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50% 관세 부과에 브라질 화학업계 “심각한 우려” 표명

상파울루발 보도 — 브라질 화학업계를 대표하는 아비킴(Abiquim·브라질화학산업협회)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브라질산 화학제품에 대한 관세를 최대 50%로 인상하는 행정명령과 관련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2025년 8월 1일, 인베스팅닷컴(Investing.com)의 보도에 따르면, 아비킴은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과 브라질 화학 산업이 “상호 통합적 관계”를 기반으로 성장해 왔음을 강조하며 이번 조치가 양국 공급망·고용·투자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비킴은 “브라질 화학 부문의 대미 수출이 2024년 한 해에만 24억 달러에 달했으며, 무역수지80억 달러 적자”라고 지적했다.

“관세 인상은 브라질 화학제품 약 17억 달러 상당에 직접 적용되며, 공급망 전반에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고 아비킴 회장 안드레 코르데이루(Andre Cordeiro)는 설명했다.

브라질 내 미국계 기업 비중도 작지 않다. 엑슨모빌·다우케미컬 등 미국 본사의 20여 개 화학기업이 브라질에서 공장을 가동 중이다. 이들 기업은 원자재·중간재·완제품을 양국 간에 크로스 인베스트먼트(cross-investment) 방식으로 교환하고 있어, 관세 장벽은 투자·생산·고용 여건을 동시다발적으로 위축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해 아비킴과 미국화학협회(ACC·American Chemistry Council)공동 성명을 마련해 브라질·미국 정부에 “공급망 통합성 보존”“규제 협력 확대”를 요청했다. 양 협회는 행정명령이 발효되면 식품·가구·섬유·가죽·고무 등 화학원료 의존도가 높은 산업군에서도 미국발 주문 취소가 잇따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행정명령 핵심 내용*브라질산 중 5개 품목만 제외 — 트럼프 전 대통령은 7월 30일 서명한 행정명령에서 “미국 산업·노동자 보호”를 명분으로 브라질산 화학제품 대부분에 50% 관세를 부과했다. 단, 2024년 미국 수입액이 6억 9,700만 달러에 달했던 5개 예외 품목만 면제됐다.

아비킴은 이미 계약 해지 및 선적 보류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협회 관계자는 “관세 발표 전에도 관세 위협만으로 일부 미국 바이어가 계약을 철회했다”며 피해가 현실화됐음을 강조했다.

용어 설명 — ‘크로스 인베스트먼트’는 양국 기업이 서로의 자회사·공장에 교차 투자해 생산량·기술을 공유하는 구조를 말한다. 행정명령(Executive Order)은 미 대통령이 의회 승인 없이 발동할 수 있는 명령으로,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즉시 발생시킨다.

전문가 시각 — 무역 전문 변호사들은 관세 인상 폭이 50%로 고정된 점에 주목하며, “향후 정권 변화 또는 WTO(세계무역기구) 제소 전까지 단기간 철회 가능성은 낮다”는 견해를 밝혔다. 또 다른 분석가들은 “멕시코·캐나다 등 대체 공급처가 수혜를 볼 수 있다”면서도, “브라질산이 차지해 온 니치(niche) 시장을 완전히 대체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한편 브라질 정부는 WTO 제소 가능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비킴 측은 “협상·조정 등 모든 외교적 수단을 동원해 관세를 최소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 무역 환경이 빠르게 변하는 만큼, 국내 화학·소재 기업도 공급망 다변화리스크 관리 전략을 점검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