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시 의원, “에프스타인 파일 공개 투표 막으면 중간선거서 공화당 정치적 타격” 경고

미 하원 내부에서 제프리 에프스타인 관련 연방 정부 문건 공개 여부를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공화당 지도부가 투표 절차를 지연‧차단하자, 공동 발의자인 토머스 매시(공화·켄터키) 의원은 이를 ‘정치적 자충수’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2025년 7월 28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하원 의장 마이크 존슨(공화·루이지애나)은 NBC 뉴스 인터뷰에서 해당 법안이 “무모하다”고 규정하며 피해자 보호 장치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표결을 거부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하원 공화당은 모든 신뢰할 만한 증거를 공개하길 원하지만, 동시에 무고한 피해자들의 신상은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매시 의원과 공동 발의자인 로 칸나(민주·캘리포니아) 의원은 ABC·NBC 등 주요 방송에 잇달아 출연해 “우리는 피해자 이름을 가리고 아동 포르노를 전면 배제하도록 세밀하게 초안을 작성했다”고 반박했다. 매시는 존슨 의장이 제시한 ‘피해자 보호 미비’ 주장을 “허수아비 논리(straw man argument)”라고 규정하며 지도부가 사실을 호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미지로 보는 현장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 인터뷰 영상
에프스타인 파일 관련 CNBC 기사 썸네일


디스차지 피티션(discharge petition)은 다수 지도부가 상정하지 않은 안건을 일반 의원 218명이 서명할 경우 강제 표결에 부칠 수 있는 절차다. 하원 소수파 보호 장치로, 지도부 견제를 위한 최후 수단으로 쓰인다.

이번 피티션은 현재 공화·민주 양당 의원 200여 명이 서명했지만, 존슨 의장이 8월 휴회1를 조기 시작하면서 실제 상정은 미뤄진 상태다. 매시 의원은 “왜 의장이 우리를 조기 귀향시켰느냐”며 “휴회 기간 압력이 커져 결국 표결이 이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1미 의회는 통상 8월 전원 휴회를 갖는다.

존슨 의장은 피해자 보호 외에도 ‘수사‧기소에 악영향’을 거론했다. 하지만 매시는 “에프스타인과 길레인 맥스웰이 모든 범행을 단독으로 저질렀다고 믿기 어렵다”면서

은행 자료, 기밀 합의서, 이미 봉인된 서류들을 공개해 관련자 전모를 확인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정치적 파장도 가시화되고 있다. 매시 의원은 “공화당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유권자들이 실망해 하원 다수당을 잃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2026년 중간선거를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에프스타인 사건은 여전히 MAGA(메이크 아메리카 그레이트 어게인) 진영을 비롯한 보수 지지층의 음모론을 자극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당시)은 7월 25일 기자들에게 “나는 그 남자와 무관하다”며 선을 그었지만, 과거 사교계에서의 친분 사실이 재차 부각되며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법무부가 맥스웰에게 제한적 면책(immunity)을 부여해 추가 증언을 확보했다는 사실도 논란을 키웠다. 면책은 진술 내용이 추후 기소에 사용되지 않는 조건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변호사 출신인 토드 블랑슐 부장관이 주도했다. 이에 대해 매시 의원은 “맥스웰에 대한 사면은 정당화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민주당 내에서도 낸시 펠로시(캘리포니아)·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즈(뉴욕) 의원 등이 피티션에 서명, 초당파 구도가 뚜렷하다. 이는 ‘피해자 보호’라는 명분 아래 표결을 거부하는 공화당 지도부가 점차 고립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에프스타인은 2019년 7월 아동 성매매 혐의로 체포된 후 구치소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발표됐다. 그러나 사망 경위와 연루 인사 명단이 제대로 공개되지 않아 여전히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전문가 분석에 따르면, 에프스타인 문건의 전면 공개는 단순한 ‘가십’이 아니라 미국 정치 엘리트·사법기관의 투명성을 시험하는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법률가들은 피해자 프라이버시와 공익 간 절충안을 마련해 순차적 공개를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향후 관전 포인트2는 ▲휴회 기간 여론 압박 강도 ▲9월 회기 재개 직후 하원 일정 ▲트럼프 캠프의 대응 등이다. 존슨 의장이 버티기에 성공할 경우, 피티션 서명 숫자가 218명을 넘어서더라도 실제 표결이 지연될 가능성은 남아 있다.2미 의회 일정은 지도부 권한에 크게 좌우된다.

결국 이번 사안은 피해자 보호‧정부 투명성‧정당 정치 이해관계가 얽힌 복합 이슈로, 2025년 가을 의회 최대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