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상품거래소(CBOT) 대두 선물 가격이 2일(현지 시각) 정오 무렵 대부분의 근월‧원월물에서 부셸당 0.75~2센트 수준의 소폭 상승세를 나타냈다. 현물 시장에서는 미국 전역 평균 현물 대두 가격이 부셸당 9.32¾달러로 전일 대비 2센트 하락했다.
2025년 8월 2일, 나스닥닷컴이 인용한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전날 밤 사이 8월물 대두 선물에 대한 인도통보(delivery notice) 408건이 추가로 발행됐다. 같은 날 대두박(소이밀) 선물은 톤당 1.50~3.60달러 올랐고, 대두유(소이오일) 선물은 40~95포인트 하락했다. 8월물 대두박에는 하루 전 629건의 추가 인도통보가, 대두유에는 3건이 각각 발행됐다.
NOAA(미국 해양대기청)의 7일 기상전망은 아이오와주, 미주리주, 미 동부 콘벨트(Eastern Corn Belt) 전역에 건조 패턴이 계속될 것으로 예보하고 있다. 반면 평원지대(Plains)에는 지역에 따라 최대 1인치(약 25.4mm)를 조금 웃도는 경미한 강수가 예상된다. 이 같은 기상 전망은 작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선물 가격 변동의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
▶ 대두 수출ㆍ가공(크러시)ㆍ바이오연료 수요 동향
USDA(미 농무부) 수출판매 통계에 따르면 2024/25 마케팅 연도 기준, 대두 5,110만 톤(MMT)이 이미 계약(선적 여부와 상관없이)된 상태로, 이는 연간 수출 가정치의 101%다. 통상적인 연평균 진척률이 103%라는 점과 비교하면 다소 더딘 속도다.
이날 오후 발표 예정인 USDA 월간 대두 크러시 보고서에서 시장 참여자들은 6월 대두 가공량을 1억9,660만 부셸로 예상하고 있다. 같은 기간 말 기준 대두유 재고는 18억6,300만 파운드로 추정된다. EIA(미 에너지정보청) 자료에 따르면 5월 한 달간 바이오연료 생산에 사용된 대두유는 10억2,500만 파운드로, 4월의 8억2,900만 파운드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현재 거래 중인 주요 월물 시세
2025년 8월물 대두는 부셸당 9.63¾달러로 2센트 상승했고, 9월물은 9.70¼달러로 0.75센트, 11월물은 9.90달러로 역시 0.75센트 각각 올랐다.
▶ 용어‧제도 설명*
*인도통보(Delivery Notice)란 선물 계약 보유자가 실제 실물 인수도를 선택했음을 거래소에 공식 통보하는 절차다. 통보 건수가 늘면 현‧선물 시장 간 가격 차이가 축소되거나, 물류 부담이 가중될 수 있어 단기 가격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한다.
Crush(가공)는 대두를 압착해 대두유와 대두박을 생산하는 공정을 의미하며, 가공 마진(크러시 마진)은 작황전망과 수요, 에너지 가격에 따라 변동한다. 크러시 데이터는 농가와 트레이더가 가격 방향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된다.
▶ 기자 시각: 가격 전망과 시장 변수
현재 대두 선물 시장은 수출 진척률 둔화, 기상 불확실성, 바이오연료 수요 확대라는 세 가지 상충 요인이 교차하고 있다. 특히 NOAA가 예보한 건조 날씨가 장기화될 경우, 여름철 결실기(pod-fill)에 들어서는 중서부 작황에 부담이 될 수 있어 생산 감소 우려 → 가격 탄력적 상승이라는 전개가 가능하다.
반면 USDA 수출 속도가 예상치를 밑돈다는 점은 단기적으로 수요 측 부담으로 작용한다. 시장은 오후 발표될 크러시 통계에서 사상 최고 수준의 6월 가공량이 확인될지, 그리고 대두유 재고가 EIA 발표치와 어떻게 연동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9.50~10.00달러 박스권이 단기 지지선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건조 패턴이 해소되거나 수출 판매가 추가로 둔화될 경우, 변동폭 확대와 함께 9달러 초반 테스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투자자라면 기상 데이터 업데이트와 USDA 주간 수출 판매 보고서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본 기사의 필자인 오스틴 슈뢰더는 언급된 어떠한 종목에 대해서도 직·간접적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 글은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자문을 구성하지 않는다. © 2025 Nasdaq,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