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부, 2025년 3분기 차입 계획 발표
미국 재무부가 2025년 7월~9월 분기에 민간 보유 순유통 가능 국채(privately-held net marketable debt) 기준 1조 70억 달러(1.007 조 달러)를 차입할 것이라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2025년 4월 전망치보다 4,530억 달러 늘어난 규모다.
2025년 7월 28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재무부는 같은 분기 말(9월 말) 현금 잔액 목표를 8,500억 달러로 설정했다. 이번 전망 조정은 분기 초 현금 잔액이 예상보다 낮았던 점과 순현금 유입 전망이 감소한 점을 주된 이유로 제시한다.1
재무부는 “초기 현금잔액 효과를 제외하면 3분기 차입 전망 증액분은 600억 달러”라며, 낮아진 잔액 자체가 추정치 확대에 큰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이는 재무부가 매 분기 시행하는 현금 수지·차입 관리 전략의 일환으로, 실제 자금 흐름과 세수 변동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정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4분기(10~12월) 차입 전망
이어서 재무부는 2025년 4분기에 5,900억 달러를 차입할 것으로 예측했다. 분기 말 현금 잔액 목표는 이번에도 8,500억 달러로 동일하게 유지됐다.
“현금 잔액 목표는 국채 상환, 정부 지출 변동, 잠재적 유동성 충격에 대응하기 위한 안전판 역할을 한다”고 재무부는 설명했다.
2분기(4~6월) 실적 및 오차 요인
재무부는 2025년 2분기에 실제로 650억 달러를 차입해 6월 말 현금 잔액 4,570억 달러로 분기를 마감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4월에 제시됐던 5,140억 달러 차입 전망보다 크게 줄어든 수치다. 당시 전망치는 6월 말 현금 잔액을 8,500억 달러로 가정했으나, 실제 잔액이 더 낮아지면서 차입 필요액 또한 감소했다.
결국 2분기 추정치와 실적 간 괴리(449억 달러)는 현금 잔액 축소와 순현금 유입 증가가 동시에 발생한 데 따른 결과였다. 현금 잔액 요인을 제외하면 실제 차입 규모는 전망치 대비 560억 달러 감소했다.
용어 설명 및 제도적 배경
민간 보유 순유통 가능 국채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나 연방정부 기관이 아닌 시장 참여자가 보유하게 될 순증분 국채를 뜻한다. 재무부가 매 분기 발표하는 이 지표는 국채 발행 전략, 예산 적자, 세입 변동, 유동성 관리 계획 등을 통합적으로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또한 현금 잔액은 ‘정부 일반 계정(TGA)’으로 불리는 재무부의 Fed 예치금을 의미한다. 잔액 규모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재무부는 단기 국채(T-bill) 발행을 늘려 유동성을 확보하고, 반대로 과도한 잔액은 발행 규모를 줄여 시장 충격을 완화한다.
현재 재무부가 설정한 8,500억 달러라는 현금 잔액 목표는 2020년 팬데믹 이후 확장된 재무부 현금 보유 전략의 연장선으로, 과거 평균(2,000억~4,000억 달러)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이는 대규모 재정지출과 불확실한 세수 전망 속에서도 지출을 안정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완충 장치’로 해석된다.
시장 영향 및 전망
이번 발표는 단기적으로 국채 발행 확대에 따른 증권 수급 압력을 시사한다. 이와 함께 재무부의 현금 잔액 경로가 지속적으로 조정될 경우 연방준비제도의 역환매조건부(RRP) 시설 이용 규모, 초과 준비금 수준 등 유동성 지표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2
그러나 재무부는 차입 일정을 사전에 공개하며 시장과의 소통을 강화해 왔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투명성이 금리 변동성을 완화하고, 입찰 실패(auction tail)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평가한다. 다만 2025년 중반 이후로도 재정적자 규모가 고공행진을 이어갈 경우, 장기금리 상승압력과 함께 부채 지속가능성 논의가 재부각될 여지는 남아 있다.
재무부 관계자는 “예상치 못한 세입 변동과 의회 재정 협상 결과에 따라 차입 계획이 추가로 수정될 수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해 미국 의회는 부채한도를 한시 정지하며 재무부의 차입 권한을 확장한 바 있다.
요약하자면, 재무부는 2025년 3분기에 1조 70억 달러 차입 계획을 세우면서도 현금 잔액을 8,500억 달러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4분기에는 5,900억 달러 차입이 예상되며, 2분기 실제 차입은 650억 달러에 그쳤다. 이번 전망 조정은 주로 낮아진 현금 잔액과 순현금 유입 확대로 설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