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위 1%’로 인정받으려면 최소 연봉 79만4,129달러 필요

미국에서 상위 1% 소득층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연봉이 필요할까? GOBankingRates가 사회보장국(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의 최신 임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 79만4,129달러가 2023년 기준 상위 1% 진입선으로 제시됐다.

2025년 8월 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 임계값은 월 소득으로 환산하면 약 6만6,178달러이고, 주급으로는 1만5,272달러에 해당한다. 이는 전년 대비 3.30% 감소한 수치로,

“상위 1% 소득자들은 최근 1년간 하위 99% 소득자만큼의 임금 상승 혜택을 누리지 못했다”

는 분석이 뒤따랐다.


상위 5%·10%에 진입하려면?

1%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연 6자리(100,000달러 이상) 소득을 올린다면 상위 10% 안에 들 가능성이 크다. 자료에 따르면 상위 5% 진입 기준은 35만2,773달러, 상위 10% 기준은 14만8,812달러로 나타났다. 즉, 연 15만 달러 전후의 소득만으로도 전체 미국 가구의 90%보다 높은 소득을 기록하게 되는 셈이다.

※ 용어 설명
상위 1%·5%·10%는 전체 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위에서부터 해당 비율만큼을 차지하는 그룹을 의미한다. 학계와 정책 당국은 이 지표를 소득 불평등 측정의 핵심 지표로 활용한다.


주(州)별 ‘상위 1%’ 기준, 최고·최저 75만 달러 이상 차이

미 전역에서 같은 연봉을 받아도 거주 지역에 따라 상위 1% 여부가 달라진다. GOBankingRates는 2021년 데이터를 물가상승률로 보정해 2024년 기준 주별 상위 1% 문턱을 산출했다. 콘네티컷119만2,947달러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매사추세츠(115만2,992달러), 캘리포니아(107만2,248달러), 워싱턴(102만4,599달러), 뉴저지(101만0,101달러)가 이었다.

Top 1% Income by State

반대로 가장 낮은 주웨스트버지니아로, 상위 1% 진입 기준이 43만5,302달러에 불과했다. 미시시피(45만6,309달러), 뉴멕시코(49만3,013달러) 등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콘네티컷과 웨스트버지니아 간 격차는 연 75만 달러 이상으로, 지역 간 경제력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난다.

주별 최상위 소득자 차이가 큰 이유는 주거비·세제·산업 구조·노동시장 규모 등에 따라 생활비와 임금 수준이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전문가 시각: ‘상위 1%’ 통계가 주는 함의

경제학자들은 상위 1%의 소득 하락세를 코로나19 이후 기술주 중심 자산가치 조정임금 인플레이션의 확산으로 분석한다. 특히 하위 99%의 임금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승하면서, 통계상 ‘상위 1%’ 문턱이 내려갔다는 해석이 나온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절대 금액 자체가 워낙 높아 소득 불평등의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다”고 지적한다. 실제 미국 노동통계국(BLS) 자료에서도 최상위 10%가 전체 임금의 절반 이상을 가져간다는 점이 확인된다.


실생활 팁: 고소득자의 ‘4가지 돈 관리 전략’

GOBankingRates는 부유층 재테크 전문가들의 조언을 인용해 ① 세액공제 극대화 ② 다각화된 투자 포트폴리오 구축 ③ 레버리지 활용 ④ 자동화된 저축·투자 시스템 등을 고소득자의 공통된 전략으로 꼽았다. 이는 단순히 ‘얼마를 버느냐’보다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장기적 부의 축적에 결정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향후 관전 포인트

연준(Fed)의 통화정책, 기술 산업의 주가 흐름, 각 주의 세법 개정 여부 등은 상위 1% 소득 기준선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경우, 금융소득 의존도가 높은 고액 연봉자들의 실질 소득 성장률이 둔화될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

한편 전문가들은 “같은 금액이라도 구매력(PPP)을 고려해 생활비를 계산해야 한다”며, “고소득 지역 이주를 고민하는 직장인은 주택 가격과 세율, 교육·의료 인프라까지 종합 비교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이번 통계는 2025년 기준이지만, 경기 순환에 따라 매년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위 1%라는 상징적 목표보다 재무 목표의 현실적 설정장기적 자산 배분 전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전문가들은 거듭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