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딥마인드 핵심 연구원 20여 명 추가 영입…코파일럿 경쟁력 강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최근 알파벳(Alphabet)의 AI 연구소인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 출신 인재 약 24명을 대거 영입하며 생성형 AI 주도권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5년 7월 22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인재 이동은 마이크로소프트 AI 부문 CEO 무스타파 술레이만(Mustafa Suleyman)이 이끄는 조직에서 주도됐으며, 소비자용 AI 비서 코파일럿(Copilot)과 검색엔진 Bing의 고도화를 목표로 한다.

아마르 수브라마냐(Amar Subramanya) 전 구글 부사장은 16년간 구글에서 근무하며 제미나이(Gemini) AI 비서 개발을 총괄했다. 그는 최근 링크드인 게시물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 AI의 기업 부사장(Corporate Vice President)으로 합류했다고 밝혔다.

같은 조직에는 지난 6월, 구글에서 18년 가까이 재직하며 딥마인드 수석 엔지니어 및 디렉터를 지낸 아담 새도브스키(Adam Sadovsky)가 합류해 이미 부사장 직함을 달았다.

이달 초에는 딥마인드 엔지니어링 리드였던 소날 굽타(Sonal Gupta)가 술레이만 팀의 테크니컬 스태프로 이동했다. 또한 딥마인드 연구 과학자 출신 요나스 로트푸스(Jonas Rothfuss) 역시 5월부터 같은 직무를 맡고 있다.

Microsoft Copilot beginning of a seismic shift


빅테크의 ‘몸값 전쟁’

빅테크 기업들은 AI 인재 확보를 위해 역대급 보상 패키지를 제시하고 있다. 오픈AI(OpenAI) CEO 샘 올트먼(Sam Altman)은 지난달, 메타(Meta)가 자사 직원에게 $1억(약 1,350억 원) 규모의 사이닝 보너스를 제안했다고 공개했다. 실제로 메타는 AI 데이터 전문 기업 스케일AI의 CEO 알렉산드르 왕(Alexandr Wang)과 전 깃허브 CEO 냇 프리드먼(Nat Friedman)을 영입하며 공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구글 역시 최근 AI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Windsurf)$24억에 인수하며 CEO 등 핵심 인력을 확보했다.

“AI 시대의 가장 희소한 자원은 GPU가 아니라 사람이다.” — 업계 관계자


술레이만의 영향력 확대

마이크로소프트 AI 부문을 이끄는 술레이만은 2014년 구글이 인수한 딥마인드의 공동 창업자다. 그는 2022년 AI 스타트업 인플렉션(Inflection)을 설립한 뒤, 2024년 마이크로소프트에 합류하며 스타트업 팀 일부를 함께 데려왔다. 그의 전 동료이자 또 다른 공동 창업자인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는 현재 구글 딥마인드를 지휘하고 있다.

한편,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달 초 전체 인력의 4% 미만인 약 9,000명을 감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인재 구조조정과 대규모 AI 투자를 동시에 진행하는 양면 전략이란 평가가 나온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해설*

*딥마인드 — 2010년 설립된 영국 기반 AI 연구소로, 알파고·알파폴드 등 혁신적 모델로 유명하다.
*코파일럿 —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피스·윈도우 등에 탑재 중인 AI 비서 서비스.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해 문서 작성, 코드 생성 등을 지원한다.
*제미나이 — 구글이 채팅·검색·생산성 도구에 통합하기 위해 개발한 다목적 AI 어시스턴트.


기자 의견 및 전망

AI 인력의 ‘빅 스위치’가 가속화되면서, 인재를 중심으로 한 기업 간 동맹·경쟁 구도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와의 협업을 기반으로 이미 클라우드·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선점 효과를 누리고 있는데, 딥마인드 출신 연구진까지 대거 흡수함으로써 모델 연구·서비스 상용화·칩 최적화 전 부문에서 시너지가 예상된다. 반면, 구글은 내부 핵심 개발자가 빠져나가면서 ‘AI 우위’ 명분이 약화될 수 있어 조직 안정화가 시급하다. 2025년 하반기에는 코파일럿, 제미나이 등 AI 비서 서비스의 기능·생태계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