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요 지수 현황 — 22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혼조 속에서도 S&P 500 지수와 나스닥 100 지수가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14% 상승한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04% 하락했고, 나스닥 100 지수는 0.50% 올랐다. 9월물 E-미니 S&P(ESU25) 선물은 0.19%, 9월물 E-미니 나스닥(NQU25) 선물은 0.54% 각각 상승했다.
2025년 7월 22일, 나스닥닷컴(Nasdaq.com) 보도에 따르면, 이날 증시는 국채 금리 하락과 반도체주 랠리가 결합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되살아난 것이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다. 10년물 미국채 수익률은 전일 대비 5bp(0.05%포인트) 떨어진 4.37%로 1주 만에 최저치를 찍어 주식시장에 안도감을 제공했다.
반도체주 주도 상승 —
“반도체 업종은 향후 AI(인공지능) 수요 증대 기대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줬다”
는 월가 평가가 이어지는 가운데, ARM 홀딩스가 3% 이상 뛰며 나스닥 100 편입 종목 중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퀄컴(+2% 이상), NXP반도체·브로드컴·램리서치·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1% 이상) 등도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기업 이슈 — 결제 플랫폼 업체 블록(Block)은 S&P 다우존스가 “24일(수) 장 시작 전 해스(Hess) 대신 S&P 500에 편입한다”고 발표하자 7% 넘게 급등했다. 통신 대장주 버라이즌도 연간 실적 가이던스 하단을 상향(연간 EPS 성장률 1~3%) 조정하면서 4% 이상 뛰어 다우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무역정책 변수 —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8월 1일부로 150여 개국 제품에 10~15% 관세 부과 카드를 꺼내겠다고 밝힌 데 이어, EU·멕시코산 수입품에는 30% 관세, 캐나다 일부 제품에는 35% 관세를 예고한 점은 위험요인으로 부각됐다. 시장은 이번 주 추가 관세 발표 여부와 신규 무역 협상 소식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경제지표·연준 이벤트 — 24일(수) 6월 기존주택판매는 전월 대비 0.7% 감소한 400만 건, 25일(목)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6천 건 늘어난 22만7천 건이 각각 예상된다. 같은 날 발표되는 7월 S&P 미국 제조업 PMI 예비치는 52.5로 0.4p 하락이 전망된다. 26일(금) 6월 비국방 자본재 신규주문(항공 제외)은 전월 대비 0.2% 증가가 예상된다.
통화정책 기대 —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 가격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확률을 3%, 9월 16~17일 회의에서는 58%로 반영하고 있다. 지난주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가 “7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지지한다”고 발언한 점이 금리 하락에 힘을 보탰다.
해외 증시 동향 — 유럽 유로 스톡스 50 지수는 0.30% 하락 마감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9.5개월 만의 최고치로 0.72% 상승했다. 일본은 해양의 날(마린데이)로 휴장했다.
채권시장 — 9월물 10년물 T-노트 선물(ZNU25)은 13틱 상승하며 1주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고, 금리(수익률)는 4.350%까지 밀렸다. 같은 날 10년 만기 독일 국채 금리는 2주 만에 최저수준(2.613%)으로 8.2bp 급락했고,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7.1bp 하락한 4.603%를 나타냈다.
E-미니 선물이란 S&P 500, 나스닥 100 등 주요 지수를 추종하면서도 단일 계약 규모를 표준 선물 대비 1/5 수준으로 줄인 전자거래 전용 상품을 말한다. 개인·기관 모두 공통적으로 활용하며, 글로벌 투자자들이 장 마감 이후에도 시장 방향성을 가늠하는 데 쓰인다.
업종별 득실 — 천연가스 선물(NG) 가격이 6% 넘게 급락하며 에너지 업종이 약세를 면치 못했다. EQT(-9% 이상), 안테로리소스(-10% 이상), 체니어에너지(-7% 이상), 코테라에너지(-5% 이상) 등이 급락했다. 반면 핀터레스트(+2% 이상)는 모건스탠리의 투자 의견 상향(비중확대) 덕분에, 달러트리(+2% 이상)는 바클레이즈의 투자의견 상향(비중확대)으로 각각 상승했다.
주주행동주의·M&A — 글로벌 데이터센터 리츠 리더 이퀴닉스는 엘리엇매니지먼트가 지분을 확대했다는 소식에 1% 이상 올랐다. TD 코웬은 인베스코를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목표가 25달러)하면서 주가를 1% 이상 끌어올렸다.
개별 종목 뉴스 — 서렙타 테라퓨틱스는 근이영양증 유전자 치료제 엘레비디스(Elevidys) 배송 중단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5%대 급락했고, 몰리나헬스케어(-3% 이상)는 TD 코웬의 목표가 하향(369달러→283달러) 영향으로 조정을 받았다. 아메리칸익스프레스는 40억 달러 규모 회사채 발행(4년·7년 만기) 소식에 다우지수 내 낙폭(-1% 이상)을 키웠다.
실적 시즌 돌입 — 이번 주에는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테슬라(24일 수요일) 등 빅테크를 포함해 S&P 500 구성 기업 중 약 20%가 2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 500 2분기 순이익 증가율 예측치는 시즌 시작 전 2.8%에서 현재 3.2%로 상향됐다. 야데니리서치는 11개 업종 중 6개만이 전년 동기 대비 이익 증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2023년 1분기 이후 최소 업종 수를 기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 T-노트(Treasury Note)는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2~10년 만기 중기 국채를 지칭한다. 금리가 하락(가격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위험 자산인 주식이 매력적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다. Swaps(이자율 스왑) 시장은 투자자들이 중앙은행의 정책 금리 변동 전망을 거래하는 파생상품으로, 실제 기준금리 변화에 앞서 시장의 기대를 읽을 수 있는 선행 지표로 활용된다.
다음은 22일(화) 장 마감 이후 및 23일(수) 개장 전 예정된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일정 — 에이버리데니슨, 베이커휴스, 캐피털원파이낸셜, 처브, 코카콜라, 코스타그룹, 다나허, DR호튼, 엔페이즈에너지, EQT, 에퀴팩스, 제너럴모터스, 제뉴인파츠, 할리버튼, 인터퍼블릭그룹, 인튜이티브서지컬, 인베스코, 아이큐비아, 키코프, 록히드마틴, MSCI, 노스럽그러먼, 팩카, 펜테어, 필립모리스, 펄티그룹, 퀘스트다이애그노스틱스, RTX, 셔윈윌리엄스, 신크로니파이낸셜, 텍사스인스트루먼트 등이다.
해당 기사 작성 시점에서 리치 애스플런드 필자는 본문에서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다. 본 기사는 정보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을 위한 것이 아니다.