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틱톡 좋아하지만 미국 소유로 이전돼야”…러트닉 상무장관 발언

워싱턴(로이터) —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틱톡(TikTok)을 좋아하지만, 중국 소유 상태로는 용납될 수 없으며 반드시 미국 소유로 전환돼야 한다고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27일(현지시간) 밝혔다.

2025년 7월 27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러트닉 장관은 폭스 뉴스의 일요 시사 프로그램 ‘Fox News Sunday’에서 진행자 섀넌 브림과 대담을 갖고 이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러트닉 장관은 방송에서 ‘대통령은 틱톡을 정말 좋아한다. 젊은 유권자와 소통할 수 있는 훌륭한 창구이기 때문이다’라고 언급한 뒤 ‘그러나 1억 7,000만 명의 미국인이 사용하는 앱이 중국 소유로 남아 있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따라서 이 앱은 미국 자본·미국 기술·미국 알고리즘으로 완전히 옮겨져야 한다. 그렇게 된다면 대통령은 틱톡을 긍정적으로 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쇼트폼 플랫폼, 그리고 데이터 보안

틱톡은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바이트댄스(ByteDance)가 2016년 출시한 15초~3분 길이의 짧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이다. 2024년 기준 전 세계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10억 명을 돌파했으며, 미국 내 이용자만 1억 7,000만 명2에 이른다.

미국 행정부와 의회는 틱톡이 수집한 막대한 사용자 데이터가 중국 정부의 압력 하에 노출될 가능성을 꾸준히 경고해 왔다. 틱톡 측은 데이터를 해외 서버에 보관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2024년 하원은 ‘외국 적대국 소유 앱의 강제 매각 또는 사용 금지’ 법안을 통과시키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러트닉 장관의 발언은 이러한 기류가 대선을 앞두고도 계속되고 있음을 재확인한 셈이다.

알고리즘 이전이 최대 난제

틱톡의 ‘추천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시청 이력, 참여 빈도, 관심사를 정밀 분석해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핵심 기술이다. 전문가들은 만약 틱톡이 미국 기업에 매각되더라도 알고리즘까지 완전히 이전되지 않는다면 보안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보스턴 소재 싱크탱크 디지털경제연구소의 제니 리 선임연구원은 ‘알고리즘이 남아 있는 한, 사용자 데이터 흐름을 중국 본사가 통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정치·선거 지형에 미치는 영향도 주목된다. 18~34세 미국 유권자의 60% 이상이 틱톡을 주요 정보 채널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트럼프 캠프가 플랫폼을 선거 전략에 활용할 수 있을지 여부가 관전 포인트다. 러트닉 장관은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젊은 층과 대화하기 위한 도구로서 틱톡을 선호한다는 사실은 분명하다’면서도 ‘국가안보가 최우선 순위’라고 선을 그었다.

일각에서는 2020년 트럼프 행정부가 틱톡의 미국 사업을 오라클·월마트 컨소시엄에 넘기는 방안을 추진했다가 지지부진해진 전례를 거론하며, 이번 매각 요구 역시 법적·외교적 난관에 직면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러트닉 장관은 추가 세부 방안을 밝히지 않았지만, ‘미국 소유·미국 통제’라는 원칙은 양보할 수 없다는 점을 거듭 시사했다.


필자의 관전 포인트

현재 미국·중국 간 기술 패권 경쟁은 반도체·인공지능·통신 장비에서 소프트웨어·콘텐츠 영역으로까지 확전된 상태다. 틱톡 문제는 단순한 앱 매각을 넘어 데이터 주권과 디지털 표준의 주도권이 걸린 사안으로 평가된다. 러트닉 장관의 강경 발언은 차기 행정부 역시 중국발 플랫폼에 대해 공세적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향후 미 의회가 마련할 구체적 입법, 그리고 바이트댄스가 제시할 협상 카드가 향방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한편, 틱톡 측은 러트닉 장관의 인터뷰 직후 별도 논평을 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