technologies(HDSN) –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냉매(Refrigerant) 회수 및 재생 전문 기업. 본 기사에는 재무 데이터가 포함돼 있지 않으므로, 자세한 실적 수치를 확인하려면 해당 기업의 공시(SEC 파일링)를 참조해야 한다.
2 Transcript – 음성 또는 영상으로 진행된 행사를 1분 1초 단위로 재구성한 ‘완전 기록’을 의미한다. 투명성‧정보 접근성 차원에서 해외 기업들은 발행 즉시 웹사이트 혹은 IR 플랫포�름에 업로드한다.
3 면책 조항(Disclaimer) – 법적 분쟁 발생 시 책임 범위를 정의하기 위한 문구. ‘모든 투자 결정은 독자의 책임’이라는 표현이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해외 투자 매체에서 DISCLAIMER는 필수적인 ‘보안 장치’로 기능한다. 해당 문구가 없을 경우, 잘못된 정보로 인해 발생한 투자 손실에 대해 언론사가 공동 책임을 질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스닥닷컴뿐만 아니라 블룸버그, CNBC, 로이터 등 주요 매체 역시 동일한 관행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 시각
국내 투자자 입장에서 해외 기업의 earnings call 텍스트를 활용할 때는, 반드시 정보 공시 원문과 작성 시점을 교차 검증할 필요가 있다. 실시간 번역 과정에서 수치가 달라지거나, 경영진의 발언 뉘앙스가 왜곡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환율 변동과 회계 기준 차이(GAAP vs Non-GAAP)를 어떻게 반영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
결론적으로, 본 기사는 ‘Hudson Tech HDSN Q2 2025 Earnings Call Transcript’의 서두에 기재된 면책 조항을 한국어로 옮겨 소개한 것이며, 실적 자체에 대한 해석이나 주가 영향 분석은 포함돼 있지 않다. 이는 투자자 주의 환기를 목적으로 하며, 실제 투자 결정은 각자 책임 하에 이뤄져야 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