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튼 그랜드 베케이션즈(뉴욕증권거래소: HGV)가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월가 전망치를 밑돌았다. 이번 분기 회사는 계약 매출(contract sales)이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으나, GAAP 기준 매출과 비(非)GAAP 기준 조정 주당순이익(EPS) 모두 시장 기대에 못 미쳤다.
2025년 8월 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HGV의 GAAP 매출은 12억6,600만 달러로 집계돼 팩트셋(FactSet)이 집계한 컨센서스(13억7,800만 달러)를 약 1억1,160만 달러(약 8%) 하회했다. 조정 EPS는 0.54달러를 기록해 예상치(0.81달러)를 크게 밑돌았다.
“이번 분기는 블루그린 베케이션즈 인수 통합 진행, 리브랜딩, 그리고 계약 매출 10.2% 성장 등 긍정적 요소가 있었지만, 마진 압박과 현금흐름 감소가 실적 전반을 제한했다.”
핵심 실적 지표
• GAAP 매출: 12억6,600만 달러 (추정치 13억7,800만 달러)
• 조정 EPS: 0.54달러 (추정치 0.81달러, 전년 동기 0.62달러 대비 –12.9%)
• 조정 EBITDA: 2억3,300만 달러 (추정치 2억6,200만 달러)
• 계약 매출: 8억3,400만 달러 (전년 동기 7억5,700만 달러 대비 +10.2%)
• 조정 자유현금흐름(FCF): 1억3,500만 달러 (전년 동기 3억7,000만 달러 대비 –63.5%)
사업 개요 및 전략적 초점
HGV는 힐튼 브랜드를 활용해 타임셰어(휴가 소유권, Vacation Ownership Interest)를 판매·운영하는 기업이다. 타임셰어는 일정 기간 리조트 이용 권리를 사전에 구매해 소유·교환하는 형식으로, 미국·국제 시장에서 성장해 왔다. 회사는 부동산 판매, 리조트 운영, 클럽 회원제, 임대 및 부가 서비스, 그리고 타임셰어 구매 고객에게 금융(대출)을 제공하는 파이낸싱 부문까지 통합적으로 운영한다.
최근 전략은 인수·제휴 확장에 집중돼 있다. 2024년 1월 블루그린 베케이션즈를 인수해 제품 라인업과 고객 기반을 확대했으며, Bass Pro Shops, Choice Hotels 등 다양한 파트너와 협업을 지속하고 있다.
2분기 세부 부문 실적
부동산 판매 및 파이낸싱 부문 매출은 7억6,000만 달러다. 하와이·일본 프로젝트 관련 순이연(net deferral)에 따른 4,500만 달러 부담 등으로 마진 압박이 있었다. 한편 대출 포트폴리오와 금리 상승 효과로 파이낸싱 수익은 전년 대비 2,400만 달러 늘었다. 2024년 12월 31일 기준 타임셰어 대출 잔액은 약 40억2,000만 달러, 가중평균 금리는 15.0%, 2025년 1분기 연환산 기준 연체율은 10.2%다.
리조트 운영·클럽 관리 매출은 4억500만 달러(+1,900만 달러)였으나, 조정 EBITDA는 1억4,900만 달러로 전년(1억5,200만 달러)보다 감소했고, EBITDA 마진도 36.8%로 하락했다. 클럽 회원 수는 72만4,300명으로 나타났으며, 순 소유주 증가율(NOG)은 최근 12개월 기준 0.6%에 그쳤다(이전 12개월 1.7%).
임대·부가 서비스 부문은 매출 1억9,500만 달러(전년 동기와 유사)를 기록했으나 800만 달러 영업손실로 전환되며 마진 –4.1%를 나타냈다.
중장기 포지셔닝·재무 활동
회사 측은 ‘HGV Max’ 멤버십 플랫폼 확장과 리브랜딩을 계속 추진 중이다. 또한 재고(인벤토리) 파이프라인 가치는 133억 달러로 유지되며, 그중 자사 보유 재고가 90.6%를 차지한다. Fee-for-service(타사 소유, 위탁판매) 모델 비중 감소로 판매 둔화 시 재고 리스크가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됐다.
대출 자산 증권화(securitization)는 운영자금 및 주주환원 재원 확보를 위한 핵심 유동성 전략이다. 2025년 2분기 회사는 4.1백만 주를 1억5,000만 달러에 자사주 매입했으며, 2025년 7월 29일 이사회는 6억 달러 규모의 추가 자사주 매입을 2년간 승인했다.
조정 자유현금흐름은 1억3,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3.5% 급감했고, GAAP 자유현금흐름은 2,800만 달러로 70.5% 감소했다. 2025년 6월 30일 기준 순차입금/EBITDA 배수는 3.9배 수준이다. 배당금은 여전히 지급하지 않는다.
전망 및 관전 포인트
경영진은 2025년 연간 조정 EBITDA(이연·인식 전 수치) 가이던스(11억2,500만~11억6,500만 달러)를 유지했다. 매출·EPS 신규 전망은 제시하지 않았다. 향후 관찰 포인트로는 회원 수 성장, 블루그린 인수 통합 속도, 마진 회복 등이 지목됐다. 또한 보유 재고 비중 확대, 현금흐름 압박, 거시경제 변수 등이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다.
용어 설명*참고
*타임셰어(Timeshare)는 휴가용 숙박 시설의 소유권을 일정 기간 단위로 분할해 여러 사람이 구매·이용하는 제도다.
*GAAP(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은 미국 일반회계기준을 의미하며, Non-GAAP 지표는 기업이 일회성 비용·수익 등을 제외하고 산출한 조정 수치다.
*EBITDA는 세전·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으로, 기업의 현금창출력을 나타내는 대표 지표다.
본 기사에 포함된 투자 의견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The Motley Fool 및 나스닥은 해당 종목에 대한 어떠한 포지션도 보유하지 않는다. 투자 결정은 전적으로 투자자 책임임을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