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파월 의장 비판 완화 발언에 달러 강세

미국 달러 및 글로벌 외환‧상품시장 동향

달러인덱스(DXY)가 25일(현지시간) 장중 0.30% 상승하며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미국 대통령의 연방준비제도(Fed) 독립성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 것으로 해석하며 달러 자산을 재매입했다.

2025년 7월 2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늦은 시각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해임할 필요가 없다고 언급했다. 이 발언은 연준 독립성 훼손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경계심을 낮추며, 해외 투자자들이 달러 자산을 기피할 것이라는 우려를 일부 해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같은 날 발표된 미국 6월 내구재 주문(국방‧항공 제외 자본재) 전월 대비 –0.7%는 예상치(+0.1%)를 크게 밑돌았다. 또한 S&P 500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재경신함에 따라 안전자산으로서의 달러 수요가 일부 줄어드는 모습도 관측됐다.


정책·지표 이벤트

연방기금선물(FF 선물) 시장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 금리인하 가능성을 3%로, 9월 16~17일 회의에서는 64%로 반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달러 강세가 얼마나 지속될지는 향후 지표 흐름과 연준 의사록에 좌우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과 갈등(tension)이 없다. 다만 나는 금리를 더 낮추길 원한다”라고 말했다.

달러 인덱스 차트


유로·엔 등 주요 통화 동향

EUR/USD는 0.04%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다. 달러 강세가 직접 원인이지만, 유로존 지표는 대체로 견조했다. 6월 M3 통화공급 증가율은 전년 대비 3.3%로 9개월 만에 최저였으나, 독일 7월 IFO 기업신뢰지수는 14개월래 최고인 88.6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ECB 관리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졌다. ECB 집행이사회 카작스 위원은 “현 수준에서 금리를 추가 인하할 이유가 거의 없다”고 밝혔고, 나겔 분데스은행 총재도 “인플레이션 전망이 크게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행 금리 유지가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유로/달러 차트

시장 스와프금리는 9월 11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8%로 산정하고 있다.

USD/JPY는 0.38% 상승했다. 일본 7월 도쿄 CPI가 예상(+3.0% y/y)을 밑돈 2.9%로 발표됐고, 5월 선행지수 CI도 104.8로 하향 조정되면서 엔화 약세를 부추겼다. 여기에 자민당(LDP)이 상원에서 과반을 상실한 이후 재정 지출 확대·세금 감면 가능성이 부각되며 국채 발행 증가→국가 재정 악화 우려가 커졌다.

다만 블룸버그는 “BOJ 내부에서 올 연말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이 있다”고 보도했고, 미국채 수익률이 장중 하락 전환하면서 엔화 낙폭이 다소 축소됐다. 달러/엔 차트


귀금속 시장 상황

8월물 금 선물-1.12%(-37.90달러), 9월물 은 선물은 ‑2.19%(-0.859달러)로 1주일 만의 저점으로 밀렸다. 달러 강세와 위험선호 회복이 안전자산 수요를 약화시킨 결과다. 또한 ECB 매파 발언은 유럽 금리 인하 기대를 낮춰 달러 지지 요인을 강화했다.

그럼에도 우크라이나·중동 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 그리고 ETF 자금 유입(전일 기준 금 ETF 보유량 2년래 최고, 은 ETF 보유량 3년래 최고)은 귀금속 가격 하방을 제한하고 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DXY(달러인덱스)는 유로, 엔, 파운드 등 6개 주요 통화 바스켓 대비 달러 가치를 지수화한 것으로, 글로벌 달러 수요를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FF 선물(연방기금선물)은 연준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의 미래 경로를 반영하는 파생상품으로, 시장의 금리 인하·인상 기대를 숫자(확률)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