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중앙은행,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 4.0~4.8%로 하향

말레이시아 중앙은행(Bank Negara Malaysia·BNM)이 2025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4.0~4.8%로 낮췄다. 이는 기존 전망(4.5~5.5%)보다 0.5%p가량 줄어든 수치다. BNM은 전 세계 무역정책 변화와 관세(관세·Tariff) 불확실성을 주된 위험요인으로 지목했다.

2025년 7월 28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BNM은 이날 성명을 통해 “외부 요인의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성장 경로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같은 자료에서 헤드라인 물가상승률(Headline Inflation)도 평균 1.5~2.3%로 예측했다. 이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 안정과 정부의 가격 통제 정책을 감안한 결과다.

BNM은 “세계 교역구조가 보호무역주의로 기울 경우, 말레이시아와 같은 수출 중심 경제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대로 주요 교역국 간 협상이 호전되면 탄력적 회복세가 가능하다는 점도 언급했다.*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식품·에너지 등 변동성이 큰 품목을 포함한 소비자물가지수를 의미한다.


헤드라인 인플레이션·관세 리스크란?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소비자가 체감하는 전반적인 물가 압력을 의미한다. 정책당국이 참고하는 근원 인플레이션(변동성이 큰 품목 제외)과 달리, 실질 구매력 변화를 더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관세 리스크는 수입품에 부과되는 세율 변동 가능성을 뜻하며, 글로벌 공급망 비용 구조를 흔들어 수출입 기업의 손익과 투자 결정을 좌우한다.

“관세가 높아지면 말레이시아 전자·전기(전기전자) 부문 수출이 최대 1.2% 감소할 수 있다.” — BNM 내부 시뮬레이션

economic_chart

BNM 전망 세부 시나리오

BNM은 세 가지 관세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관세 지속 상승: 미국·EU가 대중(對中) 추가관세를 유지할 경우, 글로벌 교역량이 0.8% 감소하며 말레이시아 성장률은 4.0% 하단에 근접.
부분 완화: 선진국과 중국 간 ‘스몰딜’ 체결 시, 성장률이 4.4%선으로 상향.
전면 협상 타결: 주요국이 관세 일부를 철회하면 성장률이 최대 4.8%까지 회복.


전문가 시각과 시장 영향

현지 경제학자들은 “BNM이 추정한 4.0~4.8% 구간은 보수적(bearish)일 수 있다”라고 분석한다. 최근 전기·전자 부문 대규모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반도체 공급망이 ‘차이나+1’ 전략으로 재편되면서 말레이시아 페낭·조호르 지역이 수혜를 받는다는 관측이다.

다만 글로벌 경기 둔화가 심화될 경우, 수출 확대 효과가 상쇄될 수 있다는 우려도 공존한다. BNM은 외국환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링깃화(화폐 단위) 유동성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성장·물가 경로에는 여전히 하방 위험이 존재한다. 중앙은행은 데이터 기반 접근을 유지할 것” — BNM 성명

말레이시아 경제 구조와 정책 시사점

말레이시아 경제는 제조업·서비스업을 양축으로 한다. 특히 GDP의 약 60%가 수출에서 발생한다. 이 때문에 외부충격 민감도가 높다. HSBC·JP모건 등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정책금리(현재 3.00%)가 당분간 동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한다.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이 2%대 초반에 머무른다면, 통화정책 여력이 넓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정부는 2026년까지 전기차(EV)·재생에너지(RE) 설비투자를 확대해 녹색전환을 가속하겠다는 계획을 재확인했다. 당국은 “신흥기술 부문이 성장률 둔화를 완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기자 분석

첫째, 성장률 하향 조정은 단기적으로 외국인 투자심리에 부정적일 수 있으나, 낮은 인플레이션 전망이 정책금리 인하 여지를 넓혀 금융시장에 완충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동남아 공급망 재편 속에서 말레이시아 생산기지의 전략 가치는 오히려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반도체 패키징·테스트 분야는 글로벌 기업의 이전이 가속되고 있다.

셋째, 정책 결정자에게는 ▲관세 변화 모니터링 ▲내수 진작 패키지 준비 ▲외국인 투자 유치 인센티브 확대가 핵심 과제로 남는다.

종합적으로 BNM의 이번 조정은 변동성이 커진 세계 경제 환경에 대한 선제적 경고로 해석된다. 관세 뉴스플로우가 향후 실물·금융시장 변동성을 좌우할 가능성이 높아 투자자들의 모니터링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