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폴레 멕시칸 그릴(Chipotle Mexican Grill)(뉴욕증권거래소: CMG)은 오랫동안 북미를 대표하는 패스트캐주얼(fast-casual) 체인으로 꼽혀 왔다. 그러나 2025년 들어 회사는 과거와 같은 고객 트래픽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동일점포 매출(same-store sales)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2025년 7월 2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치폴레는 7월 23일(현지 시각) 발표한 2분기 실적에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한 동일점포 매출을 공표했다. 이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이후 처음으로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세를 기록한 것이다. 2025년 들어 1분기 −0.4%를 기록한 데 이어 2분기 마이너스 폭이 확대됐으며, 이에 따라 연간 가이던스도 ‘낮은 한 자릿수 성장’에서 ‘전년 수준(0%)’으로 하향 조정됐다.
특히 거래 건수(트랜잭션)가 4.9% 줄었고, 평균 객단가(average check)는 0.9% 상승에 그쳤다. 회사는 5월 실적이 가장 저조했다고 밝혔으나, 6월 들어 한정 제품 ‘아도보 랜치 딥’ 출시와 ‘서머 오브 엑스트라(Summer of Extras)’ 리워드 프로그램 효과로 매출·트래픽이 회복 국면으로 돌아섰다고 설명했다. 7월에도 변동성은 있었지만 긍정적 추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치폴레 허니 치킨’ 한정 메뉴는 전체 주문의 4분의 1을 차지했다.
동일점포 매출이란 무엇인가
동일점포 매출(Comparable-Restaurant Sales)은 일정 기간 동안 이미 12개월 이상 영업한 매장의 매출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다. 신규 매장 효과를 제거해 기존 매장의 영업력·고객 충성도·브랜드 파워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레스토랑·소매업종 투자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지켜보는 지표 중 하나다.
치폴레는 실적 발표와 함께 장기적으로는 중간 한 자릿수(mid-single digit) 수준의 동일점포 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고 재확인했다. 경영진은 “최근 부진은 주로 소비 심리 악화라는 거시 환경 때문”이라며 자사 운영 전략의 문제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핵심 재무 지표
• 분기 매출 30억 6,000만 달러(전년 대비 +3%)
• 조정 주당순이익(EPS) 0.33달러(전년 대비 –3%)
• 레스토랑 영업마진 27.4%(전년 대비 –150bp)
조정 EPS 0.33달러와 매출 30억 6,000만 달러는 LSEG(구 Refinitiv) 컨센서스(매출 31억 1,000만 달러·EPS 0.33달러)에 부합하거나 근접했다. 다만 레스토랑 레벨 마진은 작년 대비 1.5%포인트 하락했다. 회사는 임금 상승과 매출 레버리지 약화가 원인이라며, 공급망 개선과 매장 운영 효율화로 상당 부분 상쇄했으나 포션 사이즈 확대 비용이 추가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2024년 소셜미디어에서 일부 매장이 ‘양 적은 행위’로 지적받은 이후, 약 30% 매장이 올바른 분량 훈련을 재이수했다는 부연 설명도 덧붙였다.
회사 목표는 레스토랑 마진 29~30% 복귀와 평균 매장당 연매출(AUV) 400만 달러 이상 달성이다.
주가 하락, 매수 기회인가
치폴레 주가는 7월 24일 기준 연초 대비 24% 하락했다. 일부 시장 참여자는 이번 부진을 자체 운영 문제+소비 위축의 복합 효과로 해석한다. 테이블 청결·매장 위생 등 기초 서비스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그러나 국제 시장 진출 초입이라는 성장 여력과 미국 내 매장 수를 연 8~10%씩 늘릴 계획을 감안하면 장기 성장 스토리는 유지된다는 평가도 공존한다.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주가는 2025년 예상 순이익 기준 선행 주가수익비율(Forward P/E) 38배, 2026년 기준 32배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최근 수년간 형성된 프리미엄 밸류에이션보다는 낮지만, 일반적인 ‘저가’ 영역은 아니다.
Forward P/E는 1년 후 또는 2년 후 예측 순이익을 분모로 삼는 주가수익비율이다. 성장성이 높은 기업의 경우 시장이 미래 수익을 선반영하기 때문에, 현재 P/E보다 선행 P/E가 낮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다.
투자자 참고 사항 및 공시
투자 정보 서비스 업체 모틀리풀(The Motley Fool)은 치폴레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5년 9월 만기 60달러 콜옵션을 매도한 상태라고 공시했다. 또 다른 투자 리스트 ‘톱10 스톡’에는 치폴레가 포함되지 않았다. *모틀리풀 ‘스톡 어드바이저’ 서비스의 누적 평균 수익률은 2025년 7월 21일 기준 1,041%로, 같은 기간 S&P 500 수익률(183%)을 크게 앞선다.
※ 상기 내용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를 권유하는 행위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