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로버트 기요사키(Robert Kiyosaki)가 자비로 출간한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Rich Dad, Poor Dad)』는 전 세계 4,400만 부 이상 판매되며 개인 재테크 분야의 바이블로 자리 잡았다. 책의 성공 이후 그는 팟캐스트, 유튜브, 소셜미디어, 강연, 후속 저서를 통해 다양한 재정 조언을 내놓아 왔다.
2025년 7월 2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기요사키의 여러 조언 가운데 특히 ‘저축하지 말라’와 ‘401(k)를 활용하지 말라’는 주장은 꾸준히 논란의 대상이 돼 왔다. 전문가들은 해당 조언이 모든 투자자에게 보편적인 해답이 될 수 없다고 지적하며, 구체적 위험과 대안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① “돈을 모으지 말라”는 조언의 맹점
기요사키는 다년간 “저축만으론 결코 부자가 될 수 없다”는 주장을 반복해 왔다. 그는 현금이 은행에 머무르는 동안 인플레이션으로 구매력이 감소하고, 복리 성장 기회를 놓치게 된다고 비판한다. 대신 부동산·주식·사업 등 현금흐름을 창출하거나 장기적으로 가치가 상승할 자산에 자금을 투입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비상금(emergency fund)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공격적인 투자에 나설 경우, 돌발적인 의료비·실직·차량 수리비 등을 충당하지 못해 고금리 부채를 떠안을 위험이 있다. 대다수 개인재무 컨설턴트는 최소 3~6개월치 생활비를 별도로 적립해 둔 뒤, 남는 자금을 투자에 배분하는 ‘완충 전략’을 권고한다.
② “401(k)를 쓰지 말라”는 주장과 반론
기요사키는 미국 직장인 퇴직연금 제도인 401(k)에 대해 “관리 수수료가 비싸고, 투자 선택권이 제한적이며, 세금 측면에서 불리하다”고 비판한다. 그는 개인이 직접 운용할 수 있는 부동산·주식·비즈니스에 투자할 때 더 높은 수익과 세제 이점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퇴직 시점에 인출하면 일반소득세율로 과세되지만, 자본이득세(capital gains tax)는 그보다 낮다. 결국 401(k)로는 세금을 더 내게 된다.” — 로버트 기요사키
그러나 전문가들은 401(k) 세액공제·세금이연(pretax contribution & tax deferral) 효과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반박한다. 근로자는 세전 소득으로 불입해 즉시 세금을 절감하고, 투자수익이 계좌 안에서 자본이득세 없이 재투자되므로 장기 복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인출 시점에 소득세를 내더라도, 은퇴 후 낮은 세율 구간에 속하면 실질 세부담이 오히려 줄어드는 경우도 많다.
또한 대다수 기업은 매칭(matching) 제도로 직원 불입액의 일정 비율을 추가 적립한다. 이는 ‘확정 수익이 보장된 100% 무위험 수익’으로, 학계·재무설계 업계에서 가장 효율적인 투자로 꼽힌다.
③ 한국 독자를 위한 용어 해설
401(k)는 우리나라 퇴직연금(DC·IRP)과 유사한 미국형 확정기여형 제도다. 근로자가 세전 소득의 일정 금액을 계좌에 적립하면, 원천징수 세금이 그만큼 줄어들고, 계좌 내 운용수익에 대해선 인출 시까지 과세가 유예된다. 은퇴 후 인출할 때 일반소득세율을 적용받지만, 은퇴 시점의 소득이 현역 시절보다 감소했다면 실효세율도 낮아진다.
매칭(Matching)은 기업이 직원 불입액의 50~100%를 추가 적립해 주는 제도다. 예컨대 근로자가 월 500달러를 넣고, 회사가 동일 금액을 매칭하면 실제 투자금은 1,000달러로 두 배가 된다.
④ 전문가 시각 — ‘저축 vs 투자’ 균형론
기요사키의 핵심 메시지인 ‘위험을 감수하고 자산을 늘려라’는 성장단계 투자자에게 유효할 수 있다. 그러나 리스크 관리의 기초 체력인 비상자금 확보 없이 투자가 선행되면, 작은 변수에도 포트폴리오가 무너질 수 있다고 재무설계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또한 세제 혜택이 확정된 제도를 배제하고 전적으로 개인 판단에 의존하는 전략은, 정보·경험·자본력이 분산된 일반 투자자에게 구조적 불리함을 안겨줄 가능성이 있다. 결국 저축·투자·보장을 함께 고려한 포괄적 재정계획이 장기적으로 더 안정적인 부(富)를 형성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결론이다.
본 기사에 인용된 모든 수치·일자·발언은 2025년 7월 27일자 나스닥닷컴 원문 ‘Robert Kiyosaki’s Top Advice That You Should Probably Avoid’를 기반으로 번역·재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