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EU 무역 합의에 S&P 500·나스닥 100 사상 최고…국채 수요 부진이 상승폭 제한

[주요 지수 동향] 뉴욕증시는 28일(현지시간) 혼조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02%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고, 나스닥 100 지수0.36% 오르며 사상 최고 행진을 이어갔다.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0.14% 하락해 차별화 양상을 보였다.

2025년 7월 2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EU 간 무역 협상 타결이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하며 증시에 상승 동력을 제공했다. E-미니 선물시장에서도 9월물 S&P 500은 장중 0.02% 내렸으나 나스닥 100 선물은 0.35% 상승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15% 관세"라는 상대적으로 완화된 수준이 기존 50%까지 거론되던 트럼프 정부의 위협을 일부 완화했다고 평가했다.

◆ 무역전선 완화 — EU·미국·중국 3각 구도
유럽연합(EU)과 미국은 전날(28일) 대타협을 성사시켜 EU 수출품 대다수에 대해 15% 일괄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는 “50%까지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해 온 트럼프 대통령의 기존 방침보다 완화된 수준이다.

또한 South China Morning Post는 미·중이 8월 12일 스톡홀름에서 열리는 베선트 미 재무장관·허리펑 중국 부총리 회담을 계기로 관세 휴전(트루스)을 90일 추가 연장할 가능성을 보도했다.

◆ 국채 수급 악화가 상승폭을 제한
같은 날 미 재무부가 실시한 5년물 국채 700억 달러 입찰에서 응찰률(bid-to-cover)이 2.31배로 10회 평균 2.39배를 밑돌자 국채 금리가 급등했고, 이에 주식시장은 장중 고점을 반납했다. 재무부는 3분기 차입 예상치를 기존 5,540억 달러에서 1조 100억 달러로 대폭 상향하면서 추가 발행 부담을 예고했다. 10년물 금리는 1.6bp 상승한 4.404%를 기록했다.

◆ 경제 지표 — 텍사스 제조업 서베이 반등
달라스 연은(聯銀)이 발표한 7월 제조업 전망지수는 0.9로, 6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전월 대비 +13.6). 당초 시장 컨센서스는 -9.0이었다. 이는 제조업 활동이 예상보다 견조하다는 신호로 해석돼 주가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다.

◆ 이번 주 관전 포인트
무역시한 —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까지 추가 무역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 전 세계 150여 개국에 대해 관세를 최소 15%에서 최대 50%까지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지표 일정 — 30일 JOLTS 구인·이직 보고,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31일 ADP 고용·2분기 GDP·코어 PCE, 1일 개인소득/지출·주간 실업수당·시카고 PMI, 2일 비농업부문 고용보고서·ISM 제조업·미시간대 소비심리를 포함한 굵직한 지표들이 줄줄이 대기 중이다.
FOMC — 연준은 이번 2일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 4.25~4.50%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며, 선물시장에서는 9월 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63%로 반영하고 있다.

◆ 실적 시즌 : ‘매그니피센트 세븐’ 집중 조명
이번 주는 S&P 500 편입 기업의 38%가 실적을 발표하는 최대 하이라이트 구간이다. 마이크로소프트·메타 플랫폼스(31일), 애플·아마존(1일) 등 ‘빅테크’가 줄줄이 대기 중이며,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분기 S&P 500 순이익 증가율 예상치는 +4.5% (y/y)로 어닝 시즌 돌입 전 예상치 +2.8%를 크게 웃돌고 있다. 현재까지 보고를 마친 기업 중 82%가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다.

◆ 해외 증시·채권
유로Stoxx50 지수는 2주 최고치에서 0.27% 하락했고, 상하이종합은 0.12% 상승, 일본 닛케이는 1.10% 하락했다. 유럽 국채시장에서 독일 10년물 금리는 2.689%로 2.9bp 하락했으나, 영국 길트는 1.2bp 상승한 4.647%를 기록했다. ECB 카짐르 위원은 “경제가 급격히 악화되지 않는 한 9월 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라고 밝혔고, 스왑시장은 9월 25bp 인하 가능성을 17%로 반영했다.

◆ 섹터·종목별 동향
반도체AMD(+4%↑)가 나스닥 1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고, ON·KLAC·ASML·MRVL·TXN 등도 2~3%대 올랐다.
에너지 — WTI 가격이 1주 최고치(2%↑)를 경신하자 FANG(+4%↑), DVN(+3%↑) 등 에너지주가 강세를 보였다.
LNG — EU가 미국산 에너지 구매 확대를 약속하자 VG(+4%↑), LNG(+1%↑) 등이 상승했다.
원자재 — 금·구리 가격 급락으로 NEM(-3%↓), FCX(-2%↓) 등 광산주가 부진했다.
특이 종목 — AI 서버 수혜주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는 10% 급등, 나이키(NKE)는 JPMorgan이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하며 3% 상승했다. 반면 Revvity(-8%↓), Centene(-5%↓), Coinbase(-3%↓) 등은 목표가·투자의견 하향 여파로 약세를 보였다.


◆ 용어·배경 설명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결정기구로, 연방기금금리 조정을 통해 물가와 고용을 관리한다.
코어 PC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rice Index,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는 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인플레이션 지표로, 연준이 목표 물가를 판단할 때 가장 중시하는 수치다.
Bid-to-Cover Ratio는 국채 입찰 시 투자수요(응찰액)를 발행금액으로 나눈 값으로, 숫자가 클수록 수요가 강하다는 의미다.

※ 본 기사에서 언급된 종목 및 자산에 대해 기자는 작성 시점 기준으로 직접적·간접적 보유 지분이 없음을 밝힌다. 모든 정보는 투자 참고용으로, 바차트(Barchart) 공개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