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무장관 “EU, 美 시장 접근 확대 수용해야 30% 관세 피할 수 있어”

워싱턴발 무역협상 긴장 고조

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유럽연합(EU)에 대한 30% 관세 부과 시한(8월 1일)을 앞두고, EU가 미국 기업에 시장 개방 조치를 내놓아야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철회 여부를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 7월 27일, 로이터 통신(Reuters) 보도에 따르면, 루트닉 장관은 같은 날 방송된 폭스뉴스 선데이(Fox News Sunday) 인터뷰에서 “브뤼셀은 분명히 합의를 원하고 있다”면서도, “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거둬들일 만큼 충분히 매력적인 제안을 EU가 제시하느냐가 관건이다

”라고 말하였다.

관세(tariff)란 정부가 수입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 및 협상 leverage 확보를 목표로 한다. 이번에 거론된 30% 관세는 대(對)EU 자동차·부품 및 일부 농산품에 적용될 예정으로, 무역 규모를 감안할 때 양측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상당하다.

루트닉 장관은 “대통령께서 최종 결정을 내리실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EU와 합의에 이를 확률은 50대 50”이라고 언급했음을 전했다. 1※ 백악관 측은 현재로서는 추가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전문가 시각 – 관세 전쟁의 경제·시장 영향

무역 전문가들은 이번 발언이 “마지막 협상 압박 카드”로 평가된다고 진단한다. EU가 자동차 관세 면제를 위해서는 미국 농산물·서비스업 진입 장벽을 낮춰야 하는데, 유럽 각국 내부 이해가 갈리는 만큼 브뤼셀이 단기간에 통일된 제안을 마련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또한, 30% 관세가 실제 발효될 경우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 주가 하락,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비공식 내부 보고서에서 “관세가 1년간 유지될 경우 EU GDP 성장률을 최대 0.4%p, 미국을 0.2%p 끌어내릴 수 있다”는 추정을 제시한 바 있다.2

외교적 관점에서 보면, 바이든 행정부 시절 회복세를 보이던 미·EU 관계가 다시 시험대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특히 방위비·에너지 의존 등 다른 현안과 맞물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서양 동맹 재구성” 관측이 나온다.

시장 참여자들은 8월 1일 이전 EU 집행위원회가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 또는 ‘디지털세 유예’와 같은 당근책을 제시할지를 주목하고 있다. 국제 투자은행(IB)들은 “타결이 불발될 경우 달러화가 안전자산 선호로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뷰를 내놓았다.


배경 및 용어 설명

상무장관(Secretary of Commerce) : 미국 내·외 경제정책을 총괄하며, 무역협상과 산업정책을 담당하는 내각 구성원이다.
관세율 30% : 상품 가격의 30%를 세금으로 부과하는 강력한 보호무역 조치다.
브뤼셀 : EU 본부가 위치한 벨기에 수도로, 관례적으로 EU 정책결정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쓰인다.

이처럼 미국과 EU의 협상은 단순한 관세 인하를 넘어, 국제 공급망 재편·원자재·통화시장 등 복합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1주일간 이어질 막판 협상 결과에 따라 글로벌 자산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