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무역 긴장, 아시아·태평양 개발도상국 성장 둔화 전망…ADB 경고

마닐라발 리포트아시아개발은행(ADB)미국의 고율 관세와 무역 불확실성이 심화되면서 아시아·태평양 개발도상국의 성장세가 예상보다 크게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은행은 23일 공개한 ‘Asian Development Outlook’ 최신판에서 2025년과 2026년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4.7%와 4.6%로 하향 조정했다.

2025년 7월 23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ADB 수석이코노미스트 알버트 박(Albert Park)은 “올해 들어 지정학적 긴장, 공급망 교란, 에너지 가격 상승, 중국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등 복합적인 역풍이 거세다”라며 “이에 따라 지역 경제의 하방 위험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 성장률 전망치 대폭 하향
ADB는 지난 4월 보고서에서 제시했던 2025년 4.9%, 2026년 4.7% 전망을 각각 0.2%p, 0.1%p씩 낮췄다. 특히 동남아시아의 성장세가 가장 큰 폭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돼 2025년 4.2%, 2026년 4.3%로 조정됐다. 종전 전망은 두 해 모두 4.7%였다.

박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개방적 교역과 지역 통합을 강화해 투자를 유인하고 고용을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DB는 동남아 각국이 재정 건전성 강화, 생산성 제고, 구조개혁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국발 관세 충격
보고서가 발표된 직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일본산 제품에 대해 당초 위협했던 25%보다 낮은 15% 관세를 부과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필리핀 제품에는 19%의 신규 관세율이 적용돼 4월 발표된 17%보다 높아졌지만, 이달 초 예고했던 20%보다는 완화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4월부터 거의 모든 교역 상대국에 일괄 10% 관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8월 1일부터는 추가 고율 관세도 시행할 방침이다.

이 같은 조치로 글로벌 공급망은 재편 압력을 받고 있고, 선진국 수요 부진·투자 심리 위축개도국 성장세 감속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 지역별 GDP 성장률 전망(%)
(괄호 안은 4월 대비 변동폭)
코카서스·중앙아시아 2025년 5.3→5.5(+0.2), 2026년 5.0→5.1(+0.1)
동아시아 2025년 4.2→4.3(+0.1), 2026년 4.0(변동 없음)
– 중국 2025년 4.5→4.7(+0.2), 2026년 4.3(동일)
남아시아 2025년 6.3→5.9(-0.4), 2026년 6.2(동일)
– 인도 2025년 7.0→6.5(-0.5), 2026년 6.8→6.7(-0.1)
동남아시아 2025년 4.7→4.2(-0.5), 2026년 4.7→4.3(-0.4)
– 인도네시아 5.0(변동 없음)
– 말레이시아 4.6→4.3(-0.3), 2026년 4.8→4.2(-0.6)
– 미얀마 n/a
– 필리핀 6.0→6.1(+0.1) 등
태평양 도서국 2025년 4.1→3.9(-0.2), 2026년 3.6→3.5(-0.1)
개도 아시아 전체 2025년 4.8→4.7(-0.1), 2026년 4.7→4.6(-0.1)

■ 물가 전망 및 통화정책 여력
ADB는 2025년 개도 아시아 평균 물가상승률을 2.6%에서 2.3%로, 2026년은 2.2%에서 2.1%로 소폭 낮췄다. 이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 안정과 일부 국가의 통화 긴축 효과가 반영된 결과다. 그러나 미얀마·중앙아시아 등 일부 지역은 여전히 두 자릿수 인플레이션 압력을 받고 있다.


ADB란?
ADB(Asian Development Bank)는 1966년 설립된 다자개발은행으로, 46개 개발도상국 회원국에 인프라·교육·기후변화 프로젝트 자금을 지원한다. 본부는 필리핀 마닐라에 있으며, 한국도 1967년부터 회원국으로 참여 중이다.

관세(Tariff) 용어 설명
관세는 국경을 넘는 상품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와 재정 수입 확보가 주목적이다. 그러나 고율 관세는 무역량 축소·물가 상승·환율 변동을 초래해 글로벌 성장률을 하락시킬 수 있다.

■ 기자 해설
이번 보고서는 미국 대선 국면에서 보호무역 조치가 강화될 가능성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동남아시아의 급격한 성장률 하락은 역내 공급망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흔들 수 있으며, 한국 기업에도 수출 경로 다변화 필요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반면 완만한 물가 상승통화완화 여력을 제공해 일부 국가의 내수 부양책이 가능하다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