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호조 기대감에 S&P500·나스닥100 또다시 사상 최고치 경신

뉴욕 증시가 25일(현지시간) 연속적인 실적 호조미 경제 회복세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상승 마감했다. 이날 S&P500 지수와 나스닥100 지수는 각각 0.40%, 0.23% 상승하며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2025년 7월 2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2분기 기업 실적이 당초 전망을 상회한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위험선호 심리를 강화하고 있다. Bloomberg Intelligence 집계에 따르면 S&P500 편입 기업 중 이미 실적을 발표한 기업의 약 83%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이익을 기록했다.

S&P500 chart

지수별 흐름을 보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도 0.47% 올랐고, 9월물 E-미니 S&P 선물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각각 0.38%, 0.26% 상승한 채 장을 마쳤다. 채권 금리가 장 후반 들어 하락 반전한 것이 주가 상승에 힘을 보탰다.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는 전장 대비 1bp 내린 4.38%에서 마감했다.

기업별 주요 뉴스

실적 시즌의 최대 수혜주는 의류·신발 브랜드 데커스 아웃도어(DECK)였다. 회사는 1분기 매출 9억6,450만 달러를 발표하며 컨센서스(9억140만 달러)를 큰 폭으로 웃돌았다. 전기·기계 설비 기업 컴포트 시스템스 USA(FIX)도 2분기 매출 21억7,000만 달러를 기록해 시장 전망치(19억6,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반면, 인텔(INTC)은 -8% 급락하며 반도체 업종의 상승 폭을 제한했다. 인텔은 2분기 주당순손실 0.10달러를 발표해 예상치(+0.01달러)와 정반대의 성적표를 내놨고, 연말까지 15%에 달하는 인력 감축과 설비투자 축소 계획을 밝혔다. 케이블·미디어 기업 차터 커뮤니케이션즈(CHTR) 역시 2분기 EPS(9.18달러)가 컨센서스(9.82달러)를 밑돌며 18% 넘게 급락, S&P500 내 최다 하락률을 기록했다.

“투자자들이 마이크로·매크로 지표를 면밀히 비교하며 위험자산 배분을 재조정하고 있다”는 것이 월가의 공통된 진단이다.

경제 지표와 통화정책

경제 지표 측면에서는 6월 미국 국방·항공 제외 자본재 신규주문이 전월 대비 0.7% 감소하며 시장 예상(+0.1%)을 하회했다. 그럼에도 연준(연방준비제도) 정책 기대는 ‘동결’ 쪽으로 기울었다. 연방기금선물 가격은 7월 FOMC(7월 29~30일)에서 -25bp 인하 확률을 3%로, 9월 회의에서는 66%로 각각 반영 중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8월 1일 관세 부과 데드라인도 시장의 변동성을 자극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50개국 이상에 15~50% 수준의 단일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하한선이 10%에서 15%로 높아졌다는 점이 주요 변수로 부각된다.

Treasury Note chart

해외 시장 동향

유럽 주요 지수인 유로스톡스50은 0.06% 하락했고,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718%로 1.6bp 상승하며 3.75개월 최고치를 나타냈다. 아시아에서는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0.33% 내렸고, 일본 닛케이지수는 0.88% 하락했다.

개념 설명

E-미니 선물은 CME(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소액 S&P500·나스닥 지수 선물 계약으로, 표준 선물 대비 계약 규모가 1/5 이하로 작아 개인투자자도 접근하기 쉬운 상품이다. SPY·QQQ는 각각 S&P500,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상장지수펀드(ETF)를 의미한다.

반도체·디지털 자산 섹터의 변동성도 여전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2주 만에 -1% 하락하면서 갤럭시 디지털,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라이엇 플랫폼스, 코인베이스 등 가상자산 관련주가 1~3%대 약세를 나타냈다.

향후 일정 및 관전 포인트

이번 주에는 S&P500 구성 종목의 5분의 1이 실적을 공개한다. 블룸버그는 2분기 S&P500의 전체 EPS 증가율4.5%로, 시즌 전 예상치(2.8%)를 상회할 것으로 내다봤다. 29일 예정된 2년·5년물 국채 총 1,390억 달러 규모 입찰과, 8월 1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결정이 단기 변동성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다.

시장 전문가들은 “단기 금리·통화정책 불확실성보다도, 기업 실적과 소비지표가 동반 탄탄하다는 점이 주가 상단을 지탱한다”면서도 “대형 기술주 주가가 역사적 고점에 근접한 만큼 실적 미스가 나타날 경우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