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실적 훈풍 속 S&P500·나스닥100 사상 최고치 경신

S&P 500 지수(SPX)와 나스닥 100 지수(IUXX)가 25일(현지 시각)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S&P500 현물 지수는 전일 대비 +0.40% 상승했으며,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7%, 나스닥100 지수는 +0.23% 각각 올랐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3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26% 상승 마감했다.

2025년 7월 2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강력한 2분기 기업 실적과 견조한 미국 경기 지표가 투자 심리를 지지하면서 주요 주가지수가 일제히 올랐다. 특히 Bloomberg Intelligence 집계 결과, 실적을 발표한 S&P500 편입 기업의 약 83%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해 기업 수익 모멘텀이 뚜렷하게 확인됐다.

“연준(미국 중앙은행)에 대한 해임 우려가 없으며 파월 의장과의 ‘갈등은 없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전해지자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장중 고점에서 밀려 4.38%로 마감, 주가에는 추가 상승 동력이 됐다.

E-미니 선물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소액 계약 단위로 거래되는 주가지수 선물로, 실시간 시장 방향성을 가늠하는 지표다. 개인 투자자에게도 접근성이 높아 최근 거래 비중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실적·경제 지표: ‘호재 vs 악재’ 혼재

일부 종목은 주가 조정을 겪었다. 인텔(INTC)은 예상 외 2분기 주당 -0.10달러 손실을 기록했다는 소식과 함께 연내 15% 감원 및 설비투자 축소 계획을 발표해 주가가 -8% 급락, 반도체 업종 전반 상승폭을 제한했다. 또 차터 커뮤니케이션스(CHTR)는 2분기 EPS가 시장 예상치에 크게 못 미치면서 -18% 폭락했다.

반면 건설·설비 서비스 기업 컴포트 시스템스(FIX)는 분기 매출이 컨센서스를 10% 이상 웃돌아 +23% 급등, S&P500 상승 종목 중 가장 뛰어난 수익률을 보였다. 덱커스 아웃도어(DECK) 역시 호실적에 +11% 상승했다.

미 공급관리협회(ISM) 발표 전 ‘경기 내구재(비항공·방위 제외) 신규주문’이 전월 대비 -0.7%% 감소해 예상치(+0.1%)를 밑돌았다는 점은 주가에 일시 하방 압력을 가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대체로 견조한 실적 흐름에 주목했다.

트럼프發(발) 관세 변수

시장 참가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까지 무역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최대 50%에 달하는 일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재차 경고한 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행 ‘직선적·단일 관세’ 방식을 고수하겠다는 의지가 확인되면서 불확실성이 상존한다.


연준·ECB 통화정책 기대치

연방기금선물 가격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0.25%p) 금리 인하 확률을 3%로, 9월 16~17일 회의에서 66%로 반영 중이다. 유럽에서는 독일·라트비아 출신 ECB 위원들이 “추가 인하는 대규모 경기 충격이 없는 한 적절치 않다”고 언급, 시장의 조기 완화 기대를 낮췄다.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4.635%로 1.4bp 상승, 독일 10년물 국채 금리도 2.718%로 1.6bp 올랐다. 유로존 6월 M3 통화량 증가율은 전년 대비 3.3%로 9개월 만에 최저치이며, 독일 7월 IFO 기업환경지수는 88.6으로 14개월 최고치를 기록했다.

해외 증시 상황

유럽 유로 Stoxx 50 지수는 -0.06%, 중국 상하이종합지수-0.33%, 일본 닛케이225 지수는 -0.88% 각각 하락 마감했다.


개별 종목 동향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센틴(CNC)이 ACA(오바마케어) 사업 흑자 전환 계획을 밝히며 +6% 상승했고, 몰리나헬스케어(MOH), 휴마나(HUM), 엘리번스헬스(ELV), CVS헬스(CVS)도 3~4%대 강세를 기록했다.

금 관련주 뉴몬트(NEM)은 매출이 컨센서스를 10% 웃돈 53억 달러를 기록해 +6% 올랐다. 반면 비트코인 가격이 2주 최저치로 밀리며 갤럭시디지털마이크로스트레티지 등 가상자산 관련주는 1~3% 하락했다.

팔란티어(PLTR)Piper Sandler의 ‘비중 확대’ 신규 커버리지로 +2% 상승했고, 중고차 온라인 플랫폼 카바나(CVNA)Oppenheimer의 투자의견 상향으로 +2% 올랐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E-미니 선물: CME가 1997년 도입한 소형 지수 선물로, 표준 S&P 500 선물 계약의 1/5 규모에 불과해 증거금 부담이 낮고 유동성이 뛰어나다. 개인·기관 모두 시장 방향성 헤지 및 투기에 활용한다.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 미국 은행 간 초단기(하루) 콜금리인 ‘연방기금금리’의 미래 방향성을 거래하는 상품. 투자자들은 이를 통해 미국 기준금리 인하·인상 확률을 실시간으로 가늠한다.

IFO 지수: 독일 뮌헨 소재 IFO 경제연구소가 매달 산출하는 기업환경지수로, 9,000개 기업 설문을 토대로 제조·건설·소매·도소매 부문의 경기를 종합 평가한다. 유럽 경기 선행지표로 신뢰도가 높다.


시장 전문가들은 “기업 실적 서프라이즈가 이어질 경우 지수 고점 갱신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만,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와 9월 FOMC 전까지의 매크로 지표가 단기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