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29일(현지시간) 미·EU 간 무역 합의와 미·중 ‘관세 휴전’ 연장 기대를 호재로 받아들이며 S&P500과 나스닥100 지수를 사상 최고치로 끌어올렸다.
2025년 7월 2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0.02% 상승 마감했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14% 하락했으며,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100 지수는 0.36% 올랐다. 미니 선물(9월물 기준)에서는 S&P가 0.02% 소폭 밀린 반면 나스닥은 0.35%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일 증시는 미·EU가 전격 타결한 무역협정과 미·중 관세협상의 90일 추가 연장 전망에 힘입어 장 초반 급등했다. 새 합의로 EU는 대부분 품목에 대해 15% 수준의 관세만 부담하게 됐으며,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경고한 ‘최대 50% 관세’ 위협보다 크게 낮다. 또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미 재무장관 베선트(Bessent)와 중국 허리펑(He Lifeng) 부총리가 8월 12일 스톡홀름에서 만나 관세 휴전을 90일 연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다만 장 후반으로 갈수록 국채 금리 상승이 주가를 짓눌렀다. 미 재무부가 실시한 5년물 국채 700억 달러 규모 입찰에 수요가 부진해 수익률이 뛰었고, 3분기 국채 발행 계획도 기존 5,540억 달러에서 1조 100억 달러로 상향 조정됐다. 안전자산 선호가 약해지며 일부 투자자들은 주식에서 차익 실현에 나섰다.
경기·물가 지표 전망
같은 날 발표된 7월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제조업 전망 지수는 0.9로 전월 대비 13.6포인트 급등, 6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해 경기 낙관론을 뒷받침했다.
이번 주 시장의 초점은 8월 1일까지 예정된 추가 무역협상 결과와 30~31일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다. 현재 연방기금선물(FF) 시장은 이번 회의에서 금리가 4.25~4.50%로 동결될 확률을 97% 반영하고 있으며, 9월 회의에서 0.25%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63%로 본다.
주요 일정으로는 30일 6월 JOLTS 구인·이직 보고서(전월比 –21만9천 개 예상)와 7월 콘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96.0 예상), 31일 7월 ADP 고용보고서(+8만 명 추정), 2분기 GDP 2.4%(연율) 예측치가 있다. 8월 1일에는 2분기 고용비용지수(0.8% 예상), 개인소득·지출(각각 0.3%·0.4% 증가 전망), 연준이 선호하는 근원 PCE 물가(전월比 0.3%, 연율 2.7% 예상) 등이 줄줄이 공개된다. 2일 발표될 7월 비농업부문 고용은 10만9천 명 증가, 실업률은 4.2%로 소폭 상승,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3%로 점쳐진다.
기업 실적·섹터 동향
‘매그니피센트 7’※MS, META, AAPL, AMZN, NVDA, GOOGL, TSLA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는 31일, 애플과 아마존은 1일 실적을 내놓는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기업의 2분기 이익은 시즌 이전 예상치(+2.8% y/y)를 웃도는 +4.5% 증가가 전망된다. 이미 전체 기업의 3분의 1이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 중 82%가 시장 기대를 넘어섰다.
해외 증시는 혼조세였다. 유로스톡스50는 2주 최고치에서 되밀려 –0.27%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은 +0.12% 상승, 일본 닛케이는 –1.10% 하락 마감했다.
국채시장에서 10년물 금리는 1.6bp 오른 4.404%를 기록했다. 2·5년물 대규모 입찰 부담과 위험자산 선호 회복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독일 10년물은 –2.9bp 내린 2.689%, 영국 길트 10년물은 +1.2bp 오른 4.647%였다. 유럽중앙은행(ECB) 정책위원 카지미르 의원은 “경기가 급격히 악화되지 않는 한 9월 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라고 선을 그었다.
주요 종목별 흐름
반도체주는 미·EU 무역합의 수혜주로 꼽혔다. AMD(+4%)가 나스닥100 상승률 1위를 차지했고, 온세미·KLA·ASML·마벨·TI·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NXP는 2% 이상 올랐다. 엔비디아·램리서치·글로벌파운드리스·마이크로칩·퀄컴도 1% 넘게 상승 마감했다.
에너지·정유주 역시 WTI유가가 1주 최고치로 2% 이상 급등하면서 동반 랠리를 펼쳤다. 다이아몬드백에너지(+4%), 데번(+3%), APA·코노코필립스·필립스66(+2%↑), 할리버튼·마라톤·베이커휴즈·옥시덴털·발레로(+1%↑) 등이 대표적이다.
EU가 미국산 LNG 대규모 구매를 약속하면서 벤처글로벌(+4%), 셰니어에너지(+1% 이상), EOG리소시스(+1% 이상) 등 천연가스 업체도 강세를 보였다.
반면 금·구리 등 원자재 가격 하락 여파로 뉴몬트(–3%↓), 프리포트맥모란(–2%↓) 등 광산주는 부진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AI 서버 수요 기대감에 10% 급등, S&P500 최고 상승 종목이 됐다. JP모건의 투자의견 상향(‘비중확대’)을 받은 나이키도 3% 넘게 올랐다. 웨더퍼드인터내셔널(+3%)은 파이퍼샌들러가 목표가 73달러로 올리며 ‘비중확대’로 상향했다.
반면 레버티(–8%)는 연간 EPS 가이던스 하향, 센틴(–5%)은 칸토르 피츠제럴드가 ‘비중확대→중립’으로 강등, 코인베이스(–3%)는 모네스 크레스피 하트의 ‘매수→중립’ 하향 조정으로 각각 약세를 보였다. 길리어드사이언스(–2%)는 미국 보건복지부(HHS)의 예방의학 자문위 해체 계획 보도가 HIV 예방약 매출 위축 우려로 이어졌다. 액센츄어와 시스코도 증권사 신규·하향 커버리지 여파로 1~2% 하락했다.
실적 발표 예정 기업
30일부터 아메리칸타워, 보잉, 부킹홀딩스, 시저스엔터테인먼트, 코닝, 머크, 페이팔, P&G, 비자 등 S&P500 시가총액의 38%가량을 차지하는 기업들의 실적이 집중된다. 투자자들은 실적과 함께 가이던스, 주주환원 정책 등을 면밀히 살필 전망이다.
용어 간단 해설
JOLTS(Job Openings and Labor Turnover Survey)는 미국 노동부가 매달 발표하는 구인·이직 현황으로 노동시장 수급을 평가하는 선행지표다.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로,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설정한다.
ADP 고용보고서는 민간 인사관리 회사 ADP가 집계하는 비농업 민간부문 고용 변동으로, 공식 고용보고서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우리는 단순명료한 15~50% 관세를 부과할 것”—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7월 24일)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까지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최소 15%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해 시장의 경계심을 자극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사 작성 시점(7월 29일) 현재 집계된 자료 기준으로 필명 ‘리치 아스플런드’는 본문에 언급된 종목에 대해 직·간접적인 투자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투자 권유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