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스메드(Carlsmed, Inc.)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맞춤형 척추 수술 솔루션 상용화 기술력을 앞세워 미국 나스닥 글로벌 셀렉트 마켓(Nasdaq Global Select Market)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IPO)에 착수했다. 회사 측은 이번 공모에서 6,700,000주의 보통주를 주당 14~16달러에 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5년 7월 22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본사가 캘리포니아주 칼즈배드(Carlsbad)에 위치한 칼스메드는 이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척추 수술 솔루션을 상업화 단계에 올려놓은 의료기술 기업이다. 업계는 이번 딜을 통해 회사가 최대 1억720만 달러(상단 가격 기준)를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달러로 환산 시
“우리는 맞춤형 척추 임플란트와 수술 계획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와 외과 의사 모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칼스메드는 이번 IPO와 동시에 “CARL”이라는 티커(symbol)로 나스닥 글로벌 셀렉트 마켓에 상장 신청서를 제출했다. 상장 직후 시가총액은 공모가 범위를 기준으로 최소 4억 달러 안팎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시장 관측이다.
BofA Securities, Goldman Sachs & Co. LLC, Piper Sandler가 공동 대표 주간사(joint lead book-running managers)로 참여하며, Truist Securities와 BTIG가 공동 주관사(joint book-runners)로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주관사단은 30일 동안 최대 1,005,000주의 초과배정옵션(그린슈)을 행사해 추가로 주식을 인수할 수 있다.
미국 증권 규정 해설
칼스메드는 이번 공모에 앞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Form S-1 등록서를 제출했다. Form S-1은 기업이 미국 증시에 신규 상장(IPO)할 때 제출하는 기본 등록 서식으로, 사업 개요·재무제표·위험 요인·지배 구조 등 광범위한 정보를 담아 투자자 보호를 위한 심사를 받는다. SEC가 등록서를 ‘효력 발생(effectiveness)’ 상태로 승인하기 전까지는 주식을 판매하거나 인수할 수 없다.
AI 맞춤형 척추 수술 솔루션이란?
척추 질환 치료는 환자 체형·뼈 구조·질환의 종류에 따라 수술 난이도가 크게 달라진다. 칼스메드는 AI로 수집한 환자 데이터와 의료 영상을 분석해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와 수술 가이던스를 설계·제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기존의 일률적인 임플란트보다 정확도를 높이고, 수술 시간과 회복 기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기대된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IPO는 AI·의료기기·정형외과 산업의 결합이라는 트렌드를 방증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최근 원격의료, 3D 프린팅, 데이터 분석 등 혁신 기술을 결합한 의료 기술(메드테크) 기업에 투자 자금이 몰리고 있으며, 칼스메드는 이러한 흐름을 타고 나스닥 상장에 나선 셈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글로벌 척추 임플란트 시장은 고령화와 생활 습관 변화로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며 “칼스메드가 상장 후 빠른 상업화 확대를 통해 실적을 증명한다면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상장 이후에는 매출 성장 속도, 규제 승인 절차, 경쟁사 대비 기술 우위 유지 여부 등이 주가 흐름을 결정할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IPO 일정은 SEC 심사 속도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등록서 제출 후 기관 수요 예측(로드쇼)을 진행하고, 최종 공모가를 확정한 뒤 나스닥에 입성하는 절차가 이어진다. 투자자들은 예비투자설명서(prospectus)를 통해 개별 위험 요인과 재무지표를 숙지한 뒤 청약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한편, 미국 현지 증권가는 2025년 하반기에도 기술주 중심으로 IPO 창구가 활기를 띨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기조, 경기 연착륙 기대, 인공지능 관련 기업들의 실적 성장세가 맞물리며 투자 심리가 개선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투자 시 유의사항*
IPO는 고수익·고위험 투자를 의미하며, 증권신고서 열람, 기업 실적 검증, 리스크 평가가 필수적이다. 칼스메드는 첨단 의료기술 기업인 만큼 연구·개발 투자 부담과 규제 변수에도 노출돼 있어 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