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선물가격이 미국 중서부의 집중호우 예보에 압박받으며 금요일 장 초반부터 3~3 ¼센트 떨어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가장 가까운 만기인 2025년 9월물은 전일 대비 3 ¼센트 내린 3.98 ½달러에 거래됐고, 현물 평균가는 부셸당 3.83 ¼달러로 3 ¾센트 밀렸다.
2025년 7월 26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시장 참가자들은 네브래스카주에서 오하이오주까지 이어질 1~2인치(약 25~50 ㎜) 규모의 강우 밴드가 옥수수 작황을 개선할 것으로 예상하며 매도에 나섰다. 해당 지역 북·남측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강수량이 전망돼 있으나, 전반적 공급 완화 기대가 가격을 끌어내렸다.
상품 분석 플랫폼 CmdtyView가 집계한 신곡(新品) 현물 옥수수 전국 평균가는 3센트 하락한 3.75달러를 기록했다. 현물 가격은 통상 선물시장 동향과 밀접하게 움직이지만, 이번에는 기상 변수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수출 동향 및 USDA 통계
미국 농무부(USDA)는 이날 멕시코가 신곡분 10만2,870 t(메트릭톤, MT)의 미국산 옥수수를 구매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대한민국이 2025/26년도 인도 조건으로 14만 t을 추가로 계약한 사실도 확인됐다.
“이번 거래는 신곡 수출 물량 확대를 뒷받침하지만, 전반적 가격 하락 압력을 상쇄하기엔 부족했다”
는 것이 트레이더들의 평가다.
주간 수출 판매 보고서에 따르면, 2024/25 마케팅연도 누적 옥수수 수출 약정(Export Commitments)은 7,011만 t(MMT)로, USDA가 제시한 연간 전망치를 이미 넘어섰다. 다만 실제 선적(Exports)은 6,017만 t으로 전체 전망 대비 86% 수준에 그쳐, 평년 같은 시점의 89%보다는 뒤처져 있다.
만기별 선물·현물 시세
• 2025년 9월물: 3.98 ½달러(▼3 ¼센트)
• 근월 현물가: 3.83 ¼달러(▼3 ¾센트)
• 2025년 12월물: 4.17 ¾달러(▼3 센트)
• 2026년 3월물: 4.35달러(▼3 ¼센트)
• 신곡 현물가: 3.75달러(▼3 센트)
여기서 ‘선물(futures)’은 특정 상품을 미래의 정해진 시점에 미리 합의된 가격으로 사고파는 표준화된 거래 계약을 의미한다. CBOT 옥수수 선물은 글로벌 곡물 가격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며, 헤지(위험회피)와 투기 수단으로 널리 활용된다.
시장 해석과 전망
전문가들은 최근 며칠 동안 곡물 시장이 ‘날씨 프리미엄’을 상당 부분 반납했다고 진단한다. 특히 옥수수는 여름철 수분 스트레스가 수확량에 직결되기 때문에, 강우 예보만으로도 가격 변동성이 커지는 구조다. 이번 비 소식이 실제로 예상만큼 내릴 경우, 8월 초까지 추가 하락 가능성이 남아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다만, 미국 중서부의 고온 건조 패턴이 재차 나타날 경우 공급 리스크가 재부각될 수 있다.
“7월 말~8월 초는 옥수수 수분·수정(Corn Pollination)의 임계 구간이어서, 날씨 방향성에 따라 가격이 급격히 요동칠 수 있다”
고 시카고의 한 애널리스트는 설명했다.
투자자 정보 공지
본 기사 집필 시점에 Austin Schroeder 필자는 기사에서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모든 데이터와 정보는 참고용으로 제공되며, 투자결정의 책임은 독자에게 있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하면 된다.
용어 풀이
MT(Metric Ton)는 1,000 kg에 해당하는 ‘톤’을 의미하며, MMT는 백만 톤(Million Metric Tons)의 약자다. CmdtyView는 미국 데이터 및 분석 기업 Barchart가 운영하는 실시간 상품 시세·리서치 플랫폼이다.
또한 ‘Export Commitments’는 이미 체결됐지만 선적이 완료되지 않은 수출 약정을 포함한 개념이며, 실제 ‘Exports’는 물리적으로 배에 실려 떠난 물량만 집계한다. 이 두 수치는 미국 곡물 수급 전망을 가늠할 때 핵심 지표로 활용된다.
시장 참여자 주의사항
이번 주중 발표된 미국 GDP 성장률·소비자물가지수(CPI) 등 거시지표가 인플레이션 완화 흐름을 시사하며, 달러 강세 압력이 줄어든 점도 상품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과 글로벌 물가 추이, 그리고 흑해 곡물 수출 통로 재개 여부 등 대외 변수도 여전히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전문가들은 “헤지 목적으로 옥수수 선물·옵션을 운용하는 농가와 가공기업이라면, 날씨·정책·환율 변동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포지션 규모를 조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