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뤼셀‧워싱턴발】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우르술라 폰 데어 라이엔이 이번 주말 스코틀랜드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양자 무역협정의 기본 틀을 논의하기 위한 대면 회담에 나선다. EU 수입품에 최대 30%의 미국 관세가 부과될 예정일(8월 1일)을 불과 며칠 앞두고 벌어지는 막판 담판이다.
2025년 7월 26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폰 데어 라이엔 위원장은 전날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에 “일요일(27일)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대서양 무역관계를 어떻게 굳건히 유지할지 논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도 스코틀랜드 도착 직후 기자들에게 “거래가 성사될지 보자“며 회담 사실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 발언
“성사 확률 50 대 50이라고 본다. 그 정도면 꽤 높은 수치다.”
■ 15% ‘베이스라인 관세’ 시나리오 급부상
양측 협상 실무진은 30% 대신 15% 관세를 ‘기본선(baseline)’으로 설정하는 방안을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로 보고 있다. CNBC 취재원에 따르면 “현 시점에서 가장 현실적인 타협안”으로 불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일본과의 협상에서 동일 수준(15%)의 관세율을 도입해 ‘사상 최대 규모의 거래’라고 자평한 바 있다.
EU는 만일 미국이 30% 관세를 강행할 경우 보복관세(countermeasure)를 포함한 ‘전면 대응 패키지’를 가동할 계획이다. 그러나 회원국 상당수는 “나쁜 합의라도 무합의보다는 낫다”며 15% 선에서 합의해 관세전쟁을 피하자는 입장이다.
■ 세계 최대 규모의 교역축, EU–미국
EU 집행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양측은 전 세계 상품‧서비스 교역의 약 30%를 차지하며, 전 세계 GDP의 43%를 담당한다. 이 같은 ‘거대 경제블록 간 충돌’은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국제금융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스코틀랜드 방문 일정과 영국 변수
트럼프 대통령은 4일간의 ‘골프 중심’ 스코틀랜드 일정을 소화하면서 영국의 키어 스타머 총리와도 비공식 회동을 가질 예정이다. 영국은 앞서 10% 관세를 골자로 한 미·영 FTA를 이미 타결했으며, 이번 EU 협상 결과가 영국의 대EU 무역에 미칠 파급효과에도 관심이 모인다.
■ 전문가 시각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잭 앨런-레이놀즈 부대표는 연구노트에서 “15% 관세가 적용될 경우 ‘완벽과는 거리가 멀지만, 최악은 피할 수 있는 타협’이 될 것”이라며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30% 관세와 EU의 즉각적 보복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록 나쁜 협상이지만 무협정보다는 확실히 낫다’고 평가할 수 있다.”
■ 용어풀이: 관세(Tariff)와 베이스라인
관세는 국가가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보호무역과 재정수입 확보 수단으로 쓰인다. 베이스라인 관세란 모든 품목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본’ 관세율을 의미하며, 이후 품목별·산업별로 추가 감면·면제를 협상할 수 있는 출발점 역할을 한다.
이번 협상에서 EU가 우려하는 지점은 ‘기본선 15%’가 향후 추가 인하 없이 사실상 최종 관세로 굳어질 가능성이다. 반면 미국 측은 ‘공정무역’ 논리를 앞세워 제조업 일자리 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전망
협상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스코틀랜드 회동이 ‘관세전쟁을 가를 분수령’이 될 것이란 평가가 지배적이다. 만약 양측이 15% 수준에서 타협에 성공한다면, 국제 금융시장과 글로벌 공급망에 드리운 불확실성이 일정 부분 해소될 전망이다. 반대로 협상이 결렬될 경우, 8월 1일부터 시작되는 30% 관세-보복관세의 악순환은 세계 경기 회복세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