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닉 미 상무장관 “도요타·혼다 관세 15%로 인하돼도 美 자동차 CEO들 ‘괜찮다’”

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루트닉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대(對)일본 자동차 관세 인하 방안에 대해 “미국 자동차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이 매우 ‘쿨하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밝혔다.

2025년 7월 24일, CN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루트닉 장관은 CNBC ‘Squawk on the Street’에 출연해 일본산 승용차에 부과돼 온 25% 관세를 15%로 낮추고, 그 대가로 일본 정부와 기업이 5,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내 투자를 약속한 협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루트닉 장관은 “일본이 미국 시장에 더 낮은 세율로 자동차를 들여오되, 그 프로젝트 비용은 일본이 부담한다”고 요약하며, 협정 구조를 “We give them the project & they pay for the project”라고 표현했다. 그는 “관세 문제로 떠들썩하지만 정작 업계 CEO들은 동의했다”고 강조했다.

루트닉 CNBC 인터뷰 장면


‘빅3’와 일본 완성차 간 관세 차이…논란 배경

미국 ‘빅3’로 불리는 제너럴모터스(GM)·포드·스텔란티스의 로비단체 미국자동차정책협의회(AAPC)는 즉시 반발했다. AAPC 회장 매트 블런트는 “

미국 부품 비중이 높은 북미 생산 차량에 25%를 매기면서, 미국 부품 ‘제로(0)’에 가까운 일본 완성차엔 15%를 매기는 것은 미국 산업과 노동자 모두에게 나쁜 합의

라고 성토했다.

그러나 루트닉 장관은 “PR 담당자들이 불만을 ginn up(부풀리고) 있을 뿐”이라며, 실제로는 CEO들이 협정에 동의했다고 반박했다. 그는 “그들과 오늘 아침 통화했다. 모두 ‘쿨하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협정에 따라 일본 브랜드 도요타, 혼다, 닛산, 마쓰다의 주가는 발표 직후 급등했다. 반면 GM, 포드, 스텔란티스 주가는 무역 긴장 장기화로 투자자들이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일본 완성차 주가 급등

국내 제조로 ‘관세 제로’…루트닉 “공장 미국으로 옮기면 된다”

루트닉 장관은 “캐나다·멕시코 생산 차량에 25% 관세가 적용되는 것이 불만이면, 미국으로 공장을 이전하라”고 제안했다. 그는 “Made in America 전략을 채택하면 관세는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 제조업은 미국 안에서 만들기만 하면 매우 잘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북미자유무역협정(USMCA) 이후 캐나다·멕시코 공장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들여오는 모델이 많았지만, 이번 조치가 해당 생산기지를 다시 미국 본토로 끌어들이려는 압박 수단이 될 것으로 분석한다.


‘관세 폭탄’이 남긴 재무 충격

GM은 2025년 5월 연간 실적 가이던스에서 관세로 40억~50억 달러 손실을 예상했고, 이번 주 공개한 2분기 실적에서는 관세 비용만 11억 달러가 반영됐다고 밝혔다. 스텔란티스 역시 7월 21일, 관세 영향으로 1‧2분기 합산 26억7,000만 달러 순손실이 예상된다고 공시했다.

이에 대해 루트닉 장관은 “장기적으로 보면 미국 내 제조 기반 확대가 고용 증가·공급망 안정·혁신 투자로 이어질 것”이라며 “단기 충격에만 집중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낯선 용어 풀이

‘빅3’는 디트로이트를 본거지로 하는 GM·포드·스텔란티스를 통칭한다. AAPC는 이들 3사가 공동으로 목소리를 내기 위해 설립한 정책 로비 단체다. Squawk on the Street은 CNBC의 간판 경제 뉴스 프로그램 중 하나로, 월스트리트 개장 시간에 맞춰 실시간 증시 동향과 주요 인터뷰를 다룬다.


기자 관점: 정책 신호와 시장 심리

이번 협정은 단기 주가·관세 비용·제조입지라는 세 층위에서 상반된 효과를 내고 있다. 일본 완성차는 즉시 주가 상승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미국 완성차는 일시적 비용 부담을 안았다. 그러나 “미국에 공장을 짓는 순간 관세 제로”라는 단순 명제는 자본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 달러 강세·에너지 가격 하락·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세제 혜택과 같은 요인까지 결합될 경우, 미국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전기차·배터리 생산 클러스터가 더욱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즉, 단기 논란과는 달리 미국 내 생산 확대라는 큰 흐름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종 업계, 특히 전기차 전환 단계에 있는 한국·독일·중국 기업들에도 중장기 전략 수정을 요구하는 변곡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향후 유럽연합(EU)·멕시코·캐나다와의 협정 재협상에서 동일한 논리가 적용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기업들은 관세 장벽과 보조금 인센티브 사이에서 설비투자 최적화를 이루기 위한 고도의 재무·정책 분석이 필요하다.


© 2025 The Bilingual Journal.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